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제

다음 A, B에 해당하는 화폐의 기능을 바르게 연결한 것은?

A. 물가가 상승할 때 화폐보유를 줄인다.
B. 오징어 한 마리 가격이 2000원에서 3000원으로 올랐다.

① A-지급수단, B-가치저장수단
② A-가치저장수단, B-회계의 단위
③ A-회계의 단위, B-지급수단
④ A-지급수단, B-회계의 단위
⑤ A-가치저장수단, B-지급수단


해설

화폐는 크게 세 가지 기능을 수행한다. 첫째 교환을 원활하게 해주는 교환의 매개체(회계의 단위)로 사용된다. 이는 모든 재화가 화폐 단위로 표시되고 그에 따라 교환이 이뤄지기 때문이다. 둘째 가치저장수단이다. 화폐를 보유함으로써 일반적으로 구매력이 보장된다는 것이다. 셋째 거래의 결제수단이 된다. 화폐로 상품을 구매하거나 채무를 변제할 수 있다.

A는 화폐의 가치저장수단을 말하고 B는 화폐로 표시된 재화의 값에 따라 교환이 이뤄지는 회계단위로서 기능이다.

정답 (2)


문제

[한경 Junior TESAT] 화폐의 기능 등
밑줄 친 ㉠에 해당되는 경제주체로 옳은 것은?

① 한국으로 여행하려는 미국인 여행객
② 미국에 자동차를 수출하는 한국 기업
③ 한국에서 원자재를 수입하는 미국 기업
④ 미국에 유학중인 자녀를 둔 한국인 학부모
⑤ 외국계 기업에서 달러로 임금을 받는 한국인 근로자


해설

그래프의 원·달러 환율은 6월 1142원에서 10월에는 1055원80전으로 낮아지고 있다. 이것은 1달러를 1142원으로 교환하다가 1055원80전으로 달러를 환전할 수 있다는 의미다. 즉 달러의 값은 하락하고 원화의 값이 상승했다. 다시 말해 원·달러 환율이 하락하면 원화 값은 상승한다. 이때 유리한 경제주체는 원화를 달러로 교환하려는 사람이다.

원화 값이 상승하면 일반적으로 수출업체들은 부담이 커진다.

정답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