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효진 기자 ] SK텔레콤이 국내 최초로 '3배 빠른' LTE어드밴스드(LTE-A) 시대를 예고했다.

28일 SK텔레콤은 경기도 성남시 수내동 분당사옥에서 시연회를 열고 20MHz 대역폭의 1.8GHz 광대역 주파수와 10MHz 대역폭의 800MHz 주파수 대역을 주파수 묶음 기술(CA)을 활용해 묶고, 최대 속도 225Mbps를 선보였다.

기존 LTE 속도는 75Mbps로 이론상 3배 빨라진다는 게 SK텔레콤 측의 설명이다.

현재 국내에서는 10MHz 대역폭 두 개를 묶어 동일 대역 20MHz 효과를 내는 CA 기술이 상용화되고 있다. 그러나 광대역 20MHz 주파수까지 묶은 것은 SK텔레콤이 처음이다.

SK텔레콤 측에 따르면, LTE는 대역폭이 넓어질수록 속도가 더 빨라지지만 기술 표준상 최대 연결 대역폭은 20MHz다. 때문에 단일 광대역으로는 150Mbps의 속도 이상을 제공할 수 없다. 그러나 CA 기술을 적용해 광대역 주파수와 다른 주파수 대역을 묶으면 150Mbps 속도가 가능해진다.

3배 빠른 광대역 'LTE-A'가 상용화되면, 800MB 용량의 영화 한 편을 28초면 내려받을 수 있다. 같은 분량의 영화를 3G에서 다운로드하면 약 7분 24초, LTE는 1분 25초, LTE-A는 43초가 소요된다.

SK텔레콤은 '3배 빠른' LTE-A 기술 개발 시점을 내년 초로 예상했지만, 올 11월로 앞당겼다.

또 다음 단계인 '3밴드(band) LTE-A' 기술 개발에 박차를 가한다는 계획이다. 현재 200MHz 주파수와 10MHz 대역에 추가해 3개의 주파수 대역을 묶으면 최대 300Mbps 이상 무선 다운로드 속도가 가능해진다.

최진성 SK텔레콤 ICT 기술원장은 "3배 빠른 광대역 LTE-A를 최초로 시연하는 쾌거를 이룬 만큼 225Mbps는 물론 300Mbps급 속도 시대도 앞당기겠다"고 말했다.

SK텔레콤은 이달 말까지 서울 및 수도권 전역에 광대역 LTE를 지속 확대하고, 내년 7월 초 전국 모든 1.8GHz 기지국을 광대역으로 전환할 예정이다.

또 광대역 LTE-A 단말기 출시로 상용화가 예상되는 내년 하반기 800MHz 대역 및 1.8GHz 광대역 모두에서 전국 모든 시 단위 이상에서 망을 완비한다는 계획이다.

한경닷컴 김효진 기자 jinhk@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