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성택 처형으로 뒤숭숭한 북한이 엊그제 “예고 없이 남한을 타격하겠다”는 내용의 협박성 전화통지문을 보내왔다고 한다. 지난 17일 김정일 사망 2주기를 맞아 열렸던 일부 보수단체의 반북시위가 자신들의 최고 존엄을 건드렸다는 게 북측의 주장이다. 북한이 협박 전통문을 보낸 것이 이번이 처음은 아니다. 지난달에도 연평도 포격 3주년을 맞아 치러진 우리 군의 사격훈련에 대해 “북한 영해에 포탄이 한 발이라도 떨어지면 남한은 불바다가 될 것”이라고 협박했다. 지난 4월에는 보수단체들이 김정은 사진을 태우자 우리 정부에 사과를 요구한 적도 있다.

이런 전례에 비춰보면 북한의 협박은 의례적인 것이라고 생각할 수도 있다. 하지만 최근 북한 사정을 감안하면 의외로 도발 가능성 역시 배제할 수 없다. 장성택 사태로 인한 불만 해소와 체제 결속을 위해 위험한 장난에 나서지 말란 보장이 없다. 북한 고위층 망명설까지도 계속 나돌고 있어 더욱 그렇다. 김관진 국방장관이 1~3월 도발 가능성을 언급한 것도 이런 맥락에서일 것이다. 주변국들이 그 어느 때보다 북한 정세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는 것 역시 무관치 않다.

그럼에도 지금 우리 사회의 주된 관심은 엉뚱한 곳에 쏠려 있다. 하지도 않겠다는 민영화를 계속 민영화라고 우기는 철도파업이 그렇고 실체도 없는 의료 민영화 괴담이 유포되고 있는 것도 마찬가지다. 명분도 실익도 없는 공허한 논쟁에 국력만 낭비된다. 정작 우리의 안보와 직결된 북한 인권문제나 대남 위협에 대해서는 국회도, 일반 국민도 큰 관심이 없다. 유엔이 18일 채택한 북한인권 결의안도 국내 정치권은 관심이 없다. 도대체 지금 한국은 무슨 생각을 하고 있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