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이로메드, 루게릭병 치료제 이연제약과 개발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바이로메드는 이연제약과 근위축성 측삭경화증(루게릭병) 치료제 VM202-ALS에 대한 개발 계약을 체결했다고 6일 밝혔다.
바이로메드는 지난해 10월 그간의 임상시험에서 보여준 VM202의 안전성과 신경세포 손상에 대한 치료제로서의 가능성을 근거로 미국 식품의약국(FDA)으로부터 VM202-ALS의 임상 I,2상 시험을 허가 받은 바 있다.
이번 계약의 체결로 바이로메드는 VM202-ALS를 세계에서 상용화하는 데 필요한 자원을 이연제약과 분담한다. 이연제약은 생산 및 공급을 담당하면서 바이로메드와 상용화 수익을 공유하게 된다. 양사는
이러한 구조로 시너지 효과를 극대화해 희귀질환 치료제 시장 진출에 박차를 가할 수 있게 됐다는 설명이다.
근위축성 측삭경화증(ALS)은 근육을 움직이는 데 필요한 운동신경들이 파괴돼, 전신 근육에서 마비가 일어나는 원인불명의 신경퇴행성 질환이다. 주로 성인에게만 발병되며 증상이 나타나면 2~5년내 대부분 호흡곤란으로 사망하게 된다.
현재 미국 FDA의 승인을 받은 유일한 치료제로 사노피 아벤티스의 리루텍(2012년 미국 매출 약 640억원)이 있다. 제한된 치료효과가 일부 후기 환자에게 나타나지만, 심한 부작용이 동반되기 때문에 근본적인 치료제의 개발이 절실한 현실이라고 회사 측은 전했다. 'ALS Therapy Development Institute'는 효과적이고 안전한 차세대 치료제가 등장할 경우 약 2조~4조원의 매출 규모를 예상하고 있다.
정재균 바이로메드 연구소장은 "그동안 임상시험에서 증명된 VM202의 탁월한 치료효과와 높은 안전성을 다양한 질환에 적용해 외연을 넓히려는 노력을 계속해 왔다"며 "그 노력의 결실 중 하나인 VM202-ALS를 통해 상용화 가치가 높은 희귀질환 시장으로 진출하고 있다"고 말했다.
한경닷컴 한민수 기자 hms@hankyung.com
바이로메드는 지난해 10월 그간의 임상시험에서 보여준 VM202의 안전성과 신경세포 손상에 대한 치료제로서의 가능성을 근거로 미국 식품의약국(FDA)으로부터 VM202-ALS의 임상 I,2상 시험을 허가 받은 바 있다.
이번 계약의 체결로 바이로메드는 VM202-ALS를 세계에서 상용화하는 데 필요한 자원을 이연제약과 분담한다. 이연제약은 생산 및 공급을 담당하면서 바이로메드와 상용화 수익을 공유하게 된다. 양사는
이러한 구조로 시너지 효과를 극대화해 희귀질환 치료제 시장 진출에 박차를 가할 수 있게 됐다는 설명이다.
근위축성 측삭경화증(ALS)은 근육을 움직이는 데 필요한 운동신경들이 파괴돼, 전신 근육에서 마비가 일어나는 원인불명의 신경퇴행성 질환이다. 주로 성인에게만 발병되며 증상이 나타나면 2~5년내 대부분 호흡곤란으로 사망하게 된다.
현재 미국 FDA의 승인을 받은 유일한 치료제로 사노피 아벤티스의 리루텍(2012년 미국 매출 약 640억원)이 있다. 제한된 치료효과가 일부 후기 환자에게 나타나지만, 심한 부작용이 동반되기 때문에 근본적인 치료제의 개발이 절실한 현실이라고 회사 측은 전했다. 'ALS Therapy Development Institute'는 효과적이고 안전한 차세대 치료제가 등장할 경우 약 2조~4조원의 매출 규모를 예상하고 있다.
정재균 바이로메드 연구소장은 "그동안 임상시험에서 증명된 VM202의 탁월한 치료효과와 높은 안전성을 다양한 질환에 적용해 외연을 넓히려는 노력을 계속해 왔다"며 "그 노력의 결실 중 하나인 VM202-ALS를 통해 상용화 가치가 높은 희귀질환 시장으로 진출하고 있다"고 말했다.
한경닷컴 한민수 기자 hms@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