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직증축 리모델링이 활성화되기 위해서는 풀어야 할 문제도 적지 않다는 게 전문가들의 지적이다. 대표적인 게 주택 가격 회복과 공사비 절감이다. 리모델링을 통해 늘어나는 아파트를 분양해 사업 비용을 줄여야 하는데 집값이 오르지 않으면 부담이 커질 수밖에 없어서다.

한국건설산업연구원에 따르면 수직증축 리모델링 이후 3.3㎡당 아파트값이 이전보다 400만원 이상 올라야 사업 추진이 가능할 것으로 조사됐다. 3.3㎡당 시세가 1600만원인 아파트의 수직증축 리모델링 사업성을 분석한 결과 리모델링 후 3.3㎡당 2000만원까지는 올라야 공사비를 제외하고 이익을 낼 수 있다는 것이다.

실제 일반분양을 통해 공사비를 줄이려면 기존 아파트값이 3.3㎡당 1600만원 이상은 돼야 사업성이 있을 것으로 건설업계는 추산하고 있다. 집값이 비싼 서울과 분당 등 수도권 일부 신도시를 제외하고는 당장 리모델링 추진이 쉽지 않다.

기존 주민들이 거주하면서 리모델링 공사를 진행하는 ‘비이주 공사방식’ 등 다양한 신기술과 사업관리 방식의 개발이 시급하다는 지적도 많다. 현재와 같이 골조만 남기는 방식의 리모델링을 추진한다면 일반분양을 통한 비용 절감을 감안해도 가구당 부담금은 1억원을 웃돈다.

가구 수 증가에 따른 도로와 주차장 부족 문제도 해결해야 할 숙제다. 정부도 이 같은 주거 여건 악화를 우려해 대도시의 경우 지방자치단체가 리모델링 기본계획을 수립하도록 했다. 그러나 이 과정에서 일조권과 용적률 등 사업비와 밀접한 규제들이 강화될 가능성이 높다. 리모델링업계 관계자는 “일조권과 용적률 기준 등이 정해져 있어 법률이 정한 15%까지 늘어난 일반분양 혜택을 전부 누릴 수 있는 단지는 많지 않을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 때문에 전문가들은 재테크 차원의 투자적 개념보다는 노후한 주택을 정비해 사용 가치를 높이는 방식으로 접근해야 한다고 입을 모은다. 윤영선 건설산업연구원 연구위원은 “필요한 부분만 고치고 확대하는 맞춤형과 부분 증축형 또는 대수선형 방식의 리모델링을 추진할 필요가 있다”고 설명했다.

김보형 기자 kph21c@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