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그룹이 환경·안전 사고를 원천적으로 막기 위해 올해 말까지 이 분야에 3조원을 투자하기로 했다.

이인용 삼성그룹 미래전략실 사장은 29일 삼성 수요사장단 회의 직후 열린 브리핑에서 “작년부터 사별로 환경·안전 관련 전략을 세우고 본격적인 투자를 시작했다”며 “연말까지 이 분야에 3조원을 집행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투자와 더불어 각사 최고경영자(CEO) 주도로 안전·환경 분야를 챙기도록 하고 관련 성과를 따져 임직원 평가에 반영하기로 했다.

○“불산 사고 또 터지면 문닫을 수 있다”

삼성이 환경·안전에 거액을 쏟아붓기로 한 것은 사고가 날 경우 그 이상의 손실이 발생할 수 있다는 판단에서다. 산업계에서는 화학물질관리법(화관법), 화학물질 평가 및 등록법(화평법)에 이어 ‘환경오염시설 통합관리에 관한 법률(환통법)’ 입법예고를 앞두고 비상이 걸렸다. 해외에서도 삼성에 대한 견제가 심해지고 있어 환경·안전 등에서 철저한 관리가 필요한 상황이다.

작년 1월 삼성전자 화성공장에서 불산이 누출돼 협력사 직원 1명이 숨지는 사고가 일어났다. 전남 여수 대림산업 화학공장에서 일어난 폭발사고로 6명이 숨지고 11명이 다쳤으며, LG실트론에서도 불산 혼합액 누출 사고가 발생했다.

이에 정부와 국회는 화관법과 화평법을 대폭 강화했다. 화관법은 인체에 유해한 화학물질 유출 사고를 내면 해당 사업장 매출의 최대 5%에 이르는 과징금을 부과할 수 있도록 했다. 화평법 시행으로 연간 1t 이상 제조·수입하는 화학물질과 국내 시장에 처음 들어오는 신규 화학물질에 대한 관리가 한층 까다로워졌다.

여기에 환경부가 지난 27일 환통법을 입법예고해 산업계는 긴장하고 있다. 2016년 시행 예정인 환통법은 기업이 현재 수질 대기 등 9개 오염원별로 허가받아 환경오염 시설을 운영하는 것을, 사업장별로 통합해 허가받도록 바꿀 것으로 알려졌다.

○CEO에게 모든 책임 묻는다

환경·안전 분야는 당장 부가가치를 만드는 것은 아니다. 사고가 터지면 천문학적 손실이 발생할 수 있지만 평소엔 비용을 잡아먹을 뿐 수익을 내지 못하기 때문이다. 실적에 대한 압박이 큰 CEO들이 투자를 미루는 등 평소 소홀히 할 수 있다는 얘기다.

삼성은 여기에 주목하고 모든 책임을 CEO에게 지우기로 했다. 계열사별로 CEO가 주관하는 회의에서 환경·안전 안건을 최우선으로 보고받도록 하는 한편 환경·안전 관련 성과와 책임을 평가에 반영하기로 한 것이다. 이인용 사장은 “환경·안전 투자는 예외없이 시행할 것”이라며 “환경·안전의 성과와 책임을 CEO 평가에 반영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김현석/윤정현 기자 realist@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