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업이익 전망 최대 2조 원 차이

<한경DB>
<한경DB>
주요 증권사들이 삼성전자 4분기 실적에 대해 최대 2조 원 가까이 차이나는 추청치를 내놨다. 한국 증시 대장주인 삼성전자에 쏠려있는 투자자들의 관심을 고려할 때 정보를 줘야 할 증권사 추정치 편차가 너무 크다는 지적이 나온다.

◆ 추정치 최대 11조2457억 원 · 최소 9조3720억 원

11일 금융정보업체 에프앤가이드에 따르면 지난 9일 기준으로 삼성전자 4분기 실적 추정치를 발표한 증권사는 27곳이다. 평균 추정치는 매출 62조1435억 원, 영업이익 10조4856억 원이다.

가장 높은 영업이익을 제시한 곳은 LIG투자증권으로 11조2457억 원을 예상했다. 매출도 최대인 64조8253억 원으로 잡았다.

SK증권은 가장 낮은 9조3720억 원의 영업이익을 내놨다. 매출은 63조6930억 원을 올릴 것으로 내다봤다. SK증권은 27개 증권사 중 유일하게 9조 원 대 영업이익을 제시했다.

아이엠·하이·HMC·대신증권 등은 10조 원 초반의 영업이익을, 현대·키움· NH농협·한화·KB 등은 10조 원 중후반을 예상했다.

증권사의 실적 추정치는 기관은 물론 개인 투자자들에게 중요한 참고자료다. 삼성전자가 국내 증시에서 차지하는 시총 비중이 20%에 달한다. 시장 영향이 매우 크다. 하지만 증권사별로 추정치가 제각각이다보니 투자자들에게 혼란을 줄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한 자산운용사 매니저는 "삼성전자에 대해 증권사마다 추정치 편차가 크다" 며 "증권사 자료뿐 아니라 내부적으로 기업 탐방도 가고 다양한 자료를 활용하고 있다"고 말했다. 또 다른 운용사 매니저는 "단순 숫자만이 아니라 해당 증권사가 그런 추정치를 낸 과정을 꼼꼼히 살펴본다" 며 "산출 과정이 합당한지 여부를 판단 기준으로 삼는다"고 밝혔다.

◆ 2·3분기, 추정치와 실적 괴리 커

증권사들은 추정치를 산출하는 공식화된 방법이 있는 게 아니어서 편차가 생길 수 밖에 없다는 입장이다.

한 증권사 관계자는 "매출의 경우 통상 예상 판매량에 예상단가를 곱해 산출하고, 영업이익은 매출에서 원가와 판관비 등을 제외하고 뽑는다" 며 "계절적 요인, 경쟁업체 상황 등 여러가지를 고려하지만 영업이익이 10조 원이 넘는 덩치라서 정확한 수치를 산출하긴 힘들다"고 말했다.

추정치와 실제 실적 사이의 괴리가 크다는 것도 문제다. 지난 3분기 대부분 증권사들은 삼성전자 영업이익이 10조 원을 넘기지 못할 것으로 전망했다. 뚜껑을 열어보니 삼성전자는 10조1000억 원의 영업이익을 올려 분기 첫 10조원 시대를 열었다. 2분기에는 10조 원을 넘을 것이란 장밋빛 전망이 주를 이뤘지만 실제 영업이익은 9조5300억 원에 그쳤다.

목표 주가도 제각각이다. 키움증권은 가장 높은 210만 원을, 이트레이드증권은 지난 9월 135만 원으로 내렸다. 삼성전자는 이달 들어 143만~145만 원 선을 맴돌고 있다. 목표주가가 실제 주가보다 낮은 셈이다.

삼성전자는 다음 달 3일께 4분기 잠정실적을 발표한다. 이 회사는 투자자들의 실적 예측을 돕기 위해 2009년 7월부터 잠정 실적을 발표하고 있다. 한경닷컴 권민경 기자 kyoun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