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원 춘천시 신북읍 소양강댐 초입에 들어선 ‘소양강 양우내안애’(409가구). 지난해 초 준공된 이 단지는 뛰어난 풍광 때문에 입주가 조기에 끝나는 등 큰 인기를 모았다. 하지만 한때는 건설사 부도로 12년간 방치된 지역 흉물이었다.
중견 건설업체인 양우건설(대표 고문철·사진)은 전국 10여개 부동산 부실채권(NPL) 사업장을 정상화시켰다고 8일 밝혔다. NPL은 1998년 외환위기,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같은 대형 경제적 변수나 개별 건설사의 부침으로 공사 현장이 중단된 채 새로운 주인을 찾지 못하는 부동산 사업지를 말한다.
양우건설이 지난해 11월 공급한 충남 아산시 신창면 ‘아산 양우내안애’(1440가구)는 임대아파트를 짓다가 막판에 부도가 난 사업장이다. 12년간 중단된 현장을 양우건설이 리츠개발과 함께 인수한 뒤 새로 분양했다.
양우건설은 지난달 하순 충북 진천군 광혜원읍에서 ‘광혜원 양우내안애’(240가구)를 선보였다. 지상 4층까지 골조가 올라간 뒤 10년가량 방치된 현장이다.
양우건설은 지난해 9월 부산 우동 해동시장 재건축 사업장인 ‘해운대 양우내안애 팰리스’(142가구)를 준공했다. 최근 두세 곳의 NPL 현장을 대상으로 사업 추진을 협의 중이다.
양우건설은 10여명의 직원이 철저한 실사를 한 뒤 공사비를 책정한다. 이때 기존 사업장 감리업체에 도움을 받는다. 사업을 추진하면서 부도난 건설사의 하청업체와 유치권 등 복잡한 권리관계를 협상하는 노하우도 축적했다.
고문철 대표는 “오래된 지역의 골칫 덩어리인 NPL 현장을 해결해주니 지방자치단체와 지역민이 좋아한다”며 “철저한 원가분석과 수요 조사를 바탕으로 문제 사업장 해결에 나선다”고 말했다.
DL이앤씨는 잠정 실적발표를 통해 연결기준 지난해 연간 매출 8조3184억원, 영업이익 2709억원이 예상된다고 6일 공시했다.지난해 연간 매출은 전년보다 4% 증가했다. 영업이익은 자회사인 DL건설이 일부 현장의 원가율 조정과 대손 반영으로 전년 대비 18% 감소했다. 수주는 수익성을 확보할 수 있는 우량사업 중심의 선별 수주 전략에 따라 9조 4805억원을 기록했다.부동산 경기침체와 경제적 불확실성 등으로 건설업계가 어려움을 겪고 있다. 다만 DL이앤씨는 매출, 영업이익, 수주가 지난 8월 투자자들에게 제시한 연간 가이던스의 90%를 뛰어넘는 성과를 달성했다.어려운 업황을 극복하기 위해서 DL이앤씨는 균형 잡힌 사업 포트폴리오를 구축하고 수익성 높은 프로젝트를 선별 수주하는 전략을 펼치고 있다. 주택은 3817억원 규모의 잠실우성 4차, 4385억 규모의 도곡개포한신 재건축정비사업을 수주하는 등 도시정비사업 수주 1조원을 돌파했다. 토목은 4818억원 규모의 영동 양수 발전소 공사를 수주했다.플랜트는 2546억원 규모의 분당복합화력발전 현대화사업과 2367억원 규모의 S-OIL 온산 공장 가스터빈 발전기 설치 공사를 수주했다. 미래 성장동력인 소형모듈원전(SMR) 사업을 함께 추진하고 있는 미국의 엑스에너지가 글로벌 빅테크 기업 아마존과 대규모 투자 계약을 체결해 향후 SMR 시장에서의 성과도 빠르게 가시화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수익성 지표도 개선됐다. 연결기준 4분기 원가율은 88.2%로 3분기 대비 0.9%포인트 개선되며, 2분기 연속 80%대 원가율을 유지했다. 연간 원가율도 2023년 90.2% 대비 0.4%포인트 개선된 89.8%로 80%대를 회복했다.4분기 말 기준 연결 부채비율은 100.4%다. 현금 및 현금성 자산은 2조711
4주 연속 보합세였던 서울 아파트값이 다시 올랐다. 강남권과 용산·마포 등 재건축·신축 단지를 중심으로 강세였다. 강동·노원·강북구 등 외곽 지역은 내림세를 이어갔다. 전국 아파트 전세 가격은 보합으로 전환했다. 4일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이번주(3일 기준) 전국 아파트 매매가는 설 연휴 전인 2주 전보다 0.04% 내렸다. 직전(-0.05%)보다 하락 폭이 줄었다. 수도권(-0.03%→-0.02%)과 지방(-0.07%→-0.06%)도 낙폭 축소됐다. 서울은 0.02% 올랐다. 자치구별로 강남구(0.03%), 서초구(0.06%), 송파구(0.13%) 등 강남 3구 아파트값이 상승폭이 연휴 전보다 커졌다. 용산구(0.05%)와 마포구(0.05%), 광진구(0.04%), 양천구(0.04%)도 상승세를 이어갔다. 반면 강동구와 노원구는 각각 0.03% 하락했다. 동작구(-0.01%), 금천구(-0.01%), 구로구(-0.01%), 은평구(-0.01%), 강북구(-0.01%)도 하락세를 이어갔다. 부동산원 관계자는 “대출규제 등의 영향으로 매수 심리가 위축되고 관망세가 지속되고 있으나, 재건축 추진단지 등 선호단지 가격이 오르면서 서울 전체 상승을 이끌었다”고 설명했다. 시도별로는 울산(0.03%), 전북(0.02%), 충북(0.01%) 등은 상승, 대구(-0.21%), 경북(-0.11%), 인천(-0.08%), 대전(-0.07%), 제주(-0.06%), 부산(-0.06%), 경남(-0.05%), 광주(-0.03%) 등은 하락했다.전국 주간 아파트 전세가격은 직전(-0.01%) 대비 보합 전환했다. 수도권(-0.01%→0.00%)은 보합, 서울(0.00%→0.01%)은 상승했다. 시도별로는 울산(0.08%), 광주(0.03%), 충북(0.03%), 부산(0.02%) 등은 상승, 경기(0.00%) 등은 보합, 대구(-0.08%), 대전(-0.06%), 제주(-0.03%), 강원(-0.03%), 충남(-0.02%) 등은 하락했다.임근호 기자 eigen@hankyung.com
서울 집값이 지역별로 엇갈리고 있다. 수요가 꾸준히 유지되는 핵심 지역 집값은 계속 오르고 있지만 그렇지 못한 외곽 지역에선 가격이 계속 내려가는 모양새다.6일 한국부동산원이 발표한 주간 아파트 가격 동향에 따르면 2월 첫째 주(3일) 기준 서울 집값은 0.02% 상승했다. 전주 보합에서 상승세로 돌아섰다.서울 핵심 지역 집값이 계속 오르고 있다. 송파구가 0.13% 올라 서울 25개구 가운데 가장 큰 폭으로 상승했다.국토교통부 실거래가 공개시스템에 따르면 서울 송파구 잠실동에 있는 ‘리센츠’ 전용 84㎡는 지난달 27억4000만원에 손바뀜했다. 지난해 말 26억원까지 내렸지만 약 두 달 만에 1억원 이상 상승했다. 작년 초 21억~22억원이었던 점을 고려하면 1년 사이 5억원이 뛰었다.건너편에 있는 ‘트리지움’ 전용 84㎡도 지난달 25억1500만원에 새 주인을 찾았다. 작년 말 24억6000만원까지 내려가기도 했지만 5500만원 올라 다시 25억원대로 올라왔다.서초구도 0.06% 상승했다. 잠원동에 있는 ‘신반포2’ 전용 92㎡는 지난달 38억2000만원에 새 주인을 찾았다. 지난해 말 거래된 37억5000만원보다 7000만원 올랐다. 반포동에 있는 ‘반포미도’ 전용 84㎡는 지난달 30억원에 거래돼 작년 말 28억원보다 2억원 뛰었다.강북권 핵심지역도 상승세를 이어갔다. 용산구는 0.05% 올랐다. 서빙고동에 있는 ‘신동아’ 전용 166㎡는 지난달 41억3000만원에 손바뀜했다. 지난해 마지막 거래인 38억5000만원(9월)보다 2억8000만원 올랐다.마포구(0.05%)도 도화동과 염리동을 중심으로 상승했다. 도화동에 있는 ‘도화현대’ 전용 113㎡는 지난달 13억원에 손바뀜했다. 지난해 3월 거래된 11억4000만원보다 1억6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