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철도파업 엄정대처가 공공개혁 출발이다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전국철도노동조합이 기어코 파업에 돌입했다. 박근혜 정부 들어 공공노조의 첫 파업이다. 강도 높은 공공개혁이 예고된 상황에서 벌어진 노조 쪽의 공세라고 봐야 할 것이다. 당장 물류와 여객운송에 차질이 빚어진 가운데 코레일 측은 “명분도 실리도 없는 명백한 불법파업”이라며 주동자 194명을 경찰에 고소·고발했다. 또 파업 참가자 4356명 전원을 직위해제했다. 지극히 정상적인 조치로 본다.
사측이나 정부는 이번에야말로 어물쩍 수습하려고 해선 안 된다. 엄정한 대처야말로 공공개혁의 첫 관문이다. 이번 파업은 임금 때문이 아니다. 2016년 개통예정인 수서발 KTX 노선의 운영방식을 명분으로 내걸고 있다. 정부와 코레일은 수서~부산·목포 노선을 담당할 별도 자회사를 설립하기로 하고 지분 41%는 코레일에, 나머지는 다른 공공기관에 넘기기로 한 바 있다. 노조는 이것이 민영화의 전단계라며 반대투쟁에 나선 상황이다. 공공개혁을 저지하려는 것이라고 볼 수밖에 없다.
17조원의 빚더미 위에 올라앉아 있는 코레일은 부채비율이 400%가 넘는다. 민간기업 같으면 벌써 부실 정리에 들어갔겠지만 공기업이기에 꼬박꼬박 월급도 받고 온갖 후생복지까지 누린다. 매년 수천억원의 적자에도 노조는 임금 6.7% 인상을 요구하고 있다. 사실 이런 부실 공기업은 조기에 민영화하는 것이 유일한 해법이다. 정부가 민영화를 통한 정상화 방안을 언급조차 않는 것부터가 비정상적이다.
정부와 사측이 할 일은 명확하다. 불법 파업 주동자에 대한 고소·고발도 절대 취하해선 안 된다. 파업 손실에 대해서는 철저하게 민사소송까지 진행해야 한다. 열차에 온갖 구호를 덕지덕지 붙이는 행위는 회사재산권 침해다. 지금까지처럼 좌시해서는 안 된다. 특히 엊그제 코레일 대변인의 언론브리핑을 가로막았던 노조의 오만한 행동은 업무방해로 소송을 걸어야 마땅하다. 코레일 경영진이 노조와 한통속일 수도 있다는 세간의 의심을 회사는 풀어주기 바란다. 박근혜 정부의 법과 원칙이 여기에 달렸다.
사측이나 정부는 이번에야말로 어물쩍 수습하려고 해선 안 된다. 엄정한 대처야말로 공공개혁의 첫 관문이다. 이번 파업은 임금 때문이 아니다. 2016년 개통예정인 수서발 KTX 노선의 운영방식을 명분으로 내걸고 있다. 정부와 코레일은 수서~부산·목포 노선을 담당할 별도 자회사를 설립하기로 하고 지분 41%는 코레일에, 나머지는 다른 공공기관에 넘기기로 한 바 있다. 노조는 이것이 민영화의 전단계라며 반대투쟁에 나선 상황이다. 공공개혁을 저지하려는 것이라고 볼 수밖에 없다.
17조원의 빚더미 위에 올라앉아 있는 코레일은 부채비율이 400%가 넘는다. 민간기업 같으면 벌써 부실 정리에 들어갔겠지만 공기업이기에 꼬박꼬박 월급도 받고 온갖 후생복지까지 누린다. 매년 수천억원의 적자에도 노조는 임금 6.7% 인상을 요구하고 있다. 사실 이런 부실 공기업은 조기에 민영화하는 것이 유일한 해법이다. 정부가 민영화를 통한 정상화 방안을 언급조차 않는 것부터가 비정상적이다.
정부와 사측이 할 일은 명확하다. 불법 파업 주동자에 대한 고소·고발도 절대 취하해선 안 된다. 파업 손실에 대해서는 철저하게 민사소송까지 진행해야 한다. 열차에 온갖 구호를 덕지덕지 붙이는 행위는 회사재산권 침해다. 지금까지처럼 좌시해서는 안 된다. 특히 엊그제 코레일 대변인의 언론브리핑을 가로막았던 노조의 오만한 행동은 업무방해로 소송을 걸어야 마땅하다. 코레일 경영진이 노조와 한통속일 수도 있다는 세간의 의심을 회사는 풀어주기 바란다. 박근혜 정부의 법과 원칙이 여기에 달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