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베 신조 일본 총리가 26일 취임 1주년을 맞아 야스쿠니신사 참배를 전격 강행했다. 현직 총리가 야스쿠니신사를 찾은 것은 2006년 고이즈미 준이치로 당시 총리 이후 7년 만이다. 한국 중국 등 주변국이 반발하면서 동북아 외교관계는 최악으로 치닫고 있다. 한·일, 중·일 조기 정상회담도 사실상 물건너갔다.

아베 총리는 이날 오전 11시께 도쿄 지요다구에 있는 야스쿠니신사를 참배한 뒤 기자들과 만나 “일본을 위해 귀중한 생명을 희생한 영령에게 존숭(尊崇)의 뜻을 표했다”며 “중국과 한국 국민들의 기분을 상하게 할 생각은 털끝만큼도 없다”고 말했다. 아베 총리는 이어 “한국과 중국의 정상에게 직접 설명할 기회가 있으면 좋겠다”고 했다.

정부는 “개탄과 분노를 금할 수 없다”고 강력 비판했다. 정부 대변인인 유진룡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은 성명에서 야스쿠니신사에 대해 “용서받을 수 없는 전쟁 범죄자들을 합사하고 있는 반역사적 시설물”이라고 규정하고 “아베 총리가 이런 야스쿠니신사를 참배한 것은 한·일 관계는 물론 동북아시아의 안정과 협력을 근본부터 훼손시키는 시대착오적 행위”라고 지적했다.

중국 외교부의 친강 대변인은 “일본 지도자들이 야스쿠니신사를 참배하는 것은 일본 군국주의의 대외 침략과 식민통치의 역사를 미화하고 국제사회가 일본 군국주의에 대해 거둔 정의의 심판을 뒤집으려는 시도이자 2차대전 종전 후 구축된 전후 국제질서에 도전하는 것”이라고 비난했다. 미국 정부도 이례적으로 주일대사관 명의의 성명을 통해 “이웃 국가들과의 긴장을 악화시키는 행위에 실망한다”고 밝혔다.

■ 야스쿠니

야스쿠니신사는 청·일전쟁과 러·일전쟁 등 근대 일본이 일으킨 전쟁에서 숨진 군인들의 영령을 기리는 시설이다. 태평양전쟁 A급 전범 14명이 합사돼 있어 일본의 과거 식민지 지배와 침략전쟁을 정당화하고 미화하는 시설이라는 비판을 받아왔다.

도쿄=안재석 특파원/조수영 기자 yagoo@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