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리실 1급 10명중 5명 경질…규제조정실장 전문가 영입키로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총리실이 1급 고위직 10명 중 절반을 교체하는 내정 인사를 8일 단행했다. 연초 1급 고위직 일괄 사표 파동으로 고위직 물갈이 인사 논란이 벌어진 가운데 전격적으로 이뤄진 인사다.
총리실은 9일자로 이런 내용의 1급 고위직 공무원 인사를 단행했다. 이에 따라 사직서를 낸 10명 가운데 심오택 국정운영실장과 김효명 세종특별자치시지원단장, 김희락 정무실장, 이태용 민정실장 등 4명이 유임됐으며, 조경규 사회조정실장은 경제조정실장으로 자리를 옮겼다.
나머지 권태성 정부업무평가실장, 강은봉 규제조정실장, 류충렬 경제조정실장, 신중돈 공보실장, 박종성 조세심판원장 등 5명은 사직 처리됐다. 신임 정무업무평가실장에는 이철우 총무기획관이, 사회조정실장에는 최병환 기획총괄정책관이, 조세심판원장에는 김형돈 조세심판원 1상임심판관이 각각 승진됐다.
인사 폭은 당초 예상한 수준을 훨씬 넘어섰다. 특히 박근혜 대통령이 연두기자회견에서 강조한 규제개혁 업무를 총괄할 규제조정실장에 외부 전문가를 영입키로 하는 등 공직사회 전반에 긴장감을 불어넣은 것으로 해석된다.
총리실은 이번 인사는 그동안 업무수행 노력과 성과를 엄정하게 평가해 최대한 반영한 것으로 조직의 안정성을 유지하면서 능력과 전문성에 따른 발탁인사를 병행한 것이라고 밝혔다.
총리실 관계자는 “총리실 1급 일괄사표가 전 부처 1급의 물갈이 논란을 빚자 정홍원 총리가 나서 오해라고 해명했지만 나름대로 공직사회의 순혈주의를 깨기 위해 전격적인 인사를 단행했다”고 말했다.
특히 규제조정실장을 개방형으로 하기로 한 것과 관련, “그동안 국·과장 직위에 한정했던 개방형 직위를 고위직인 1급까지 확대한 것은 대통령이 강조한 적극적인 투자를 통한 경제 활성화를 위해 과감한 규제개혁을 차질없이 실천에 옮기기 위한 것”이라고 해석했다.
이심기 기자 sglee@hankyung.com
총리실은 9일자로 이런 내용의 1급 고위직 공무원 인사를 단행했다. 이에 따라 사직서를 낸 10명 가운데 심오택 국정운영실장과 김효명 세종특별자치시지원단장, 김희락 정무실장, 이태용 민정실장 등 4명이 유임됐으며, 조경규 사회조정실장은 경제조정실장으로 자리를 옮겼다.
나머지 권태성 정부업무평가실장, 강은봉 규제조정실장, 류충렬 경제조정실장, 신중돈 공보실장, 박종성 조세심판원장 등 5명은 사직 처리됐다. 신임 정무업무평가실장에는 이철우 총무기획관이, 사회조정실장에는 최병환 기획총괄정책관이, 조세심판원장에는 김형돈 조세심판원 1상임심판관이 각각 승진됐다.
인사 폭은 당초 예상한 수준을 훨씬 넘어섰다. 특히 박근혜 대통령이 연두기자회견에서 강조한 규제개혁 업무를 총괄할 규제조정실장에 외부 전문가를 영입키로 하는 등 공직사회 전반에 긴장감을 불어넣은 것으로 해석된다.
총리실은 이번 인사는 그동안 업무수행 노력과 성과를 엄정하게 평가해 최대한 반영한 것으로 조직의 안정성을 유지하면서 능력과 전문성에 따른 발탁인사를 병행한 것이라고 밝혔다.
총리실 관계자는 “총리실 1급 일괄사표가 전 부처 1급의 물갈이 논란을 빚자 정홍원 총리가 나서 오해라고 해명했지만 나름대로 공직사회의 순혈주의를 깨기 위해 전격적인 인사를 단행했다”고 말했다.
특히 규제조정실장을 개방형으로 하기로 한 것과 관련, “그동안 국·과장 직위에 한정했던 개방형 직위를 고위직인 1급까지 확대한 것은 대통령이 강조한 적극적인 투자를 통한 경제 활성화를 위해 과감한 규제개혁을 차질없이 실천에 옮기기 위한 것”이라고 해석했다.
이심기 기자 sgle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