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화만社성!…"아이 손잡고 출근하는 회사, 일 더 잘돼요"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여가부, 에버랜드 등 288곳 '가족친화' 신규인증
朴 대통령 "일·가정 양립은 기업 잠재력 키우는 일"
朴 대통령 "일·가정 양립은 기업 잠재력 키우는 일"
#1. 삼성토탈 충남 서산공장에는 석·박사급 직원 10여명이 다른 직원의 자녀를 가르치는 공부방 ‘아이비스쿨’이 있다. 자녀 교육문제로 지방 근무를 할 때 불가피하게 ‘기러기 아빠’가 되는 사례를 줄이고, 직원들의 자녀 사교육비를 조금이나마 줄여주기 위해 2009년 만들었다. 자녀가 아이비리그에 진학할 수 있도록 지원하겠다는 의미를 담아 아이비스쿨이란 이름을 붙였다. 삼성토탈은 사원 아파트단지에 있는 상가를 리모델링해 교육문화센터로 바꿔 도서관 독서실 동아리방 등 문화공간도 마련했다. 아이비스쿨은 설립 4년 만에 서산 일대 중·고교생이 가장 다니고 싶어하는 독서실 겸 공부방으로 자리잡았다.
#2. 대웅제약은 제약업계 최초로 2011년 서울 삼성동 본사에 사내 어린이집 ‘리틀 베어’를 설립했다. 실제 아이를 둔 여성 직원들로 태스크포스(TF)를 구성, 어린이집 운영에 필요한 수요 조사부터 위탁업체 및 보육교사 선정까지 아이를 맡길 엄마들에게 선택권을 줬다. 당초 별관 건물에 어린이집을 만들려 했지만 “아이와 같은 건물에 있어야 마음이 더 놓인다”는 여직원의 의견을 반영했다. 대웅제약은 전체 직원의 30%가 여성일 정도로 여성에게 인기 좋은 직장이 됐다.
○도입 5년 만에 522개로 확산
‘일·가정 양립’을 위해 가족친화경영을 펼치는 기업이 늘고 있다. 생산성 향상과 우수 여성 인력을 발굴하기 위해선 일과 가정생활을 병행할 수 있는 가족친화 직장문화 조성이 필수요건으로 자리잡고 있다는 게 정부와 업계 관계자들의 설명이다. 이에 따라 가족친화인증을 받은 기업도 매년 증가하고 있다. 가족친화인증제도는 유연근무제, 자녀 출산·양육 및 교육지원제도 등 가족친화제도를 모범적으로 운영하는 기업 및 공공기관에 공식 인증을 부여하는 제도로, 2008년 도입됐다. 가족친화제도를 부문별로 평가해 100점 만점 중 대기업은 70점, 중소기업은 60점을 넘으면 인증해준다. 인증기간은 3년이며 실적에 따라 2년 연장할 수 있다.
여가부에 따르면 도입 첫해 11개에 불과했던 인증기업 수는 올해 288개가 신규 인증을 받는 등 총 522개로 늘어났다. 적극적인 설명회와 홍보활동 등으로 예년보다 많은 기업이 참여한 데다 인증제도에 대한 기업들의 관심이 높아졌다는 게 여가부의 설명이다.
여가부는 9일 대한상공회의소에서 가족친화인증기업으로 선정된 288개 기업·기관에 대한 인증 수여식을 열었다. 이날 시상식에는 박근혜 대통령이 행사를 열기 시작한 2008년 이후 대통령으로는 처음 참석했다. 박 대통령은 “육아휴직과 직장 어린이집, 유연근무 등을 통해 육아 부담을 덜어주고 가족의 가치를 지킬 수 있도록 하는 일은 개인과 가족의 행복은 물론 궁극적으로 기업의 성장 잠재력을 키우는 일”이라고 강조했다.
이날 국민포장은 삼성에버랜드가 받았고, 대통령 표창은 삼성토탈, 솔트룩수가 받았다. 국무총리 표창은 SK C&C, 대웅제약, 덕산코트랜, 한국도로공사 등 4개 기업·기관이 받았다.
○기업 참여율 여전히 저조
2011년 기준으로 20인 이상 사업장은 12만4726개에 달한다. 2008년부터 올해까지 가족친화인증을 받은 기업은 522개로, 전체 기업의 0.4%에 불과하다. 인증기업 수가 매년 증가하고 있지만 여전히 참여율은 저조하다는 얘기다.
전문가들은 인증기업이 실질적으로 원하는 실효성 있는 인센티브를 발굴해야 한다고 지적한다. 가족친화인증기업으로 선정되면 정부가 발주하는 용역·구매 사업에서 일정 가점을 받을 수 있다. 중소·중견기업은 은행권에서 최대 1.5%의 투·융자 금리 우대를 받게 된다.
여가부는 인증기업이 앞으로 정부 발주 사업에서 가점을 받을 수 있는 대상 및 범위를 확대할 계획이다. 대기업에 비해 사정이 열악한 중소기업도 가족친화인증에 적극 참여할 수 있도록 중소기업에 맞는 인증 기준을 정비할 예정이다. 지난 7월부터는 금융위원회의 협조를 얻어 상장기업을 대상으로 한국거래소 자율공시 항목에 가족친화인증정보를 반영할 수 있도록 했다. 이와 함께 여가부는 2017년까지 공공기관의 가족친화인증을 의무화할 계획이다.
강경민 기자 kkm1026@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