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브스는 최근 “석탄은 기원전 315년 그리스 문헌에 대장간에서 원료로 쓰던 기록이 있는 것처럼 오랜 세월 인간과 함께 해온 연료”라며 “어떤 원료라도 하루아침에 석탄을 대신할 수는 없을 것”이라고 전했다.

하지만 환경오염이 변수로 꼽힌다. 석탄은 석유, 가스 등 화석연료와 함께 공기오염의 주범이다. 화석연료를 많이 사용하게 된 산업혁명 이후 대기중 이산화탄소 농도는 산업화 이전의 280ppm에서 2005년 기준 379ppm으로 30% 증가했다. 이 같은 부작용을 방지하기 위해 올해부터 국제적인 환경 규제 장벽이 대거 높아진다. 실제 수요는 늘어나는 반면 규제의 수위는 한층 강해지는 등 엇갈린 상황이 벌어지고 있는 셈이다.

미국 환경청(EPA)은 지난해 신규 석탄발전소 건설과 관련해 엄격한 이산화탄소 배출 한도를 정하는 등 향후 신규 건설을 최대한 억제하는 행정명령을 발표했다. 중국 정부도 지난해 9월 ‘공해방지 계획’을 내놨다. 주된 내용은 2017년까지 주에너지원에서 차지하는 석탄의 의존도를 65%로 낮춘다는 것이다. 이를 위해 베이징과 톈진, 양쯔 델타지역, 광저우 중심으로 한 주장 삼각주 지역의 석탄발전소 신설을 전면 중단하기로 했다. 이 지역은 중국 전체 전력소비의 약 32%를 차지하는 핵심지역이다.

2010년 기준 중국의 석탄발전 용량은 659GW로 전체 발전능력의 67%를 차지했다. 석탄이 풍부한 중국에서는 현재도 난방 연료의 70% 이상을 석탄에 의존하고 있다.

김보라 기자 destinybr@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