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노총 새 위원장에 김동만 부위원장, 강경파 택한 한노총…勞·政 '찬바람' 부나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공기업 개혁·임금체계 개편
정부 노동정책 차질 가능성
정부 노동정책 차질 가능성
22일 한국노총 차기 위원장에 당선된 김동만 부위원장(전국금융산업노조 소속)은 강경·개혁파로 분류된다. 선거운동 내내 “박근혜 정부가 공권력을 동원해 노동 탄압을 하고 공기업 부채를 노동자에게 떠넘기고 있다”고 주장했다. 당선 직후에도 ‘대정부 공기업 투쟁’을 내세웠다. 투쟁 위주의 민주노총에 비해 온건 노선을 걸어온 한국노총은 정부·회사 측의 대화 파트너 역할을 해왔다. 이번에 강경파 집행부가 들어서면서 공기업 개혁은 물론 임금체계 개편 등 노동계 현안 해결이 지체되고 경제 전반에 큰 부담이 될 것이란 우려가 나온다.
◆“양대 노총 공공노조 공동선언 개최”
김 당선자와 문진국 현 위원장 등 네 후보가 겨룬 1차 투표에서 문 위원장은 1위, 김 당선자는 2위를 차지했다. 그러나 과반수 득표자가 없어 치러진 결선투표에서 김 당선자가 문 위원장을 제쳤다.
김 당선자의 임기는 오는 2월부터 3년간이다. 중앙노동위원회 심판위원, 금융산업노조 위원장을 지낸 김 당선자는 강경파로 분류된다. 그는 당선소감을 통해 “현장에서 한국노총 조끼를 떳떳하게 입고 다닐 수 있도록 하겠다”며 강경 투쟁을 시사했다.
선거기간 동안 ‘공기업 대책위원회 구성, 공공부문 노·정교섭 관철’을 주요 공약으로 내건 김 당선자는 공약 실현 첫 단계로 23일 양대 노총 공공기관 노동조합 공동선언대회를 열기로 했다.
김 당선자가 결선투표에서 역전한 배경으로 선거인단 가운데 400명으로 가장 많은 금융노조와 금속노련(392명), 자동차노련(354명) 등을 지지층으로 결집시킨 점이 꼽혔다. 또 공기업 투쟁을 지속적으로 강조함으로써 공공부문 노조의 지지를 확보한 점도 당선 요인으로 분석됐다.
위원장과 사무총장을 함께 뽑는 러닝메이트 방식의 선거에서 이병균 한국노총 부위원장(전 금속노련 위원장)이 사무총장으로 선출됐다.
◆노·정 관계 냉각 지속될 듯
김 당선자가 한국노총을 이끌게 되면 산적한 노동현안에 대한 해법 찾기도 어려워질 전망이다. 그는 선거 직후 기자들과 만나 “민주노총 (본부 건물) 침탈에 대한 정부의 공식 사과 없이는 노사정위원회에 복귀할 생각이 없다”고 말했다.
정부는 통상임금 문제나 정년 연장에 따른 임금피크제 도입, 연장근로 단축으로 줄어드는 임금보전 등 산적한 노동 현안을 노사정위를 통해 한꺼번에 처리하는 ‘패키지 딜’ 방식을 추진해 왔다. 한국노총이 노사정위에 불참하면 패키지 딜 자체가 불가능해져 노동 현안 해결도 지연될 수밖에 없다.
한국노총은 지난달 22일 민주노총 본부에 대한 공권력 투입에 반발하며 노사정위 등 정부와의 대화 중단을 선언했다.
공공부문 개혁에 대한 대정부 투쟁을 언급한 것도 변수다. 김 당선자는 “정부가 공공부문의 500조원에 가까운 빚을 공공노동자들에게 전가하는 행태를 보이고 있어 대정부 투쟁으로 갈 수밖에 없을 것”이라고 언급했다. 한국노총이 대정부 투쟁을 하면서 노사정위에 참석하기는 힘들 것이라는 점에서 노·정 관계가 상당 기간 냉각될 수 있다는 게 노동계의 분석이다.
강현우 기자 hkang@hankyung.com
◆“양대 노총 공공노조 공동선언 개최”
김 당선자와 문진국 현 위원장 등 네 후보가 겨룬 1차 투표에서 문 위원장은 1위, 김 당선자는 2위를 차지했다. 그러나 과반수 득표자가 없어 치러진 결선투표에서 김 당선자가 문 위원장을 제쳤다.
김 당선자의 임기는 오는 2월부터 3년간이다. 중앙노동위원회 심판위원, 금융산업노조 위원장을 지낸 김 당선자는 강경파로 분류된다. 그는 당선소감을 통해 “현장에서 한국노총 조끼를 떳떳하게 입고 다닐 수 있도록 하겠다”며 강경 투쟁을 시사했다.
선거기간 동안 ‘공기업 대책위원회 구성, 공공부문 노·정교섭 관철’을 주요 공약으로 내건 김 당선자는 공약 실현 첫 단계로 23일 양대 노총 공공기관 노동조합 공동선언대회를 열기로 했다.
김 당선자가 결선투표에서 역전한 배경으로 선거인단 가운데 400명으로 가장 많은 금융노조와 금속노련(392명), 자동차노련(354명) 등을 지지층으로 결집시킨 점이 꼽혔다. 또 공기업 투쟁을 지속적으로 강조함으로써 공공부문 노조의 지지를 확보한 점도 당선 요인으로 분석됐다.
위원장과 사무총장을 함께 뽑는 러닝메이트 방식의 선거에서 이병균 한국노총 부위원장(전 금속노련 위원장)이 사무총장으로 선출됐다.
◆노·정 관계 냉각 지속될 듯
김 당선자가 한국노총을 이끌게 되면 산적한 노동현안에 대한 해법 찾기도 어려워질 전망이다. 그는 선거 직후 기자들과 만나 “민주노총 (본부 건물) 침탈에 대한 정부의 공식 사과 없이는 노사정위원회에 복귀할 생각이 없다”고 말했다.
정부는 통상임금 문제나 정년 연장에 따른 임금피크제 도입, 연장근로 단축으로 줄어드는 임금보전 등 산적한 노동 현안을 노사정위를 통해 한꺼번에 처리하는 ‘패키지 딜’ 방식을 추진해 왔다. 한국노총이 노사정위에 불참하면 패키지 딜 자체가 불가능해져 노동 현안 해결도 지연될 수밖에 없다.
한국노총은 지난달 22일 민주노총 본부에 대한 공권력 투입에 반발하며 노사정위 등 정부와의 대화 중단을 선언했다.
공공부문 개혁에 대한 대정부 투쟁을 언급한 것도 변수다. 김 당선자는 “정부가 공공부문의 500조원에 가까운 빚을 공공노동자들에게 전가하는 행태를 보이고 있어 대정부 투쟁으로 갈 수밖에 없을 것”이라고 언급했다. 한국노총이 대정부 투쟁을 하면서 노사정위에 참석하기는 힘들 것이라는 점에서 노·정 관계가 상당 기간 냉각될 수 있다는 게 노동계의 분석이다.
강현우 기자 hkan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