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00명 이상 대기업에 입사한 4년제 대졸 신입사원의 초임이 올해 처음으로 300만원을 넘은 것으로 조사됐다.

1일 한국경영자총협회가 562개 기업을 대상으로 실시한 ‘2013년 임금조정 실태조사’에 따르면 올해 4년제 대졸 신입사원의 초임(상여금 월할분 포함)은 월 265만9000원이었다. 지난해 255만4000원보다 4.1% 상승했다.

규모별로는 100~299인 기업 233만9000원, 300~499인 257만원, 500~999인 268만2000원으로 집계됐다. 1000인 이상 기업(300만1000원)은 처음으로 300만원을 넘었다. 산업별로는 금융 및 보험업이 310만3000원으로 가장 높았고 운수·창고 및 통신업 277만9000원, 제조업 262만2000원, 도매 및 소매업 261만3000원, 건설업 257만6000원 순이었다.

올해 임금 협상을 타결한 기업들의 평균 임금인상률은 2009년 미국발 금융위기 이후 최저 수준인 4.0%로 집계됐다. 작년(5.1%)보다 1.1%포인트 하락한 수치로, 2009년(1.4%) 이후 가장 낮다. 규모별로는 1000인 이상 대기업의 임금인상률(2012년 5.4%→2013년 3.6%) 하락폭이 1.8%포인트로 가장 컸다.

산업별로는 도·소매업(2012년 5.3%→2013년 3.7%)과 금융·보험업(2012년 4.9%→2013년 2.6%)의 하락폭이 컸다.

임금협상 과정에서 노조와 회사 측이 제시한 임금인상률 격차도 2009년 이후 가장 낮은 5.1%포인트였다. 노조는 평균 7.9% 인상을 요구한 반면 사용자는 평균 2.8%를 제시해 작년보다 격차가 0.7%포인트 감소했다. 경총은 저성장과 낮은 물가상승률이 이 같은 현상을 가져온 것으로 풀이했다. 임금교섭 타결을 위한 노사 간 평균 협상 횟수와 협상 기간도 각각 5.2회, 평균 1.9개월로 전년의 5.7회, 2.2개월보다 줄었다.

한편 임금 협상을 타결하지 못한 기업들을 대상으로 이유를 조사한 결과 정년 연장이 가장 큰 걸림돌인 것으로 나타났다. 노동 관련 쟁점으로 임금 협상 타결을 하지 못한 기업의 34.5%가 정년 연장 도입 시기와 임금피크제 도입 방안 등과 관련해 노사 간 의견 조율이 쉽지 않다고 답했다. 통상임금 범위 확대(30.9%), 근로시간 단축(18.2%), 비정규직의 정규직 전환(10.9%), 복수노조 시행(3.6%) 등도 원인으로 꼽혔다.

전예진 기자 ac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