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철도 민영화 반대” > 시위 철도노조 총파업 11일째인 19일 오후 서울광장에서 열린 ‘철도민영화 저지 총파업투쟁 승리’ 결의대회 참석자들이 촛불 시위를 하고 있다. 연합뉴스
< “철도 민영화 반대” > 시위 철도노조 총파업 11일째인 19일 오후 서울광장에서 열린 ‘철도민영화 저지 총파업투쟁 승리’ 결의대회 참석자들이 촛불 시위를 하고 있다. 연합뉴스
경찰이 철도파업 11일째인 19일 체포영장이 발부된 철도노조 간부 1명을 체포했다. 철도파업 이후 지도부 체포는 처음이다.

경북 영주경찰서는 이날 철도노조 영주지역본부의 윤모 차량지부장(47)을 조합원을 선동해 불법파업으로 코레일에 손실을 입힌 혐의(업무방해) 등으로 체포했다. 윤씨는 체포영장이 발부된 철도노조 지도부 25명 중 한 명이다.

경찰은 이와 함께 이날 대전·부산·영주·호남 등 철도노조 지역본부 네 곳의 사무실을 추가 압수수색했다.

코레일도 노조에 대한 압박에 나섰다. 이날 오전 9시까지 현장에 복귀하라고 최후통첩한 데 이어 복귀시간을 넘긴 조합원에 대해선 미복귀 기간 등을 토대로 징계 수위를 결정키로 했다. 이날 122명이 복귀하는 등 파업 이후 992명이 현업으로 돌아와 복귀율은 11.3%로 나타났다.

파업이 장기화하면서 산업계 피해도 나타났다. 현대시멘트 영월공장은 철도파업 여파로 이날 소성로 2기 중 1기의 가동을 중단했다. 이 공장은 시멘트 제조 연료인 유연탄을 하루 1000t씩 열차로 수송했지만 철도파업으로 유입량이 기존보다 30%가량 줄면서 비축량이 바닥을 드러냈다. 보통 소성로는 연말이 될 경우 보수작업 등의 이유로 가동을 중단한다. 올해는 유연탄 수송 차질로 가동중단이 지난해에 비해 열흘가량 빨라졌다.

산업계는 다음주부터 연말연시 특수로 물류량이 급증하는 시점이어서 파업이 지속되면 물류대란이 불가피할 것으로 우려하고 있다. 그러나 전일 민주노총 화물연대본부의 철도물량 수송 거부에도 불구하고 대체 운송은 큰 차질 없이 이뤄졌다. 의왕IDC 관계자는 “화물연대가 아직까지는 정문 봉쇄 등 물리력을 행사하지 않고 있어 대체 수송이 원활하게 이뤄지고 있다”고 말했다.

한편 철도노조는 정부와 코레일 측의 압박을 상경 집회로 맞섰다. 이날 오후 6시 서울광장에서 민주노총 등과 연대해 2차 상경집회를 연 데 이어 오후 7시 ‘박근혜 대통령 당선 1주년 시국 촛불문화제’에 참가했다. 주최 측이 신고한 인원은 1만명(경찰 추산 5500명)이었다. 철도노조 파업 이후 최대 규모다.

김태호/홍선표/대전=임호범 기자 highkick@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