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4년 집권 2년차 '주가 불패' 재현?
주식 투자자에게 2013년은 아쉬운 한 해였다. 지난해 코스피지수의 상승폭은 0.71%에 불과했다. 연 2%대인 정기예금 이율에도 못 미치는 성적표다.

전문가들은 새해는 지난해와 다를 거라는 예측을 하고 있다. 글로벌 경기 회복의 기운이 국내 증시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설명이다.

일부 전문가는 ‘집권 2년차 효과’를 기대하고 있다. 정부가 추구하는 국정 방향이 분명히 드러나는 집권 2년차에 정부 지원을 등에 업은 업종을 중심으로 주가가 오르는 패턴이 반복돼왔다는 게 근거다.

◆역대 정권 2년차 ‘주가불패’

31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김대중 정부 2년차인 1999년 코스피지수는 562.46에서 1028.07로 거의 두 배가 뛰었다. 상승률을 계산하면 82.78%에 달한다. 이 시기는 ‘정보기술(IT) 버블기’라는 말로 요약된다. 정부의 적극적인 후원을 받았던 IT주들의 주가가 고공비행을 했다. 1999년 8월 2500원대였던 새롬기술 주가가 6개월 만에 30만원대로 오른 것이 ‘IT 광풍’의 대표적인 사례다. 1999년 11월 상장한 포털업체 다음의 주가 역시 한 달여 만에 30배가 올랐다.

전문가들은 노무현 정부의 화양연화(花樣年華) 시절은 집권 2년차 후반기부터 3년차까지로 보고 있다. 2004년 810.71로 시작한 코스피지수는 중국이 한시적으로 신규대출을 전면 중단하는 이른바 ‘차이나 쇼크’로 3분기까지 부진을 면치 못했지만 연말부터 본격적인 랠리를 시작했다. 그해 연말 895.92까지 회복하며 숨을 고른 뒤 그 이듬해에는 1379.37까지 내달렸다.

이 시기 증시의 상승 동력은 ‘황우석 신드롬’으로 대변되는 ‘바이오 열풍’이었다. 줄기세포와 관련이 있는 바이오와 제약 업체들이 대거 포진하고 있던 코스닥시장은 2004년 하반기부터 꿈틀거리기 시작했고 2005년 5월에는 코스닥시장 거래대금이 유가증권시장을 앞지르기도 했다.

2009년 이명박 정부 집권 2년차 역시 코스피지수가 1124.47에서 1682.77까지 오른 ‘대박의 해’로 꼽힌다. 이명박 전 대통령이 집중적으로 드라이브를 걸었던 녹색성장 관련주들이 ‘선봉’ 역할을 했다. 그해 3~5월 녹색성장 테마주들의 평균 상승률은 40%에 달해 코스피지수 상승률 26%를 훌쩍 뛰어넘었다.

주식시장에 ‘창조경제’ 훈풍 불까

올해는 박근혜 정부 집권 2년차다. 과거의 사례가 반복된다면 정부가 미는 주도 업종을 중심으로 큰 폭의 주가 상승이 이뤄져야 한다. 그런데 증권가는 반신반의하는 분위기다. 박근혜 정부의 슬로건인 ‘창조경제’가 무엇을 지칭하는지 모호해 어느 업종이 수혜를 받을 수 있을지 가늠하기 힘들다는 설명이다.

한 증권사 리서치 센터장은 “현 정부가 주창하는 ‘창조경제’는 구체성이 결여된 캐치프레이즈에 가깝다”며 “이전처럼 뚜렷한 집권 2년차 효과를 기대하기 힘들다”고 말했다. 이어 “정부가 특정 업종을 대놓고 밀어주기 힘든 환경이 됐다는 점도 감안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긍정적인 전망도 있다. 강태신 KB투자증권 스몰캡팀장은 “창조경제라는 말이 모호하지만 결국 정보통신기술(ICT)을 기반으로 융합산업을 추구하는 업체로 초점이 모아질 것”이라며 “기술력이 있는 이 분야 중소업체들이 정부의 지원 리스트에 들어갈 것”이라고 전망했다.

김희성 한화증권 연구원은 “소프트웨어, 콘텐츠, 헬스케어 관련주를 관심있게 보고 있다”며 “일자리 창출이 용이하고 성장 잠재력도 높은 업종인 만큼 현 정부의 코드와 잘 맞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송형석 기자 click@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