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켓인사이트 12월9일 오후 4시40분

금감원 부원장 '동양사태' 책임지고 사의
김건섭 금융감독원 부원장(금융투자 시장담당·사진)이 최수현 금감원장에게 ‘동양사태’의 책임을 지고 사의를 표명한 것으로 알려졌다. 최 원장은 이를 수리하지 않고 부원장 직급은 유지한 채 증권 관련 업무에서 김 부원장을 배제시키는 방안을 고려 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금융당국 고위 관계자는 9일 “김 부원장이 이달 초 최 원장에게 사의를 표했고 신제윤 금융위원장도 이 사실을 전달받은 것으로 알고 있다”며 “최 원장은 금감원에 대한 감사원 감사가 끝날 때까지 김 부원장이 책임지고 조사 받기를 원해 사의를 받아들이지 않았다”고 말했다.

금감원장의 제청을 받아 금융위원장이 임명하는 금감원 부원장의 사의 수리는 금융위원장이 하는 게 원칙이나 부원장 업무 조정권을 금감원장이 갖고 있어 실질적으로 최 원장이 먼저 처리하게 돼 있다.

또 다른 금융당국 관계자는 “감사원이 동양사태와 관련해 금융위, 금감원에 대해 강도 높은 감사에 착수할 예정”이라며 “감사에 앞서 책임지는 모습을 보일 필요가 있어 김 부원장이 결단을 내린 것으로 들었다”고 덧붙였다. 이에 대해 김 부원장은 “아직 얘기를 할 단계는 아닌 것 같다”고 했다.

앞서 지난 10월 금감원 국정감사에서 김기식 민주당 의원은 “동양증권이 2009년 계열사 기업어음(CP) 판매를 줄이기로 금감원과 양해각서(MOU)를 맺었지만 금감원이 이를 제대로 감독하지 않아 4만1000여명의 동양그룹 회사채·CP 피해자가 생겼다”며 MOU를 담당한 김 부원장에게 책임질 것을 요구했다.

김 부원장은 2009년 당시 금융투자서비스국장을 맡아 증권관련 감독과 검사업무를 총괄했다.

김 의원은 “금감원으로부터 김 부원장이 업무에서 배제된다는 보고를 받았다”면서도 “김 부원장 한 사람의 책임으로 끝날 문제는 아니다”고 했다. 김 부원장이 공식 업무라인에서 배제되면 2011년 ‘저축은행 사태’ 때 김장호 당시 부원장보 이후 금감원 임원이 직급을 유지한 채 업무를 맡지 못하는 두 번째 사례가 된다.

허란/안대규 기자 why@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