허창수 전국경제인연합회장은 10일 이승철 상근부회장과 함께 서울 태릉선수촌을 찾아 2014 소치 동계올림픽을 준비중인 선수단에 격려금을 전달했다. 허 회장(앞줄 왼쪽)과 이 부회장(오른쪽)이 최종삼 태릉선수촌장(뒷줄 왼쪽 첫 번째)과 김재열 소치 동계올림픽 선수단장(삼성엔지니어링 사장·두 번째) 등이 지켜보는 가운데 컬링 스톤을 던져보고 있다.
한국경제의 큰 축인 40대 취업자 수가 감소세를 이어가면서 20여 년 만에 최저치로 떨어졌다.이는 우리 사회 인구구조 변화와 함께 이들이 주로 종사하는 건설업·도소매 등 내수 업황 부진에 따른 것으로 풀이된다.29일 통계청 국가통계포털(KOSIS)에 따르면 지난해 40대 취업자는 총 617만9000명으로, 전년보다 8만1000명 감소했다.2023년(-5만4000명)보다 감소 폭이 확대하면서, 지난 2003년(605만명) 이후로 가장 작은 규모로 쪼그라들었다.40대 취업자는 꾸준히 늘면서 2014년 689만6000명까지 불어났지만, 이후로는 '마이너스'로 돌아섰다. 2022년 소폭 증가한 것을 제외하면 10년간 가파른 감소세가 이어지면서 약 70여만개 일자리가 증발했다.기본적으로는 인구구조 변화가 직접적인 영향을 끼친 것으로 보이는데 40대 인구는 2014년(871만명) 정점을 찍고 10년 연속으로 감소하면서 지난해에는 781만명으로 줄었다.이와 함께 고질적인 내수 부진과도 관련됐다는 분석이 나온다. 40대 종사자 비율이 높은 건설, 도소매, 부동산 등의 내수업종 부진이 이어지면서 고용시장에 부정적 영향을 가했다는 것이다.'이른 퇴직'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인다.통계청의 '경제활동인구조사 고령층 부가조사'에 따르면 지난해 5월 기준 55~64세 취업경험자가 가장 오랜 근무한 일자리에서 퇴직한 평균연령은 49.4세로 50세를 밑돌았다.유지희 한경닷컴 기자 keephee@hankyung.com
계속된 부진을 겪고있는 삼성그룹이 지난해 국내 대기업그룹 시가총액 순위에서 1위를 유지했지만 시총 규모는 5년 만에 최소 수준에 그친 것으로 29일 나타났다.이는 반도체 경쟁력 걸린 비상이 그룹 전체의 발목을 잡은 결과로 풀이된다.조선 및 방산업 호황 효과를 누린 HD현대그룹과 한화그룹의 순위가 급등했지만 불과 3년 전 재계 10위였던 롯데그룹은 유동성 위기 속에 20위권에 턱걸이로 이름을 올렸다.이날 한국거래소가 공정거래위원회에서 대기업집단으로 지정한 그룹사의 시총(유가증권시장·코스닥시장 상장사 및 우선주 포함) 변화를 집계한 결과, 삼성그룹 시총은 지난해 말 기준 543조3330억원으로 전년 709조6920억원에 비해 23.44% 줄었다.국내 대기업그룹 1위 자리는 여전히 확고했으나, 시총 규모는 2019년 514조1120억원 이후 최소치로 줄어들었다.이는 지난해 주가가 32.23% 하락한 삼성전자의 부진이 크게 작용한 것으로 풀이된다.삼성전자는 엔비디아에 대한 고대역폭 메모리(HBM) 공급이 지연되면서 인공지능(AI) 반도체 밸류체인에서 소외된 것은 물론, 범용 메모리 경쟁 심화 및 가격 하락, 파운드리 사업의 계속된 침체까지 복합 위기를 맞고 있다.SK그룹은 전년 대비 12.81% 증가한 202조7280억원으로 순위를 한 단계 끌어올리며 2021년 이후 3년 만에 2위 자리를 되찾았다.이는 HBM 경쟁력에서 독보적 우위를 확보한 SK하이닉스가 AI 반도체 랠리에 힘입어 주가가 22.90% 오른 것이 주요 배경으로 분석된다.LG그룹은 LG에너지솔루션과 LG화학이 이차전지와 석유화학 사업에서 고전한 결과, 그룹 시총이 144조6460억원으로 23.88% 감소하며 3위로 순위가 한 계단 하락했다.현대차그룹은 0.90% 증가한 시총 141조65
중국 인공지능(AI) 스타트업 딥시크(DeepSeek)로 인해 쇼크를 받은 미국 증시가 28일(현지시간) 기술주를 중심으로 반등하며 다소 진정된 모습을 보였다.뉴욕증시에서 3대 주가지수가 동반 강세를 보였는데 전날 3% 폭락했던 나스닥 종합지수는 2% 급반등했고 중국 AI 딥시크발 충격으로 폭락했던 기술주가 저가 매수세에 힘입어 전날 하락분의 일부를 되찾았다.이날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장 마감 무렵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136.77포인트(0.31%) 오른 44,850.35에 거래를 마감했다.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는 전장보다 55.43포인트(0.92%) 오른 6,067.71, 나스닥 종합지수는 391.75포인트(2.03%) 뛴 19,733.59에 장을 마쳤다.엔비디아는 전날보다 8.82% 오른 128.86달러(약 18만6718원)에 마감했다.종가 기준 시가총액은 3조1558억달러(약 4572조7543억원)로, 다시 3조달러대를 회복했다.애플(3.65%)과 마이크로소프트(2.87%), 아마존(1.16%), 구글 알파벳(1.70%), 메타(2.19%) 등 대형 기술주 '매그니피센트 7' 대부분이 강세를 보였다.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지수는 2.03% 올랐고, 반도체 관련 종목으로 구성된 필라델피아 반도체 지수는 1.09% 상승했다.전날 미 증시는 중국 딥시크의 AI 챗봇 앱이 미국 앱스토어 다운로드 1위에 오르는 등 돌풍을 일으키면서 큰 충격을 받은 바 있다.딥시크의 AI 모델은 오픈AI 등 미 기업들의 AI 모델에 필적할 만한 성능을 갖췄으면서도 훨씬 적은 비용으로 개발됐다는 점에서 주목받았다.AI 칩 대장주인 엔비디아는 이에 미국 AI 관련 기업에 대한 투자자들의 불안감이 커지자 전날 하루 동안 무려 16.97% 폭락했다. 시총은 하루 만에 5890억달러(약 846조6875억원)가 증발해 뉴욕증시에서 역대 단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