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공인 1호 한경 TESAT] 특허권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www.tesat.or.kr
문제
특허를 다른 사람들이 사용하도록 라이선스를 발급하는 것은 특허권을 가진 사람의 고유 권한이다. 그런데 특허권자가 차별적으로 특정 제3자에 대해 라이선스 발급을 거부할 수 없는 특허는?
(1) 발명특허 (2) 표준특허 (3) 의장특허 (4) 실용특허 (5) 의약품에 대한 특허
해설
표준특허란 국제표준화기구(ISO) 국제전기통신연합(ITU) 등의 국제 표준화기구에서 제정한 표준규격에 포함되는 특허다. 이 특허를 침해하지 않고는 제품 제조·판매·서비스를 제공하는 게 불가능한 것이 특징이다. 표준기술을 구현하기 위해 반드시 사용해야만 하는 특허이기 때문에 차별적으로 특정 제3자에 대해 라이선스 발급을 거부할 수 없다. 대부분의 기업에 특허 사용을 허용한 A기업이 같은 조건으로 경쟁사인 B가 특허 사용을 요청할 경우 이를 거부할 수 없다는 뜻이다. 실용특허(실용신안)는 제품의 사이클이 짧고 모방이 용이한 기술을 조기에 보호하기 위해 도입한 것이다.
정답 (2)
특허를 다른 사람들이 사용하도록 라이선스를 발급하는 것은 특허권을 가진 사람의 고유 권한이다. 그런데 특허권자가 차별적으로 특정 제3자에 대해 라이선스 발급을 거부할 수 없는 특허는?
(1) 발명특허 (2) 표준특허 (3) 의장특허 (4) 실용특허 (5) 의약품에 대한 특허
해설
표준특허란 국제표준화기구(ISO) 국제전기통신연합(ITU) 등의 국제 표준화기구에서 제정한 표준규격에 포함되는 특허다. 이 특허를 침해하지 않고는 제품 제조·판매·서비스를 제공하는 게 불가능한 것이 특징이다. 표준기술을 구현하기 위해 반드시 사용해야만 하는 특허이기 때문에 차별적으로 특정 제3자에 대해 라이선스 발급을 거부할 수 없다. 대부분의 기업에 특허 사용을 허용한 A기업이 같은 조건으로 경쟁사인 B가 특허 사용을 요청할 경우 이를 거부할 수 없다는 뜻이다. 실용특허(실용신안)는 제품의 사이클이 짧고 모방이 용이한 기술을 조기에 보호하기 위해 도입한 것이다.
정답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