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北, 장성택 전격 처형] 핵실험·미사일 발사 가능성…정부 "대남도발 대비태세 강화"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정부 대응·남북관계 영향
"김정은, 강경파에 둘러싸여 대남관계 경색 될 수 있다"
"김정은, 강경파에 둘러싸여 대남관계 경색 될 수 있다"
정부는 13일 김장수 국가안보실장 주재로 긴급 국가안보정책조정회의를 여는 등 장성택 전 북한 국방위원회 부위원장 처형 이후 한반도 안보 상황을 예의주시하면서, 대북 감시·경계태세를 강화했다. 정부는 또 회의 후 유관 부처별 대응 방안을 발표했다.
김민석 국방부 대변인은 “정부는 장성택과 관련한 일련의 사태에 대해 깊은 우려를 갖고 있다”며 “연합 감시자산을 증강 운용하고 지상과 해상 등에 대한 감시 및 경계태세를 강화했다”고 말했다. 김 대변인은 “국방부와 합참의 위기관리 태스크포스(TF)를 운영하고, 주요 지휘관과 참모들도 우발상황에 대비토록 했다”며 “북한의 대남도발과 불순세력에 의한 테러 가능성에 철저하게 대비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류길재 통일부 장관은 “정부는 한반도 신뢰 프로세스에 입각해 일관된 대북정책을 추진할 것”이라며 “북한의 도발이나 대남선동 등 잘못된 행동에 대해서는 단호하게 대처하되 대화와 협력을 통한 남북 간 신뢰형성 노력을 지속하겠다”고 했다. 윤병세 외교부 장관은 “오늘 아침 장성택 처형 긴급 보도에서 보듯이 우리가 처한 외교안보 환경은 매우 엄정하다”며 “한반도와 동북아시아, 그리고 세계적으로 수많은 도전이 동시다발적으로 제기되고 있다”고 평가했다.
청와대도 북한의 동향을 파악하고 그에 대한 대책을 마련하는 데 집중했다. 김 실장은 이날 수시로 박근혜 대통령에게 관련 내용을 보고했으며 ‘비상근무’ 체제에 돌입한 것으로 알려졌다.
전문가들은 장성택의 처형으로 향후 남북관계가 경색될 가능성이 높다고 분석했다. 북한 조선중앙통신이 처형 사실을 알리면서 ‘괴뢰역적패당’(북한이 한국 정부를 비난할 때 쓰는 용어)이라는 표현을 썼고, 장성택이 한국 정부 정책에 편승했다고 비판했기 때문이다.
특히 북한 군부 내 강경파들이 술렁이는 내부 분위기를 다잡기 위해 대남도발 카드를 꺼낼 수 있다는 관측도 나온다. 장용석 서울대 통일평화연구원 선임연구원은 “장성택이 한국 정부 정책에 편승했다고 비판받는 상황에 누가 남북 협력을 주장할 수 있겠느냐”고 말했다.
도병욱 기자 dodo@hankyung.com
김민석 국방부 대변인은 “정부는 장성택과 관련한 일련의 사태에 대해 깊은 우려를 갖고 있다”며 “연합 감시자산을 증강 운용하고 지상과 해상 등에 대한 감시 및 경계태세를 강화했다”고 말했다. 김 대변인은 “국방부와 합참의 위기관리 태스크포스(TF)를 운영하고, 주요 지휘관과 참모들도 우발상황에 대비토록 했다”며 “북한의 대남도발과 불순세력에 의한 테러 가능성에 철저하게 대비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류길재 통일부 장관은 “정부는 한반도 신뢰 프로세스에 입각해 일관된 대북정책을 추진할 것”이라며 “북한의 도발이나 대남선동 등 잘못된 행동에 대해서는 단호하게 대처하되 대화와 협력을 통한 남북 간 신뢰형성 노력을 지속하겠다”고 했다. 윤병세 외교부 장관은 “오늘 아침 장성택 처형 긴급 보도에서 보듯이 우리가 처한 외교안보 환경은 매우 엄정하다”며 “한반도와 동북아시아, 그리고 세계적으로 수많은 도전이 동시다발적으로 제기되고 있다”고 평가했다.
청와대도 북한의 동향을 파악하고 그에 대한 대책을 마련하는 데 집중했다. 김 실장은 이날 수시로 박근혜 대통령에게 관련 내용을 보고했으며 ‘비상근무’ 체제에 돌입한 것으로 알려졌다.
전문가들은 장성택의 처형으로 향후 남북관계가 경색될 가능성이 높다고 분석했다. 북한 조선중앙통신이 처형 사실을 알리면서 ‘괴뢰역적패당’(북한이 한국 정부를 비난할 때 쓰는 용어)이라는 표현을 썼고, 장성택이 한국 정부 정책에 편승했다고 비판했기 때문이다.
특히 북한 군부 내 강경파들이 술렁이는 내부 분위기를 다잡기 위해 대남도발 카드를 꺼낼 수 있다는 관측도 나온다. 장용석 서울대 통일평화연구원 선임연구원은 “장성택이 한국 정부 정책에 편승했다고 비판받는 상황에 누가 남북 협력을 주장할 수 있겠느냐”고 말했다.
도병욱 기자 dodo@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