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철도 파업에 엄정히 대처"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전국철도노동조합이 민영화 논란을 빚고 있는 ‘수서발 KTX’ 운영회사 설립에 반대해 오는 9일 파업을 예고한 가운데 서승환 국토교통부 장관이 대국민 호소문을 통해 파업의 불법성을 강조하고 법에 따라 대응할 것이라고 밝혔다.
서 장관은 6일 발표한 호소문에서 “수서발 KTX 운영회사 설립을 저지하기 위한 파업은 명백한 불법”이라며 “무책임하게 불법 파업에 동참한다면 정부는 법과 원칙이 정하는 바에 따라 엄정히 대처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철도노조는 코레일이 지분을 출자해 수서발 KTX 운영사를 만드는 것은 철도 민영화의 시발점이라고 주장하고 있다.
하지만 서 장관은 “철도노조가 정부에서 추진하지도 않는 민영화 논리를 내세우며 파업에 돌입하는 것은 국민과 철도산업 모두를 위험으로 몰아가는 것”이라며 “수서발 KTX 회사는 민영화와 전혀 무관하다”고 해명했다.
국토부는 이날부터 철도 파업에 대비해 비상대책수송본부도 가동했다. 국토부와 코레일은 노조가 파업하더라도 대체 인력을 투입해 출·퇴근용 광역철도와 KTX는 정상 운행할 계획이다. 또 새마을·무궁화 열차 운행은 평소의 60% 정도로 줄어들 것에 대비해 버스 등 대체 교통수단을 지원할 예정이다.
안정락 기자 jran@hankyung.com
서 장관은 6일 발표한 호소문에서 “수서발 KTX 운영회사 설립을 저지하기 위한 파업은 명백한 불법”이라며 “무책임하게 불법 파업에 동참한다면 정부는 법과 원칙이 정하는 바에 따라 엄정히 대처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철도노조는 코레일이 지분을 출자해 수서발 KTX 운영사를 만드는 것은 철도 민영화의 시발점이라고 주장하고 있다.
하지만 서 장관은 “철도노조가 정부에서 추진하지도 않는 민영화 논리를 내세우며 파업에 돌입하는 것은 국민과 철도산업 모두를 위험으로 몰아가는 것”이라며 “수서발 KTX 회사는 민영화와 전혀 무관하다”고 해명했다.
국토부는 이날부터 철도 파업에 대비해 비상대책수송본부도 가동했다. 국토부와 코레일은 노조가 파업하더라도 대체 인력을 투입해 출·퇴근용 광역철도와 KTX는 정상 운행할 계획이다. 또 새마을·무궁화 열차 운행은 평소의 60% 정도로 줄어들 것에 대비해 버스 등 대체 교통수단을 지원할 예정이다.
안정락 기자 jra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