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상춘의 '국제경제 읽기'] 2014년 재테크 '여성 움직임' 잘 읽어라
여성의 힘이 연초부터 부쩍 크게 느껴진다. 국제금융시장에서 영향력이 가장 큰 5대 직책은 국제통화기금(IMF) 총재, 미국 대통령과 중앙은행(Fed) 의장, 독일 총리, 유럽중앙은행(ECB) 총재를 말한다. 벌써 IMF는 크리스틴 라가르드, 독일 총리는 앙겔라 메르켈이 차지한 데 이어 2월부터는 Fed마저 재닛 옐런이 맡게 돼 ‘여성 삼두(三頭) 시대’가 열린다.

현재 여론조사 결과로 본다면 차기 미국 대통령까지 힐러리 클린턴이 차지할 가능성이 높다. 정치적으로 클린턴과 메르켈 구도 아래 경제적으로 옐런과의 협조가 잘 이뤄지려면 포스트 드라기는 여성이 맡아야 한다는 결론이 나온다. 이 시나리오대로 간다면 바야흐로 국제금융시장은 ‘여성화(womanization)’ 시대를 맞게 되는 셈이다.

당장 다음달부터 국제금융시장은 정책면에서 라가르드와 옐런에 의해 주도된다. 두 사람은 공통점이 많다. 그중 중앙은행 목표는 정책 여건에 맞게 수정돼야 한다고 주장해 왔다. 물가가 추세적으로 안정된 여건에서 중앙은행은 물가 안정만을 고집하기보다 다른 목표를 추진해야 한다는 것이 이들의 입장이다.

[한상춘의 '국제경제 읽기'] 2014년 재테크 '여성 움직임' 잘 읽어라
Fed는 이미 종전의 ‘물가목표’와 함께 ‘고용목표’를 양대 책무로 설정해 통화정책을 운용해 오고 있다. Fed 창립 100년 역사상 가장 획기적인 일로 평가된다. 특히 옐런은 차기 의장으로 인준이 확정되는 미국 상원에서 후자에 더 무게를 둬야 한다는 입장을 밝혔다.

옐런의 이런 시각을 명확히 알 수 있는 것이 오래전부터 주장해온 ‘최적통제준칙(optimal control rule)’이다. 이 준칙은 Fed의 양대 책무를 달성하기 위해 두 목표로부터의 편차를 최소화하는 정책금리 경로를 산출해 통화정책을 운영하는 방식이다. 특히 고용목표 달성에 도움되면 물가가 일시적으로 목표치를 벗어나는 것도 허용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옐런 룰’이라고도 불리는 이 주장은 어떤 경우든 물가 목표치에서 벗어나서는 안 된다는 다른 준칙과는 대조적이다. 통화론자들은 정책금리 등을 변경할 때 ‘통화 준칙’에 의할 것을 주장해 왔다. 이를 테면 한국은행의 목표 상한선이 3.5%일 때 이보다 물가가 올라가면 자동적으로 정책금리를 올려 안정시켜야 한다는 것이 이 준칙의 핵심이다.

하지만 물가 이외의 다른 목표 달성에 도움이 된다면 정책금리는 변경하지 않을 수 있다는 것이 최적통제준칙에 의한 정책금리 결정 방식이다. 통화론자 입장에서 보면 ‘악마 중 악마와의 키스’에 해당하는 최악의 준칙인 셈이다.

옐런이 Fed 의장에 정식으로 취임한 이후 ‘최적통제준칙’에 따라 통화정책을 운용할 경우 ‘제로’ 금리는 2015년 말까지 유지될 것으로 예상된다. 경제가 정상화된 뒤에도 종전의 ‘테일러 준칙’과 ‘수정된 테일러 준칙’보다 더 오랫동안 제로 금리정책이 지속될 가능성이 높다.

시장에서도 여성들의 움직임이 부쩍 활발해질 것으로 예상된다. 올해 시장에서 예상되는 많은 변화 가운데 주요국 정책 간 불일치(mis-match)에 따른 캐리자금의 향방이 최대 변수가 될 가능성이 높다. 캐리자금이 유입되는 국가는 주가, 시장금리, 자국 통화값, 심지어 부동산 가격이 오르지만 유출국에서는 그 반대 현상이 예상되기 때문이다.

캐리 트레이드란 증권 브로커가 차입한 자금으로 주식과 같은 유가증권의 투자를 늘리는 행위를 말한다. 차입한 통화에 따라 엔 캐리, 달러 캐리, 유로 캐리 트레이드 자금으로 구분된다. 운용하는 주체도 엔 캐리는 ‘와타나베 부인’, 달러 캐리는 ‘스미스 부인’, 유로 캐리는 ‘소피아 부인’으로 차입국의 가장 흔한 성(姓)을 따서 부른다.

금융위기 이후 주요국들이 통화완화 정책을 추진하면서 모두가 저금리를 지향해 각국 간 금리차를 크게 기대하기 어려운 상황이었다. 이 때문에 각국 간 금리차, 환율, 주가 등을 변수로 구성된 ‘구조적 벡터자기회귀(SVAR)’ 모형으로 캐리자금의 요인별 기여도를 추정해 보면 금융위기 이후에는 환율이 가장 큰 결정 요인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올해부터는 사정이 다르다. Fed가 양적완화 규모 축소(테이퍼링)을 추진하는 때에 일본은행(BOJ)과 ECB는 추가로 양적완화에 들어갔다. 금융위기 이후 고려하지 않았던 각국 간 금리차가 벌어지기 시작했다는 의미다. 벌써부터 와타나베 부인들의 활동이 부쩍 증가하기 시작했다.

미·일 간 금리차가 가장 벌어질 것으로 예상되는 올해 상반기에 와타나베 부인의 활동을 주목할 필요가 있다. 이들이 엔 캐리 자금을 미국으로 옮기는 과정에서 엔·달러 환율이 현 수준보다 더 올라갈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이미 국내 증시에서는 ‘엔 캐리 자금의 우회 충격’이 발생해 연초부터 코스피지수가 1950 이하로 주저앉고 있다.

한상춘 객원논설위원 scha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