벤처 기업은 창조경제의 '엔진'으로 꼽히고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닙니다. 특히 경제 불황기에는 벤처 창업가의 창의성과 혁신이 돌파구로 주목 받곤 합니다. 다만 국내에서는 '창업→성장→회수→재투자→재도전'이란 벤처 생태계가 아직 형성되지 않았습니다. "우리는 왜 안될까"라는 의문을 던지며 나선 1세대 창업자들이 있습니다. 이들은 후배 벤처를 발굴하고 육성하기 위해 '엔젤 투자자'의 역할을 자처합니다. 한국 대표 엔젤투자가들의 투자성공 사례와방향을 본다면, 불황기 타개 전략을 엿볼 수 있을 것입니다.<편집자 주>
이택경 프라이머 대표
이택경 프라이머 대표


최근 네이버가 모바일 중고장터인 '번개장터'를 개발한 '퀵켓'을 인수하면서 엔젤 투자자에 대한 관심이 또 다시 증폭됐다. 퀵켓은 스타트업 인큐베이터인 프라이머(Primer)가 발굴한 제 1호 청년벤처로, 업계에서는 보기 드문 성공 사례이기 때문이다.

프라이머는 스타트업(신생벤처) 구성 초기 단계부터 함께 해 투자를 집행하고, 성공적인 인수합병(M&A)까지 이어지는 선순환 구조를 만들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프라이머 또한 '퀵켓'을 통해 30배에 달하는 투자 가치를 인정받았다.

이택경 프라이머 대표는 "국내는 해외와 달리 M&A가 활성화되지 않아 창업자들이 엑시트(EXIT·창업한 회사를 키워 투자자금을 회수하는 것)하면서 사업 가치를 인정 받기가 쉽지 않다"며 "벤처 생태계를 만드는 게 목표"라고 말했다.

프라이머가 발굴해 곧 빛을 볼 스타트업들도 줄줄이 대기 중이다.

첫 작품 '퀵켓' 엑시트 성공…기업가치 약 100억

"미국의 경우 창업가가 엑시트를 한 후 엔젤투자자로 변신하는 사례가 많습니다. 최근 국내에서도 많은 스타트업들이 생겨나고 있지만, 양에 비해 질이 쫓아가지 못하고 있는 상황이에요. 업계 경험이 많은 선배들의 조언이 필요한 시점입니다."

이 대표는 다음커뮤니케이션 공동 창업자 출신으로 현재 프라이머의 엔젤투자자로 활동하고 있다. 2010년 1월 송영길 부가벤처스 대표, 권도균 이니시스 창업자, 장병규 네오위즈·첫눈 창업자, 이재웅 다음 창업자 등 벤처 1세대 대표주자들과 함께 프라이머를 설립했다.

프라이머는 극초기 단계 기업에 전문적으로 투자한다. 기존의 벤처캐피털(VC)들과 달리 청년들의 창업 과정에서부터 자금 및 서비스, 경영 전반을 지원하는 게 특징이다. 이제 막 시작한 팀의 구성만을 보고 투자하기도 한다.

약 100억원의 기업 가치를 인정받은 것으로 알려진 퀵켓 또한 대표적인 사례다. 퀵켓은 프라이머의 창업 프로그램인 '프라이머 엔턴십' 제 1기 출신이다.

퀵켓의 초기 설립자본금은 3000만원에 불과했지만, 프라이머에서 5000만원 이하의 투자를 받고 본격적인 사업화의 발판을 마련했다. 이후 본엔젤스벤처스, SOQRI에서 후속 투자를 유치하며 빠르게 성장했다.

이 대표는 "퀵켓의 경우 사업 초반 중고거래 시장의 성장성을 의심하기도 했지만, 실제 거래지표 등이 잘 나와 꾸준히 사업을 키웠다"며 "고객이 좋아하는 게 역시 정답"이라고 말했다. 퀵켓은 설립 3년 만에 네이버에 인수되면서 두 번째 성장 발판을 마련했다.

◆ "여러 번의 고비…연착륙도 중요하다"

현재 프라이머가 육성하고 있는 '프라이머 클럽팀'은 총 25곳이다. 2010년부터 올해까지 총 4기를 가동시켰다.
[신년기획. 엔젤투자 고수에게 듣는다②] '퀵켓' 키운 이택경 "창업가 DNA를 복제하라"
이 중 맞춤 여행 서비스를 제공하는 '마이리얼트립'은 2012년 서비스를 시작한 후 실제 이용자가 30배 이상 증가, 국내 대표 VC인 본엔젤스로부터 후속 투자를 받았다.

대학생에게 무료 프린팅 서비스를 제공 중인 애드투페이퍼와 패션 소셜네트워크(SNS) 스타일쉐어 역시 '시리즈 A'(통상 3~5억원 수준) 투자를 유치하는 등 벤처 업계에서 주목을 받고 있다.

"보통 벤처 극초기 단계에서 투자를 한다는 것은 포커게임에서 카드 한 장만 보고 돈을 거는 것과 비슷합니다. 프라이머는 비즈니스 모델을 중요하게 여기기는 하지만, 가장 먼저 보는 것은 해당 팀입니다. 자질이 뛰어나면 보통 1년이 지난 후 성과를 내기 시작합니다."

이 대표는 특히 국내 스타트업들이 제품이나 서비스를 다 만들어서 내놓으려는 욕심을 버려야 한다고 충고했다. 사업 단계별로 고객 검증이 반드시 필요하다는 조언이다.

그는 또 "창업은 여러 번의 고비가 오기 마련이며, 잘 되지 않았을 때 연착륙할 수 있는 계획을 미리 세워놔야 한다"며 "무리한 대출은 절대 받지말고, 자문을 구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 대표는 올해부터 스타트업 LP(유한책임 투자자)로도 참여하고 있다. 그는 "벤처 1세대로서 앞으로 10년은 스타트업 생태계에서 다양한 역할을 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한경닷컴 김효진 기자 jinhk@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