겨울 무 가격 1년새 50% 떨어져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농수산물 시세
겨울 무 값이 폭락하고 있다.
16일 서울가락시장에서 무 18㎏ 한 상자는 4768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 9428원보다 49.4% 떨어졌다. 개당 가격은 520원꼴이다. 무 값은 생산량 증가 및 소비 감소 등의 영향으로 김장철 이후 계속 내림세를 탔다. 한 달 전 상자당 5703원보다도 16.4% 떨어지는 등 지속적인 하락세가 이어지고 있다.
지난달 농협이 7800t 출하 감축에 나섰지만 가격 하락을 막기엔 역부족이었다.
농협은 “기상조건이 좋은 데다 산지에서 자연 폐기되는 물량 또한 크게 줄어 겨울무 생산량이 31만8000t으로 평년의 23만7000t보다 8만1000t가량 늘었기 때문”으로 분석했다.
농림축산식품부는 무 가격이 폭락함에 따라 수급조절매뉴얼의 ‘경계’ 경보를 발령하고 무 2만t을 시장에 풀지 않기로 했다.
또 수급상황에 따라 추가로 1만t을 격리하기로 했다. 이재욱 농식품부 유통정책관은 “시장격리 조치와 함께 무 판촉활동 등 추가적인 소비촉진책을 펼칠 계획”이라고 말했다.
가락시장 측은 “정부와 농협이 공급을 줄인다지만 주로 하품들이 처리돼 실제 시장에 미치는 공급 감소 효과는 기대에 못 미칠 것”이라며 “올 4월까지 무 가격 약세가 지속될 것으로 보고 있다”고 설명했다.
최만수 기자 bebop@hankyung.com
16일 서울가락시장에서 무 18㎏ 한 상자는 4768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 9428원보다 49.4% 떨어졌다. 개당 가격은 520원꼴이다. 무 값은 생산량 증가 및 소비 감소 등의 영향으로 김장철 이후 계속 내림세를 탔다. 한 달 전 상자당 5703원보다도 16.4% 떨어지는 등 지속적인 하락세가 이어지고 있다.
지난달 농협이 7800t 출하 감축에 나섰지만 가격 하락을 막기엔 역부족이었다.
농협은 “기상조건이 좋은 데다 산지에서 자연 폐기되는 물량 또한 크게 줄어 겨울무 생산량이 31만8000t으로 평년의 23만7000t보다 8만1000t가량 늘었기 때문”으로 분석했다.
농림축산식품부는 무 가격이 폭락함에 따라 수급조절매뉴얼의 ‘경계’ 경보를 발령하고 무 2만t을 시장에 풀지 않기로 했다.
또 수급상황에 따라 추가로 1만t을 격리하기로 했다. 이재욱 농식품부 유통정책관은 “시장격리 조치와 함께 무 판촉활동 등 추가적인 소비촉진책을 펼칠 계획”이라고 말했다.
가락시장 측은 “정부와 농협이 공급을 줄인다지만 주로 하품들이 처리돼 실제 시장에 미치는 공급 감소 효과는 기대에 못 미칠 것”이라며 “올 4월까지 무 가격 약세가 지속될 것으로 보고 있다”고 설명했다.
최만수 기자 bebop@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