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경+] 영화 손익분기점은 관객 200만명? 500만명?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오동혁 증권부 기자)관객 500만명이 봐도 투자자들이 손해를 보는 영화가 있고, 50만명만 봐도 수익을 내는 영화가 있습니다. 영화투자 손익분기점(BEP)은 어떻게 산정될까요?
영화 손익분기점의 핵심에는 총제작비가 있습니다. 총제작비는 영화제작에 쓰이는 순제작비와 완성된 영화를 광고하고 홍보하는데 쓰이는 P&A(프린트 및 광고)비용으로 구성됩니다. 영화가 흥행하는 경우, P&A비용은 더욱 증가하게 되죠. 영화제작비를 최소한으로 줄여야만 BEP를 낮출 수 있습니다. 흥행에 성공했다고 해도 총제작비가 많이 들어가면 수익률은 급격하게 떨어질 수밖에 없습니다.
실제로 흥행순위와 수익률 순위는 큰 차이를 보입니다. 한국영화 역대 최고 흥행작인 영화 ‘도둑들’은 1298만명의 관객을 동원했습니다. 하지만 총제작비가 150억원에 육박하면서 총수익률은 100% 정도에 그쳤죠. 흥행순위 2위(관객 1231만명)인 ‘광해’도 99억원의 총제작비가 투입됐습니다. 총수익률은 105%입니다.
역대 총수익률 1위를 기록한 영화(모태펀드 투자영화 기준)는 순제작비 5억원, 총제작비 17억원이 투입된 ‘부러진화살’입니다. 관객 340만명을 동원한 이 영화는 414%라는 경이적인 총수익률을 기록했습니다.
영화수익은 대부분 영화관 매출에서 발생합니다. 여기에 해외 및 부가 판권판매 등으로 추가수익을 얻는 구조입니다. 영화티켓은 보통 8000~9000원이죠. 유료관객 200만명이 들어온다고 가정할 경우…
☞ 기사 전문을 보시려면 '한경+' 클릭
영화 손익분기점의 핵심에는 총제작비가 있습니다. 총제작비는 영화제작에 쓰이는 순제작비와 완성된 영화를 광고하고 홍보하는데 쓰이는 P&A(프린트 및 광고)비용으로 구성됩니다. 영화가 흥행하는 경우, P&A비용은 더욱 증가하게 되죠. 영화제작비를 최소한으로 줄여야만 BEP를 낮출 수 있습니다. 흥행에 성공했다고 해도 총제작비가 많이 들어가면 수익률은 급격하게 떨어질 수밖에 없습니다.
실제로 흥행순위와 수익률 순위는 큰 차이를 보입니다. 한국영화 역대 최고 흥행작인 영화 ‘도둑들’은 1298만명의 관객을 동원했습니다. 하지만 총제작비가 150억원에 육박하면서 총수익률은 100% 정도에 그쳤죠. 흥행순위 2위(관객 1231만명)인 ‘광해’도 99억원의 총제작비가 투입됐습니다. 총수익률은 105%입니다.
역대 총수익률 1위를 기록한 영화(모태펀드 투자영화 기준)는 순제작비 5억원, 총제작비 17억원이 투입된 ‘부러진화살’입니다. 관객 340만명을 동원한 이 영화는 414%라는 경이적인 총수익률을 기록했습니다.
영화수익은 대부분 영화관 매출에서 발생합니다. 여기에 해외 및 부가 판권판매 등으로 추가수익을 얻는 구조입니다. 영화티켓은 보통 8000~9000원이죠. 유료관객 200만명이 들어온다고 가정할 경우…
☞ 기사 전문을 보시려면 '한경+' 클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