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경DB>
주요 증권사들이 삼성전자 4분기 실적에 대해 최대 2조 원 가까이 차이나는 추청치를 내놨다. 한국 증시 대장주인 삼성전자에 쏠려있는 투자자들의 관심을 고려할 때 정보를 줘야 할 증권사 추정치 편차가 너무 크다는 지적이 나온다.
◆ 추정치 최대 11조2457억 원 · 최소 9조3720억 원
11일 금융정보업체 에프앤가이드에 따르면 지난 9일 기준으로 삼성전자 4분기 실적 추정치를 발표한 증권사는 27곳이다. 평균 추정치는 매출 62조1435억 원, 영업이익 10조4856억 원이다.
가장 높은 영업이익을 제시한 곳은 LIG투자증권으로 11조2457억 원을 예상했다. 매출도 최대인 64조8253억 원으로 잡았다.
SK증권은 가장 낮은 9조3720억 원의 영업이익을 내놨다. 매출은 63조6930억 원을 올릴 것으로 내다봤다. SK증권은 27개 증권사 중 유일하게 9조 원 대 영업이익을 제시했다.
아이엠·하이·HMC·대신증권 등은 10조 원 초반의 영업이익을, 현대·키움· NH농협·한화·KB 등은 10조 원 중후반을 예상했다.
증권사의 실적 추정치는 기관은 물론 개인 투자자들에게 중요한 참고자료다. 삼성전자가 국내 증시에서 차지하는 시총 비중이 20%에 달한다. 시장 영향이 매우 크다. 하지만 증권사별로 추정치가 제각각이다보니 투자자들에게 혼란을 줄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한 자산운용사 매니저는 "삼성전자에 대해 증권사마다 추정치 편차가 크다" 며 "증권사 자료뿐 아니라 내부적으로 기업 탐방도 가고 다양한 자료를 활용하고 있다"고 말했다. 또 다른 운용사 매니저는 "단순 숫자만이 아니라 해당 증권사가 그런 추정치를 낸 과정을 꼼꼼히 살펴본다" 며 "산출 과정이 합당한지 여부를 판단 기준으로 삼는다"고 밝혔다.
◆ 2·3분기, 추정치와 실적 괴리 커
증권사들은 추정치를 산출하는 공식화된 방법이 있는 게 아니어서 편차가 생길 수 밖에 없다는 입장이다.
한 증권사 관계자는 "매출의 경우 통상 예상 판매량에 예상단가를 곱해 산출하고, 영업이익은 매출에서 원가와 판관비 등을 제외하고 뽑는다" 며 "계절적 요인, 경쟁업체 상황 등 여러가지를 고려하지만 영업이익이 10조 원이 넘는 덩치라서 정확한 수치를 산출하긴 힘들다"고 말했다.
추정치와 실제 실적 사이의 괴리가 크다는 것도 문제다. 지난 3분기 대부분 증권사들은 삼성전자 영업이익이 10조 원을 넘기지 못할 것으로 전망했다. 뚜껑을 열어보니 삼성전자는 10조1000억 원의 영업이익을 올려 분기 첫 10조원 시대를 열었다. 2분기에는 10조 원을 넘을 것이란 장밋빛 전망이 주를 이뤘지만 실제 영업이익은 9조5300억 원에 그쳤다.
목표 주가도 제각각이다. 키움증권은 가장 높은 210만 원을, 이트레이드증권은 지난 9월 135만 원으로 내렸다. 삼성전자는 이달 들어 143만~145만 원 선을 맴돌고 있다. 목표주가가 실제 주가보다 낮은 셈이다.
삼성전자는 다음 달 3일께 4분기 잠정실적을 발표한다. 이 회사는 투자자들의 실적 예측을 돕기 위해 2009년 7월부터 잠정 실적을 발표하고 있다. 한경닷컴 권민경 기자 kyoung@hankyung.com
중국발(發) '딥시크 포비아'로 인해 국내 주요 정부부처가 '딥시크 금지령'을 내렸다. 이로 인해 중국과 통상 마찰이 빚어질 경우 비트코인 등 암호화폐 시장에 악재가 될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6일 관계 부처에 따르면 외교부, 국방부, 통일부, 산업통상자원부 등 정부부처는 중국 인공지능(AI) 딥시크 접속을 차단했고, 기획재정부는 차단을 검토하고 있다. 하나은행, 우리은행, KB국민은행 등 금융권도 잇달아 딥시크 차단 대열에 합류했다. 딥시크 금지령이 전방위로 확산하고 있는 건 정보 유출 가능성 때문이다. 딥시크는 사용자의 이름, 생년월일은 물론 키보드 입력 패턴과 리듬 등 다양한 개인정보를 수집, 중국 내 서버에 저장하는 만큼 보안 우려가 커지고 있다.무역 마찰시 암호화폐 투심 위축앞서 지난주 암호화폐 시장은 딥시크 쇼크로 한 차례 급락을 겪은 바 있다. 딥시크가 '저비용 고성능' AI 모델로 부각되면서 엔비디아 등 미 기술주가 폭락, 미 증시와 커플링(동조화)이 높아진 암호화폐 시장도 직격탄을 맞은 것. 다만 김민승 코빗리서치센터장은 "(지난주) 미 증시가 폭락한 건 연방준비제도(Fed)가 금리를 동결하고 일본이 금리를 2배로 인상한 상황에서 딥시크가 등장하며 발생한 복합적인 현상"이라며 "딥시크와 비트코인 간 직접적 연결성을 찾기는 어려운 만큼 (급락이) 딥시크에만 기인했다고 볼 수는 없다"고 설명했다. 문제는 정부 차원의 딥시크 접속 차단이 통상 분쟁으로 번질 경우다. 중국은 외국 기업의 자국 기술 차단에 민감하게 반응해왔다. 2019년 미국의 화웨이 제재 당시 중국이 일부 미국 기업을 블랙리스트에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가상자산(암호화폐) 산업을 국가의 핵심 성장 동력으로 삼겠다는 의지를 표명했다. 한국도 디지털자산 기본법을 제정할 때가 됐다”강준현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6일 '디지털자산 기본법 제정을 위한 국회 포럼'을 열고 이같이 밝혔다.이날 축사를 맡은 강 의원은 "국내 가상자산 시장의 규모는 시가총액으로 약 110조원에 달하며, 이용자 수가 800만 명에 달한다"면서 "다만 여전히 불공정 거래 행위가 있고, 이용자 피해 발생 예방과 구제에 한계를 보이고 있다”고 말했다. "미국, 가상자산 관련 입법 속도…국내도 빠른 입법 요구돼"이어진 발제에서는 미국의 가상자산 산업 현황과 이와 관련된 미국의 목적에 대한 설명이 이어졌다.김갑래 자본시장연구원장은 "바이든 정부와 트럼프 정부는 달러 패권을 유지하겠다는 공통의 목적을 갖고 있다"면서도 "그러나 그 방식에서 트럼프 정부는 보다 과감한 전략을 택한 것이다. 트럼프 정부는 블록체인 기반 결제망을 적극적으로 활용해 달러 패권을 강화시키려 하고 있다"고 말했다.달러 기반 스테이블코인(법정화폐와 가치가 연동되는 가상자산) 시장 확장과 비트코인의 전략적 비축 역시 트럼프 정부의 달러 패권 강화 전략이라고 설명했다. 김 센터장은 "달러 기반 스테이블코인 시장이 커지면 커질수록 자연스레 달러의 패권은 강화되는 구조"라며 "미국은 지난 4일 스테이블코인 법안을 연방 정부 차원에서 발의하고 키워나가려 하고 있다"고 전했다.이어 "비트코인의 전략적 비축 자산화 역시 주 단위와 연방 단위에서 법안들이 빠르게 만들어
메리츠금융지주가 지난해 2조3000억원이 넘는 순이익을 올렸다.메리츠금융지주는 지난해 당기순이익이 2조3334억원으로 전년 대비 9.79% 증가했다고 6일 공시했다. 이 기간 매출액은 46조5745억원으로 20.46% 감소했고, 영업이익은 3조1889억원으로 8.71% 증가했다.자회사 메리츠증권은 지난해 영업이익 1조548억원을 기록하며 증권사 영업이익 '1조 클럽'에 복귀했다. 메리츠증권의 지난해 영업이익은 전년 대비 19.7% 증가한 1조548억원으로 집계됐다.같은 기간 매출액은 34조7850억원으로 전년 대비 26.7% 감소한 반면 당기순이익은 18.0% 늘어난 6960억원으로 집계됐다. 자기자본 총계는 13.2% 늘어난 6조9041억원으로 7조원을 눈앞에 뒀다. 메리츠증권은 공시를 통해 "매출액 감소는 파생상품 평가 및 거래이익 감소 영향"이라고 설명했다.자회사 메리츠화재는 지난해 1조7135억원의 당기순이익을 기록했다. 이는 전년 대비 9.3% 증가한 수준이다. 이 기간 매출액은 6.6% 증가한 11조6532억원을, 영업이익은 9% 늘어난 2조2973억원으로 각각 집계됐다. 메리츠화재는 공시를 통해 "보험영업이익 증가로 인해 영업이익이 개선됐다"고 설명했다.메리츠금융은 이날 이사회에서 보통주 1주당 1350원의 현금배당도 결정했다. 배당금 총액은 2400억원이다. 메리츠금융은 오는 19일 국내외 주주와 투자 관계자를 대상으로 지난해 경영실적 및 기업가치 제고 계획 이행사항 등에 대한 컨퍼런스콜(전화회의)을 진행할 예정이다.노정동 한경닷컴 기자 dong2@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