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상업용 드론 이륙 채비
미국이 상업용 무인항공기(드론·사진) 허용을 위한 사전 작업에 속도를 내고 있다. 세계 최대 온라인 쇼핑몰 아마존이 물건 배송 등 드론의 상업적 이용 계획을 밝힌 상태여서 더 관심이 쏠린다.

파이낸셜타임스(FT)는 30일(현지시간) 미국 연방항공청(FAA)이 드론의 연구와 시험비행을 담당할 6개 주의 시험장을 선정했다고 보도했다. FAA는 현재 군사 목적이 아닌 상업용 드론은 허용하고 있지 않지만 2015년 말까지 상업용 드론 가이드라인을 마련한다는 방침이다. 이번 시험장 선정도 가이드라인 마련을 위한 수순으로 분석된다.

선정된 곳은 알래스카대, 텍사스주 A&M대, 버지니아공대, 네바다주, 뉴욕 그리피스 국제공항, 노스다코타 상무부 등 6곳이다. FAA는 “24개 주에서 25건의 지원을 받아 지난 10개월간 선정 작업을 했다”며 “지리 기후 안전 등을 종합적으로 검토해 결정했다”고 말했다. 드론 시험장은 항공관제시스템 내에서 드론의 운항 방법 등을 연구할 것으로 알려졌다.

이번 결정은 지역 경제 활성화에도 기여할 것으로 예상된다. 텍사스주의 드론 시험장은 향후 10년 동안 1200개의 일자리를 포함해 2억6000만달러의 경제 효과를 가져올 것으로 전망된다.

드론의 사생활 침해 가능성에 대한 우려도 존재한다. 일부 시민단체는 “기업이나 개인이 드론에 카메라를 탑재해 항공 촬영에 나설 경우 사생활 침해 우려가 있다”며 “미국 국가안보국(NSA)의 무차별적인 감시에 이어 프라이버시 침해에 대한 두려움은 더 커질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에 대해 FAA는 “드론 시험장 운영 과정에서 시민들의 사생활 보장은 중요하다”며 “관련법을 엄격히 준수하겠다”고 말했다.

박병종 기자 ddak@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