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朴대통령 첫 기자회견] 투자규제 원점서 재검토…새로 생긴 만큼 없애는 '총량제' 도입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경제혁신 3개년 계획
'규제개혁 장관회의' 만들어 직접 주재
창조경제혁신센터 17개 광역시도에 설치
단계별 전략·정책 과제 이달말 발표키로
'규제개혁 장관회의' 만들어 직접 주재
창조경제혁신센터 17개 광역시도에 설치
단계별 전략·정책 과제 이달말 발표키로
박근혜 대통령은 숫자로 목표를 제시하는 것을 즐기지 않았다. 과거 이명박 정부 초기 내놨던 ‘747’(임기 내 연평균 성장률 7%, 국민소득 4만달러, 세계 7위 경제대국 달성)과 같은 목표는 선거 구호에 그칠 공산이 크다는 이유에서다.
이런 박 대통령이 6일 신년 기자회견에서 ‘경제혁신 3개년 계획’을 내놓았다. 남은 집권 기간에 경제 재도약을 최우선 과제로 추진해 3년 후 잠재성장률을 4%대로 끌어올리고 1인당 국민소득은 3만달러를 넘어 4만달러 시대를 바라보게 하겠다는 것이다.
이정현 청와대 홍보수석은 “구체적이고 분명한 목표를 제시해야 모든 부처가 목표 달성을 위해 흔들림 없이 달려갈 수 있다고 판단한 것”이라며 “한국 경제의 재도약을 이뤄내겠다는 결연한 의지를 밝힌 것”이라고 말했다.
◆핵심 수단은 규제 완화
박 대통령이 이날 밝힌 ‘경제혁신 3개년 계획’은 일종의 구상이다. 구체적인 단계별 전략(로드맵)과 추진 정책과제, 우선순위 등은 기획재정부를 중심으로 준비해 이달 말 발표할 예정이다.
다만 박 대통령은 3개년 계획을 추진하기 위한 전략으로 △비정상의 정상화 △창조경제 △규제 개혁을 통한 내수 활성화 등 세 가지를 제시했다. 조원동 경제수석은 “이 가운데 가장 중요한 부분이 규제 개혁”이라며 “대통령이 밝힌 새해 구상의 방점도 여기에 찍혀 있다”고 말했다. 내수를 활성화하려면 의료 교육 관광 등 서비스산업을 집중 육성해야 하는데, 이를 위해선 투자의 가장 큰 장벽인 규제부터 풀어야 한다는 것이다.
박 대통령이 제시한 규제 개혁 과제 중 핵심은 ‘규제총량제’ 도입이다. 박 대통령은 “투자 관련 규제를 백지 상태에서 전면 재검토해 꼭 필요한 규제가 아니면 모두 풀겠다”며 “규제총량제를 도입해 부문별로 할당량을 부여해 관리하겠다”고 밝혔다.
규제총량제에 대해 조 수석은 “해당 분야에 새로운 규제가 생기면 그만큼 과거 규제를 없애도록 해 규제 총량을 맞추겠다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예컨대 국회 입법을 통해 규제가 늘어나면 해당 분야에서 규제를 없애야 하는 부담을 부처가 지도록 하는 형태다.
박 대통령은 또 현재 국무총리가 주재하는 ‘규제개혁위원회’를 ‘규제개혁 장관회의’로 확대 개편해 직접 주재하면서 규제 덩어리를 없애겠다는 방침을 밝혔다. 특히 보건·의료 교육 관광 금융 소프트웨어 등 5대 유망 서비스 업종은 업종별로 관계부처 합동 태스크포스(TF)를 만들어 가동할 계획이다.
◆민간기업 주도로 창조경제 추진
박 대통령은 의욕적으로 추진해온 창조경제를 ‘경제혁신 3개년 계획’의 전략으로 제시했다. 그동안 구체적인 방향이나 정책이 부족하다는 지적을 의식한 듯 이날 회견에서는 창조경제 관련 정책 방향을 추가로 내놓았다.
박 대통령은 “온라인 창조경제타운을 오프라인 현장에서 구현하기 위해 전국 17개 광역시·도에 창조경제혁신센터를 설치해 좋은 아이디어를 가진 국민이면 누구나 멘토의 도움을 받아 창업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또 “벤처기업과 중소기업, 대기업이 정부와 함께하는 민관 합동 창조경제추진단을 발족해 민간 기업 주도로 창조경제를 추진하겠다”는 구상도 밝혔다.
박 대통령의 ‘경제혁신 3개년 계획’에 대해 민경국 강원대 경제학과 교수는 “앞으로 3년간 무엇을 할 것인지, 어떤 방향으로 할 것인지를 명확하게 밝혔다는 점은 높이 평가할 만하다”며 “다만 공기업 개혁에 대해선 구체적인 방향이 부족한 게 아쉽다”고 말했다.
이제민 연세대 경제학과 교수는 “방향은 맞는데 구체성을 부여하려면 굉장히 많은 작업이 필요해 보인다”고 지적했다.
정종태/추가영 기자 jtchung@hankyung.com
이런 박 대통령이 6일 신년 기자회견에서 ‘경제혁신 3개년 계획’을 내놓았다. 남은 집권 기간에 경제 재도약을 최우선 과제로 추진해 3년 후 잠재성장률을 4%대로 끌어올리고 1인당 국민소득은 3만달러를 넘어 4만달러 시대를 바라보게 하겠다는 것이다.
이정현 청와대 홍보수석은 “구체적이고 분명한 목표를 제시해야 모든 부처가 목표 달성을 위해 흔들림 없이 달려갈 수 있다고 판단한 것”이라며 “한국 경제의 재도약을 이뤄내겠다는 결연한 의지를 밝힌 것”이라고 말했다.
◆핵심 수단은 규제 완화
박 대통령이 이날 밝힌 ‘경제혁신 3개년 계획’은 일종의 구상이다. 구체적인 단계별 전략(로드맵)과 추진 정책과제, 우선순위 등은 기획재정부를 중심으로 준비해 이달 말 발표할 예정이다.
다만 박 대통령은 3개년 계획을 추진하기 위한 전략으로 △비정상의 정상화 △창조경제 △규제 개혁을 통한 내수 활성화 등 세 가지를 제시했다. 조원동 경제수석은 “이 가운데 가장 중요한 부분이 규제 개혁”이라며 “대통령이 밝힌 새해 구상의 방점도 여기에 찍혀 있다”고 말했다. 내수를 활성화하려면 의료 교육 관광 등 서비스산업을 집중 육성해야 하는데, 이를 위해선 투자의 가장 큰 장벽인 규제부터 풀어야 한다는 것이다.
박 대통령이 제시한 규제 개혁 과제 중 핵심은 ‘규제총량제’ 도입이다. 박 대통령은 “투자 관련 규제를 백지 상태에서 전면 재검토해 꼭 필요한 규제가 아니면 모두 풀겠다”며 “규제총량제를 도입해 부문별로 할당량을 부여해 관리하겠다”고 밝혔다.
규제총량제에 대해 조 수석은 “해당 분야에 새로운 규제가 생기면 그만큼 과거 규제를 없애도록 해 규제 총량을 맞추겠다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예컨대 국회 입법을 통해 규제가 늘어나면 해당 분야에서 규제를 없애야 하는 부담을 부처가 지도록 하는 형태다.
박 대통령은 또 현재 국무총리가 주재하는 ‘규제개혁위원회’를 ‘규제개혁 장관회의’로 확대 개편해 직접 주재하면서 규제 덩어리를 없애겠다는 방침을 밝혔다. 특히 보건·의료 교육 관광 금융 소프트웨어 등 5대 유망 서비스 업종은 업종별로 관계부처 합동 태스크포스(TF)를 만들어 가동할 계획이다.
◆민간기업 주도로 창조경제 추진
박 대통령은 의욕적으로 추진해온 창조경제를 ‘경제혁신 3개년 계획’의 전략으로 제시했다. 그동안 구체적인 방향이나 정책이 부족하다는 지적을 의식한 듯 이날 회견에서는 창조경제 관련 정책 방향을 추가로 내놓았다.
박 대통령은 “온라인 창조경제타운을 오프라인 현장에서 구현하기 위해 전국 17개 광역시·도에 창조경제혁신센터를 설치해 좋은 아이디어를 가진 국민이면 누구나 멘토의 도움을 받아 창업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또 “벤처기업과 중소기업, 대기업이 정부와 함께하는 민관 합동 창조경제추진단을 발족해 민간 기업 주도로 창조경제를 추진하겠다”는 구상도 밝혔다.
박 대통령의 ‘경제혁신 3개년 계획’에 대해 민경국 강원대 경제학과 교수는 “앞으로 3년간 무엇을 할 것인지, 어떤 방향으로 할 것인지를 명확하게 밝혔다는 점은 높이 평가할 만하다”며 “다만 공기업 개혁에 대해선 구체적인 방향이 부족한 게 아쉽다”고 말했다.
이제민 연세대 경제학과 교수는 “방향은 맞는데 구체성을 부여하려면 굉장히 많은 작업이 필요해 보인다”고 지적했다.
정종태/추가영 기자 jtchun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