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정호 칼럼] 국회정상화 첫 단추는 외촉법 개정이다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무산 위기의 GS·SK 외자유치
2조3000억 투자가 재벌 특혜라니
불황 맞서 일자리부터 만들어야
김정호 수석논설위원
2조3000억 투자가 재벌 특혜라니
불황 맞서 일자리부터 만들어야
김정호 수석논설위원
배가 부른 모양이다. 외국인 투자 유치에 밤낮을 모르고 뛰어다니던 시절은 까맣게 잊었다. 2조3000억원짜리 초대형 투자를 이토록 깔아뭉개고 있으니 말이다. GS와 SK의 외국인 합작투자 건이다.
두 회사는 외국 기업과 세 건의 석유화학 합작투자를 추진 중이다. 그런데 브레이크가 걸렸다. 합작사가 지주회사의 증손회사가 된다는 이유에서다. 지주사의 증손회사는 100% 지분을 가져야 한다는 공정거래법 탓이다. 물론 선진국에는 없는 규제다. 두 회사는 합작이라는 게 혼자 일이 아닌데다 전문·체계화를 추진하려면 증손회사 설립은 불가피하다고 하소연한다. 공정거래법을 바꾸면 된다. 하지만 지금 분위기로는 부지하세월이다. 그래서 여당과 정부가 낸 아이디어가 외국인투자촉진법의 개정이다. 외국인 투자는 국내 일상사가 아니니 이 경우에 한해 증손회사 지분율을 50%로 낮춰주자는 것이다.
문제는 야당이다. 총력 반대다. 최근 국회 산업통상자원위원회가 주최한 공청회를 보면 야당이 이 사안을 얼마나 정략적이고 감정적으로 대하는지 쉽게 알 수 있다. 참으로 유치한 공청회였다.
먼저 야당 의원이 나서 타박을 시작했다. 우선 외국인 투자가 1조600억원에 불과한데 왜 2조3000억원으로 오해하도록 얘기하느냐는 지적이다. 맞다. 외국인의 총 투자액은 1조600억원이다. 나머지는 GS와 SK가 넣는 자금이다. 그런데 생각해보라. 합작이 불발되면 어떻게 되나. 투자총액은 0원이다. 정말 한심한 타박이다. 그게 왜 중요한 논점인가.
왜 대통령과 총리까지 나서 난리냐는 것도 시빗거리다. 답답한 질문도 한다. 경제에 활력을 불어넣는 데 가장 효과적인 것이 외국인 투자다. 게다가 중국에 맞서 국내 석유화학산업을 우월적 구조로 재편할 수 있는 프로젝트다. 그러니 총리 아니라 대통령까지 나설 수밖에. 이 야당 의원, 재벌 특혜라는 얘기를 하고 싶었나 보다. 파라자일렌 투자를 할 수 있는 중소기업이 어디 있는가. 골목상권도 아니고, 갑을 관계도 아니다. 그저 생트집이다.
왜 고용유발 효과를 부풀리느냐는 지적도 나왔다. 역시 초등학생 수준이다. GS와 SK가 직접 고용하는 인력은 194명이다. 그런데 전후방 효과라는 게 있다. 그 효과를 추정하기 위해 동원하는 것이 산업연관표다. 그래서 계산한 이들 공장의 직간접 고용효과가 좁게 보면 연간 1100명이고 넓게 보면 1만4000명이라는 것이다. 게다가 공장 건설 과정에 20만명의 일자리가 생긴다. 뭘 부풀렸다는 건지.
이들에 못지않은 학자가 발언권을 얻었다. 평소 그렇듯 대기업을 범죄 집단으로 매도하더니, 봐주는 듯 대안이라는 걸 내놓았다. 외촉법을 고치려 하지 말고 정무위에 가서 공정거래법을 바꾸라고. 때리는 시어머니보다 말리는 시누이가 더 미운 법이다. 여기에 다른 야당 의원이 거들었다. 법으로 안 될 걸 알면서 계약을 했다면 사고치고 와서 결혼시켜달라는 것 아니냐고. 이쯤 되면 이 두 사람은 건망증 환자로 보는 게 옳다. 두 회사가 합작 협상을 벌이던 18대 국회 당시 정무위는 공정거래법의 증손회사 지분율 완화에 합의한 적이 있다. 그 법안을 월권으로 깔아뭉개다가 자동 폐기시킨 것이 법사위 야당 강성 의원들이다. 이걸 왜 모른 척 하시나.
몇몇 수출 기업 덕분에 먹고사는 구조다. 공단에 가보라. 장기 불황 탓에 웬만한 공장은 인력 구조조정 중이다. ‘함바집’이 밥그릇 수가 줄어 문을 닫을 지경이라면 할 말 다했다. 일자리는 날아가고, 넛크래커 신세인 기업들은 신규 투자 기회를 놓쳐 해외 시장을 앉아서 잃고 있다. GS와 SK의 투자도 이 기회를 놓치면 없던 일이 돼 버린다. 파트너가 뭐가 아쉬워 골치 아픈 한국을 고집하겠는가.
외국인들이 다 빠져나가 금붙이를 모아 나라를 살린 것이 십수 년 전이다. 그 사이 배가 불렀는지 외국인 투자 공장 건설을 강아지 집 짓듯 여기는 정치인들이다.
다행스럽다고 해야 할지는 아직 모르겠다. 어쨌든 여야가 국회 정상화에 합의했다고 한다. 민생을 조금이라도 생각한다면 외촉법 개정부터 서두르는 것이 옳다. 정치인들이 정신을 차려주길 바란다.
김정호 수석논설위원
두 회사는 외국 기업과 세 건의 석유화학 합작투자를 추진 중이다. 그런데 브레이크가 걸렸다. 합작사가 지주회사의 증손회사가 된다는 이유에서다. 지주사의 증손회사는 100% 지분을 가져야 한다는 공정거래법 탓이다. 물론 선진국에는 없는 규제다. 두 회사는 합작이라는 게 혼자 일이 아닌데다 전문·체계화를 추진하려면 증손회사 설립은 불가피하다고 하소연한다. 공정거래법을 바꾸면 된다. 하지만 지금 분위기로는 부지하세월이다. 그래서 여당과 정부가 낸 아이디어가 외국인투자촉진법의 개정이다. 외국인 투자는 국내 일상사가 아니니 이 경우에 한해 증손회사 지분율을 50%로 낮춰주자는 것이다.
문제는 야당이다. 총력 반대다. 최근 국회 산업통상자원위원회가 주최한 공청회를 보면 야당이 이 사안을 얼마나 정략적이고 감정적으로 대하는지 쉽게 알 수 있다. 참으로 유치한 공청회였다.
먼저 야당 의원이 나서 타박을 시작했다. 우선 외국인 투자가 1조600억원에 불과한데 왜 2조3000억원으로 오해하도록 얘기하느냐는 지적이다. 맞다. 외국인의 총 투자액은 1조600억원이다. 나머지는 GS와 SK가 넣는 자금이다. 그런데 생각해보라. 합작이 불발되면 어떻게 되나. 투자총액은 0원이다. 정말 한심한 타박이다. 그게 왜 중요한 논점인가.
왜 대통령과 총리까지 나서 난리냐는 것도 시빗거리다. 답답한 질문도 한다. 경제에 활력을 불어넣는 데 가장 효과적인 것이 외국인 투자다. 게다가 중국에 맞서 국내 석유화학산업을 우월적 구조로 재편할 수 있는 프로젝트다. 그러니 총리 아니라 대통령까지 나설 수밖에. 이 야당 의원, 재벌 특혜라는 얘기를 하고 싶었나 보다. 파라자일렌 투자를 할 수 있는 중소기업이 어디 있는가. 골목상권도 아니고, 갑을 관계도 아니다. 그저 생트집이다.
왜 고용유발 효과를 부풀리느냐는 지적도 나왔다. 역시 초등학생 수준이다. GS와 SK가 직접 고용하는 인력은 194명이다. 그런데 전후방 효과라는 게 있다. 그 효과를 추정하기 위해 동원하는 것이 산업연관표다. 그래서 계산한 이들 공장의 직간접 고용효과가 좁게 보면 연간 1100명이고 넓게 보면 1만4000명이라는 것이다. 게다가 공장 건설 과정에 20만명의 일자리가 생긴다. 뭘 부풀렸다는 건지.
이들에 못지않은 학자가 발언권을 얻었다. 평소 그렇듯 대기업을 범죄 집단으로 매도하더니, 봐주는 듯 대안이라는 걸 내놓았다. 외촉법을 고치려 하지 말고 정무위에 가서 공정거래법을 바꾸라고. 때리는 시어머니보다 말리는 시누이가 더 미운 법이다. 여기에 다른 야당 의원이 거들었다. 법으로 안 될 걸 알면서 계약을 했다면 사고치고 와서 결혼시켜달라는 것 아니냐고. 이쯤 되면 이 두 사람은 건망증 환자로 보는 게 옳다. 두 회사가 합작 협상을 벌이던 18대 국회 당시 정무위는 공정거래법의 증손회사 지분율 완화에 합의한 적이 있다. 그 법안을 월권으로 깔아뭉개다가 자동 폐기시킨 것이 법사위 야당 강성 의원들이다. 이걸 왜 모른 척 하시나.
몇몇 수출 기업 덕분에 먹고사는 구조다. 공단에 가보라. 장기 불황 탓에 웬만한 공장은 인력 구조조정 중이다. ‘함바집’이 밥그릇 수가 줄어 문을 닫을 지경이라면 할 말 다했다. 일자리는 날아가고, 넛크래커 신세인 기업들은 신규 투자 기회를 놓쳐 해외 시장을 앉아서 잃고 있다. GS와 SK의 투자도 이 기회를 놓치면 없던 일이 돼 버린다. 파트너가 뭐가 아쉬워 골치 아픈 한국을 고집하겠는가.
외국인들이 다 빠져나가 금붙이를 모아 나라를 살린 것이 십수 년 전이다. 그 사이 배가 불렀는지 외국인 투자 공장 건설을 강아지 집 짓듯 여기는 정치인들이다.
다행스럽다고 해야 할지는 아직 모르겠다. 어쨌든 여야가 국회 정상화에 합의했다고 한다. 민생을 조금이라도 생각한다면 외촉법 개정부터 서두르는 것이 옳다. 정치인들이 정신을 차려주길 바란다.
김정호 수석논설위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