[2013년 하반기 한경 주거문화대상] 아크로리버 파크, 정책변화에 발빠르게 대응…재건축단지 모범으로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종합 대상(민간부문) - 아크로리버 파크
서울 신반포1차 아파트 재건축 사업의 지난 3년은 다른 재건축 단지들의 모범이 될 만하다. 조합은 오락가락하는 서울시 정책에도 흔들리지 않고 빠르게 대응해 단기간에 최종 인허가를 얻어냈다. 10년 넘게 계속된 주민들 간의 갈등도 극적으로 봉합했다. 서울시 제1호 ‘특별건축구역’으로 지정되고 우수디자인 인증을 받아 건축 인센티브를 적용받은 신반포1차는 향후 한강변 재건축 단지들의 사업추진 모델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재건축 추진 약 20년 만에 아크로리버 파크가 탄생하기까지 신반포1차 재건축 사업은 수많은 시행착오를 겪었다. 1977년 지어진 낡은 아파트가 안전진단을 통과한 1994년 신반포1차 주민들은 재건축 추진위원회를 구성했다. 그렇지만 중소형(전용 73~86㎡)인 1~19동 730가구와 대형(전용 154㎡)인 20·21동 60가구의 대립으로 사업은 암초에 부딪혔다. 결국 2003년에야 1~19동이 단독으로 조합을 설립했다. 2006년 사업의 최종 단계인 관리처분총회를 열었지만 주민들 간 갈등으로 소송에 휘말렸다. 소송은 대법원으로 이어져 4년을 허비했다. 조합 정족수에 관한 유명한 판례도 남겼다. 중도 퇴장한 사람은 ‘출석한 사람’에 포함하지 않는다는 이 판례는 지금도 국회와 정당 내부의 분쟁에 인용되고 있다.
소송이 끝난 2010년부터는 인허가를 놓고 씨름했다. 오세훈 전 서울시장이 ‘한강 르네상스’ 계획을 들고 나와 35층 재건축안을 50층으로 변경하고 부지 20%를 기부채납할 것을 요구했다. 2011년 조합장에 당선된 한형기 씨가 50층 계획안을 받아들이고 사업을 본궤도에 올리려 했다. 그런데 새로 당선된 박원순 시장은 50층 높이를 낮출 것을 요구해 다시 계획을 수정했다.
건축계획이 수립되자 이번엔 서초구청이 20·21동과 통합재건축을 요구했다. 남겨진 20·21동은 사실상 재건축이 불가능해져 도시계획상 바람직하지 않다는 이유를 들었다. 20년간 다퉈온 양측 주민들은 팽팽하게 맞섰다. 20·21동 주민은 자신들의 땅인 진입로에 1~19동 공사차량이 못 드나들도록 화단을 조성하는 촌극을 벌였다. 이에 맞서 1~19동 주민 1000여명이 서초구청으로 몰려가는 등 극심한 대립 과정을 거쳐 결국 최종 인허가를 얻어냈다.
이현일 기자 hiuneal@hankyung.com
재건축 추진 약 20년 만에 아크로리버 파크가 탄생하기까지 신반포1차 재건축 사업은 수많은 시행착오를 겪었다. 1977년 지어진 낡은 아파트가 안전진단을 통과한 1994년 신반포1차 주민들은 재건축 추진위원회를 구성했다. 그렇지만 중소형(전용 73~86㎡)인 1~19동 730가구와 대형(전용 154㎡)인 20·21동 60가구의 대립으로 사업은 암초에 부딪혔다. 결국 2003년에야 1~19동이 단독으로 조합을 설립했다. 2006년 사업의 최종 단계인 관리처분총회를 열었지만 주민들 간 갈등으로 소송에 휘말렸다. 소송은 대법원으로 이어져 4년을 허비했다. 조합 정족수에 관한 유명한 판례도 남겼다. 중도 퇴장한 사람은 ‘출석한 사람’에 포함하지 않는다는 이 판례는 지금도 국회와 정당 내부의 분쟁에 인용되고 있다.
소송이 끝난 2010년부터는 인허가를 놓고 씨름했다. 오세훈 전 서울시장이 ‘한강 르네상스’ 계획을 들고 나와 35층 재건축안을 50층으로 변경하고 부지 20%를 기부채납할 것을 요구했다. 2011년 조합장에 당선된 한형기 씨가 50층 계획안을 받아들이고 사업을 본궤도에 올리려 했다. 그런데 새로 당선된 박원순 시장은 50층 높이를 낮출 것을 요구해 다시 계획을 수정했다.
건축계획이 수립되자 이번엔 서초구청이 20·21동과 통합재건축을 요구했다. 남겨진 20·21동은 사실상 재건축이 불가능해져 도시계획상 바람직하지 않다는 이유를 들었다. 20년간 다퉈온 양측 주민들은 팽팽하게 맞섰다. 20·21동 주민은 자신들의 땅인 진입로에 1~19동 공사차량이 못 드나들도록 화단을 조성하는 촌극을 벌였다. 이에 맞서 1~19동 주민 1000여명이 서초구청으로 몰려가는 등 극심한 대립 과정을 거쳐 결국 최종 인허가를 얻어냈다.
이현일 기자 hiuneal@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