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차 '후진', 최악 불황 탓…판매 7년 만에 감소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경기침체가 지속되면서 불황 때 상대적으로 잘 팔리는 경차 판매마저 줄어들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8일 완성차업계에 따르면 지난 1~11월 기아자동차 모닝과 레이, 한국GM의 스파크 등 경차 판매량이 16만5587대로 작년 같은 기간보다 11.7% 감소했다. 국내 경차시장이 전년과 비교해 감소세로 돌아선 것은 2006년 이후 7년 만이다. 2006년 경차 판매량은 3만9230대에 불과했다. 이후 2008년 모닝이 기존 소형차에서 경차로 분류되면서 2년 만에 판매량이 13만4303대로 세 배 이상 급증했다. 이후에도 경차는 상대적으로 싼 가격과 뛰어난 연비를 강점으로 소비자의 호응을 얻으며 지난해 역대 최다 판매량인 20만2854대를 기록했다.
당초 업계에서는 올해도 경차시장이 확대될 것으로 예상했다. 작년 말 한국자동차산업협회(KAMA)는 합리적 소비 성향이 확산되면서 올해 경차시장이 작년보다 8% 성장한 21만9000여대로 커질 것으로 전망했다. 하지만 이런 예상은 빗나갔다. 경차 판매량이 하락세로 돌아선 것은 경기침체와 소비심리 위축 때문인 것으로 분석된다.
최진석 기자 iskra@hankyung.com
8일 완성차업계에 따르면 지난 1~11월 기아자동차 모닝과 레이, 한국GM의 스파크 등 경차 판매량이 16만5587대로 작년 같은 기간보다 11.7% 감소했다. 국내 경차시장이 전년과 비교해 감소세로 돌아선 것은 2006년 이후 7년 만이다. 2006년 경차 판매량은 3만9230대에 불과했다. 이후 2008년 모닝이 기존 소형차에서 경차로 분류되면서 2년 만에 판매량이 13만4303대로 세 배 이상 급증했다. 이후에도 경차는 상대적으로 싼 가격과 뛰어난 연비를 강점으로 소비자의 호응을 얻으며 지난해 역대 최다 판매량인 20만2854대를 기록했다.
당초 업계에서는 올해도 경차시장이 확대될 것으로 예상했다. 작년 말 한국자동차산업협회(KAMA)는 합리적 소비 성향이 확산되면서 올해 경차시장이 작년보다 8% 성장한 21만9000여대로 커질 것으로 전망했다. 하지만 이런 예상은 빗나갔다. 경차 판매량이 하락세로 돌아선 것은 경기침체와 소비심리 위축 때문인 것으로 분석된다.
최진석 기자 iskra@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