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사 교과서 8종 수정·보완 작업 완료…北인권문제·천안함·日독도침탈 등 41건 수정
교육부는 10일 교학사 등 7종의 한국사 교과서 출판사가 교육부 명령에 따라 제출한 검정 교과서 수정안을 모두 승인했다. 이에 따라 자체 수정을 끝낸 리베르스쿨 교과서를 포함한 8개 교과서 모두 수정·보완 작업이 일단락됐으나 교학사를 제외한 6종 교과서 집필진이 수정명령 취소소송 등을 제기해 논란은 계속될 전망이다.

이번에 승인된 41건 수정 내용은 △북한의 토지개혁에 대한 정확한 실상 설명(금성) △천안함 피격사건 주체 서술(두산동아) △6·25전쟁 당시 북한군과 국군의 양민학살사례 균형 서술 △남북 대립 및 통일 논의 중단 원인에 대한 올바른 서술(비상교육) △일본의 독도 침탈 과정에 대한 정확한 서술(지학사) △북한 주민의 인권 문제에 대한 구체적 서술(천재교육) △반민특위 해산 과정에 대한 정확한 서술(교학사) 등이다.

미화 논란을 일으킨 인촌 김성수의 광복 직전 동향(교학사 292쪽)은 ‘일본식 성명 강요를 거부하고 일제가 제의하는 작위와 귀족원 의원직도 거절하였다’ 등의 서술을 빼고 ‘그는 경영자로 활동하면서, 일제의 통치정책에도 상당 부분 협력하였다’고 바뀌었다. 금성교과서는 아프라시아브 궁전 벽화의 고구려 사신(70쪽)에 대해 교육부가 ‘추정됨’이라고 수정하도록 명령했으나 ‘깃털이 달린 절풍을 쓰고, 고리 손잡이가 달린 큰 칼을 차고 있어 고구려 사신으로 보고 있다’고 수정했다.

이날부터 교과서 전시본은 웹으로 공개되고 오는 18일께부터 서책형 전시본도 제공된다. 각 고교가 30일까지 교과서 선정을 마치면 내년 2월 공급될 예정이다.

교학사 교과서가 일제의 쌀 수탈을 ‘반출’이라고 자체 수정한 점이나 훈민정음과 관련해 지나치게 짧게 언급한 점 등은 여전히 논란거리다. 전교조를 비롯한 시민사회단체는 교학사 교과서 불채택 운동을 벌이기로 했고 국회 교육문화위원회 야당의원들은 “교학사의 ‘친일 근대화론 관점’은 전혀 수정되지 않았다”고 반발했다.

서남수 교육부 장관(사진)은 기자회견에서 “사실 오류든 편향의 문제든 교과서 검정단계에서 완전히 바로잡을 수 있도록 앞으로 검정시스템을 전면적으로 보완하겠다”고 밝혔다.

정태웅 기자 redael@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