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11 계속 쓸래요…SK텔레콤 2G 가입자 증가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작년 12월 2만명 늘어
스마트폰 보급과 4세대(4G) LTE 등 이동통신 기술 발달로 급감하던 2G 가입자가 지난달 증가했다. 지난해 말 01× 번호 3G·LTE 서비스가 종료되자 일부 가입자가 01× 번호를 계속 이용하기 위해 2G로 갈아탔기 때문이란 분석이다.
26일 미래창조과학부에 따르면 SK텔레콤의 2G 이동통신 가입자는 지난해 10월 말 403만5152명, 11월 말 393만2709명으로 줄어들다 12월 말 395만6520명으로 늘었다.
이례적으로 2G 가입자가 증가한 것은 ‘010 자동전환’ 정책 때문이다. 미래부는 010 번호만 사용할 수 있는 3G·LTE 가입자들에게 01×(011·016·017·018·019) 번호를 한시적으로 쓸 수 있도록 하는 정책을 운영했다. 일부 01× 번호 이용자가 번호를 계속 쓰게 해달라고 요청했기 때문이다. 오랜 기간 사용해온 번호를 바꾸면 불편을 겪게 된다는 것 등이 이유였다. 그러나 이 정책은 지난해 말 끝났다. 이에 따라 01× 번호를 쓰던 3G·LTE 가입자들의 번호는 올해부터 010으로 자동으로 바뀌었다.
하지만 2G 가입자들은 올해 이후에도 계속 01× 번호를 사용할 수 있다. 지난달 2G 가입자가 증가한 배경이다. SK텔레콤 관계자는 “011 번호를 그대로 이용하고자 하는 3G·LTE 가입자들이 2G로 갈아탔을 가능성이 크다”고 말했다. 스마트폰을 포기하고 피처폰(일반 휴대폰)으로 바꿨단 얘기다.
전설리 기자 sljun@hankyung.com
26일 미래창조과학부에 따르면 SK텔레콤의 2G 이동통신 가입자는 지난해 10월 말 403만5152명, 11월 말 393만2709명으로 줄어들다 12월 말 395만6520명으로 늘었다.
이례적으로 2G 가입자가 증가한 것은 ‘010 자동전환’ 정책 때문이다. 미래부는 010 번호만 사용할 수 있는 3G·LTE 가입자들에게 01×(011·016·017·018·019) 번호를 한시적으로 쓸 수 있도록 하는 정책을 운영했다. 일부 01× 번호 이용자가 번호를 계속 쓰게 해달라고 요청했기 때문이다. 오랜 기간 사용해온 번호를 바꾸면 불편을 겪게 된다는 것 등이 이유였다. 그러나 이 정책은 지난해 말 끝났다. 이에 따라 01× 번호를 쓰던 3G·LTE 가입자들의 번호는 올해부터 010으로 자동으로 바뀌었다.
하지만 2G 가입자들은 올해 이후에도 계속 01× 번호를 사용할 수 있다. 지난달 2G 가입자가 증가한 배경이다. SK텔레콤 관계자는 “011 번호를 그대로 이용하고자 하는 3G·LTE 가입자들이 2G로 갈아탔을 가능성이 크다”고 말했다. 스마트폰을 포기하고 피처폰(일반 휴대폰)으로 바꿨단 얘기다.
전설리 기자 slju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