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탄절 선물 너무 늦었나' 美 배달 지연사태 속출…항의 쇄도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미국 최대 쇼핑 성수기인 성탄절과 연말을 맞아 온라인 구매가 급증하면서 배달 지연사태가 속출했다. 성탄절 선물을 제 때 받지 못한 소비자들은 거센 항의를 했다.
25일(현지시간) CNN, 월스트리트저널 등 미국 언론에 따르면 미국 최대 인터넷 쇼핑몰인 아마존닷컴을 비롯해 최근 온라인 판매에 주력하고 있는 월마트, 콜스 백화점 등의 인터넷 쇼핑몰에서 성탄절 선물을 구입한 소비자 가운데 상당수는 성탄절이 지나도록 물건이 배달되지 않았다.
미국 전체 소포 물량의 45% 가량을 담당하는 UPS는 "성탄절 직전에 선물 주문이 급증해 예상 배달 물량을 초과했다"고 밝혔다.
이 업체는 성탄절 선물을 제 때에 배달하지 못하고도 성탄절 당일 배달 중단 방침을 고집해 고객들로부터 거센 항의를 받았다.
UPS는 성명을 내고 "성탄절을 항공배송 물량이 자체 배송능력을 초과하면서 일부 배달이 지연됐다"고 사과했다. UPS는 성탄절 당일 배달 중단 계획은 그대로 유지한다고 설명했다.
나탈리 블랙 대변인은 CNN 방송 인터뷰에서 "직원들이 성탄절 오후 분류작업을 할 것"이라며 "내일이나 모레께 남아있는 항공배송 물량을 고객들에게 전달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성탄절 배달이 지연되는 사고가 잇따른 이유는 각 쇼핑업체들이 온라인 쇼핑에 주력한 탓이다.
온라인 쇼핑몰에 소비자를 빼앗긴 오프라인 백화점과 유통업체들도 온라인 판매에 주력한 것도 배송 능력 초과 사태의 원인으로 꼽혔다.
전문가들은 올해 미국 전체 온라인 쇼핑은 지난해 견줘 15% 가량 늘었다고 추산한다. 성탄절 직전 막판 쇼핑은 무려 37%나 늘어난 것으로 집계됐다.
올해에는 최대 쇼핑 시즌인 추수감사절과 성탄절 사이의 간격이 예년에 비해 엿새 가량 당겨져 쇼핑업체들이 주문 물량을 소화하는데 어려움을 겪고 있다.
쇼핑업체나 배송업체로서는 직원들의 노동조건을 감안해 선뜻 성탄절 근무를 강요하지도 못하고 있는 실정으로 파악된다.
한편 소비자들의 항의가 거세지자 콜스 백화점은 제 때 배송받지 못한 고객에게는 구매 물건 가격을 전액 보상하겠다고 밝혔다.
소셜 쇼핑 사이트인 그루폰은 배달 사고를 당한 고객에게 25달러 짜리 상품권을 증정하겠다며 고객 달래기에 나섰다.
아마존닷컴은 배송비 환불이나 기프트카드 제공 등을 제안하는 등 대책 마련에 나선 것으로 알려졌다.
이와함께 성탄절 선물 폭주가 다른 물건 배송에도 영향을 미쳐 긴급 약품을 제때 받지 못하는 사례까지 발생하고 있다고 CNN은 전했다.
한경닷컴 뉴스룸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open@hankyung.com
25일(현지시간) CNN, 월스트리트저널 등 미국 언론에 따르면 미국 최대 인터넷 쇼핑몰인 아마존닷컴을 비롯해 최근 온라인 판매에 주력하고 있는 월마트, 콜스 백화점 등의 인터넷 쇼핑몰에서 성탄절 선물을 구입한 소비자 가운데 상당수는 성탄절이 지나도록 물건이 배달되지 않았다.
미국 전체 소포 물량의 45% 가량을 담당하는 UPS는 "성탄절 직전에 선물 주문이 급증해 예상 배달 물량을 초과했다"고 밝혔다.
이 업체는 성탄절 선물을 제 때에 배달하지 못하고도 성탄절 당일 배달 중단 방침을 고집해 고객들로부터 거센 항의를 받았다.
UPS는 성명을 내고 "성탄절을 항공배송 물량이 자체 배송능력을 초과하면서 일부 배달이 지연됐다"고 사과했다. UPS는 성탄절 당일 배달 중단 계획은 그대로 유지한다고 설명했다.
나탈리 블랙 대변인은 CNN 방송 인터뷰에서 "직원들이 성탄절 오후 분류작업을 할 것"이라며 "내일이나 모레께 남아있는 항공배송 물량을 고객들에게 전달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성탄절 배달이 지연되는 사고가 잇따른 이유는 각 쇼핑업체들이 온라인 쇼핑에 주력한 탓이다.
온라인 쇼핑몰에 소비자를 빼앗긴 오프라인 백화점과 유통업체들도 온라인 판매에 주력한 것도 배송 능력 초과 사태의 원인으로 꼽혔다.
전문가들은 올해 미국 전체 온라인 쇼핑은 지난해 견줘 15% 가량 늘었다고 추산한다. 성탄절 직전 막판 쇼핑은 무려 37%나 늘어난 것으로 집계됐다.
올해에는 최대 쇼핑 시즌인 추수감사절과 성탄절 사이의 간격이 예년에 비해 엿새 가량 당겨져 쇼핑업체들이 주문 물량을 소화하는데 어려움을 겪고 있다.
쇼핑업체나 배송업체로서는 직원들의 노동조건을 감안해 선뜻 성탄절 근무를 강요하지도 못하고 있는 실정으로 파악된다.
한편 소비자들의 항의가 거세지자 콜스 백화점은 제 때 배송받지 못한 고객에게는 구매 물건 가격을 전액 보상하겠다고 밝혔다.
소셜 쇼핑 사이트인 그루폰은 배달 사고를 당한 고객에게 25달러 짜리 상품권을 증정하겠다며 고객 달래기에 나섰다.
아마존닷컴은 배송비 환불이나 기프트카드 제공 등을 제안하는 등 대책 마련에 나선 것으로 알려졌다.
이와함께 성탄절 선물 폭주가 다른 물건 배송에도 영향을 미쳐 긴급 약품을 제때 받지 못하는 사례까지 발생하고 있다고 CNN은 전했다.
한경닷컴 뉴스룸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ope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