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수신문 새해 사자성어 轉迷開悟(전미개오)…'미혹에서 벗어나 깨달음'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교수신문은 전국의 교수 617명을 대상으로 2014년 희망의 사자성어를 설문 조사한 결과 27.5%(170명)가 ‘전미개오’(轉迷開悟)를 선택했다고 31일 밝혔다.
전미개오는 번뇌로 인한 미혹에서 벗어나 열반을 깨닫는 마음에 이르는 것을 뜻하는 불교 용어다. 문성훈 서울여대 교수는 “2013년 한 해 있었던 속임과 거짓에서 벗어나 진실을 깨닫고 새로운 한 해를 열어가자는 의미에서 추천했다”고 설명했다. 박재우 한국외대 교수는 “정치는 잘못된 것을 바로잡아 원래대로 회복시킨다는 의미”라며 “가짜와 거짓이 횡행했던 2013년 미망에서 돌아나와 깨달음을 얻어 진짜와 진실이 승리하는 2014년을 열어가야 한다”고 말했다.
‘흐린 물을 씻어내고 맑은 물을 흐르게 한다’는 뜻의 ‘격탁양청’(激濁揚淸)이 23.8%(147명)로 2위를, ‘백성과 함께 즐긴다’는 의미의 ‘여민동락’(與民同樂)은 3위를 차지했다.
교수들은 2013년을 특징짓는 사자성어로 ‘순리를 거슬러 행동한다’는 뜻의 ‘倒行逆施’(도행역시)를 꼽은 바 있다.
정태웅 기자 redael@hankyung.com
전미개오는 번뇌로 인한 미혹에서 벗어나 열반을 깨닫는 마음에 이르는 것을 뜻하는 불교 용어다. 문성훈 서울여대 교수는 “2013년 한 해 있었던 속임과 거짓에서 벗어나 진실을 깨닫고 새로운 한 해를 열어가자는 의미에서 추천했다”고 설명했다. 박재우 한국외대 교수는 “정치는 잘못된 것을 바로잡아 원래대로 회복시킨다는 의미”라며 “가짜와 거짓이 횡행했던 2013년 미망에서 돌아나와 깨달음을 얻어 진짜와 진실이 승리하는 2014년을 열어가야 한다”고 말했다.
‘흐린 물을 씻어내고 맑은 물을 흐르게 한다’는 뜻의 ‘격탁양청’(激濁揚淸)이 23.8%(147명)로 2위를, ‘백성과 함께 즐긴다’는 의미의 ‘여민동락’(與民同樂)은 3위를 차지했다.
교수들은 2013년을 특징짓는 사자성어로 ‘순리를 거슬러 행동한다’는 뜻의 ‘倒行逆施’(도행역시)를 꼽은 바 있다.
정태웅 기자 redael@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