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초에 2대씩 불티…삼성 TV에 '불황 채널'은 없습니다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김현석 삼성전자 영상디스플레이 부사장
“시장이 정체라지만 지난해 삼성전자 TV는 목표를 달성했습니다. 올해는 초고화질(UHD) TV를 앞세워 두 자릿수 성장을 이뤄야죠.”
삼성전자 TV사업을 이끌고 있는 김현석 삼성전자 영상디스플레이사업부장(부사장·사진)의 표정은 밝았다. 삼성전자는 작년 4분기에만 1500만대가 넘는 TV를 글로벌 시장에서 팔았다. 1초에 1.88대씩 판매한 것으로, 삼성전자 분기 실적으로는 사상 최대다.
시장조사업체들이 일제히 시장 수요 감소를 예상했지만 삼성은 이를 이겨내며 8년째 글로벌 1위를 질주 중이다. 덕분에 4분기 10조원이 넘는 매출을 달성한 영상디스플레이사업부 임직원은 연봉의 50%에 달하는 성과 인센티브를 받았다.
올해는 2월 소치 동계올림픽과 6월 브라질 월드컵 등 대형 스포츠 이벤트가 있는 만큼 10%대 성장을 목표로 잡았다. 김 부사장은 “미국 시장은 확실히 살아났고 유럽도 좋아지고 있다”며 “관건은 미국 정부의 양적완화 축소에 영향을 받고 있는 신흥시장”이라고 말했다. 아르헨티나는 지난주에만 페소화 가치가 14% 이상 폭락했고 터키와 남아프리카공화국, 러시아 통화도 사상 최저치 수준으로 떨어지는 등 불안이 확산되고 있다. 김 부사장은 “신흥시장은 경제 불안으로 TV 수요 자체가 줄어드는 것도 있지만 환율 때문에 팔아도 적자가 난다는 게 더 큰 문제”라고 설명했다. 배로 옮기는 TV는 운송에 한두 달씩 걸려 그 사이 환율이 하락하면 손해를 보기 십상이다.
삼성전자는 올해 UHD TV와 60인치 이상 프리미엄 제품에 집중할 계획이다. UHD TV는 일본 소니 등에 비해 늦었지만 작년 7월 글로벌 시장에 제품을 처음 출시한 뒤 몇 달 만에 전세를 역전시켰다.
시장조사업체 디스플레이서치에 따르면 삼성 UHD TV는 북미 시장에서 작년 12월 49.8%의 점유율(매출 기준)로 1위를 탈환했다. 유럽도 마찬가지다. 출시 3개월 만인 작년 10월 48.3%를 차지해 1위에 올랐다. 김 부사장은 OLED TV에 대해서는 “아직 값이 비싸 수요가 많지 않다”며 “소비자가 살 수 있을 수준까지 값이 떨어지려면 3년 정도 걸릴 것으로 본다”고 설명했다.
김현석 기자 realist@hankyung.com
삼성전자 TV사업을 이끌고 있는 김현석 삼성전자 영상디스플레이사업부장(부사장·사진)의 표정은 밝았다. 삼성전자는 작년 4분기에만 1500만대가 넘는 TV를 글로벌 시장에서 팔았다. 1초에 1.88대씩 판매한 것으로, 삼성전자 분기 실적으로는 사상 최대다.
시장조사업체들이 일제히 시장 수요 감소를 예상했지만 삼성은 이를 이겨내며 8년째 글로벌 1위를 질주 중이다. 덕분에 4분기 10조원이 넘는 매출을 달성한 영상디스플레이사업부 임직원은 연봉의 50%에 달하는 성과 인센티브를 받았다.
올해는 2월 소치 동계올림픽과 6월 브라질 월드컵 등 대형 스포츠 이벤트가 있는 만큼 10%대 성장을 목표로 잡았다. 김 부사장은 “미국 시장은 확실히 살아났고 유럽도 좋아지고 있다”며 “관건은 미국 정부의 양적완화 축소에 영향을 받고 있는 신흥시장”이라고 말했다. 아르헨티나는 지난주에만 페소화 가치가 14% 이상 폭락했고 터키와 남아프리카공화국, 러시아 통화도 사상 최저치 수준으로 떨어지는 등 불안이 확산되고 있다. 김 부사장은 “신흥시장은 경제 불안으로 TV 수요 자체가 줄어드는 것도 있지만 환율 때문에 팔아도 적자가 난다는 게 더 큰 문제”라고 설명했다. 배로 옮기는 TV는 운송에 한두 달씩 걸려 그 사이 환율이 하락하면 손해를 보기 십상이다.
삼성전자는 올해 UHD TV와 60인치 이상 프리미엄 제품에 집중할 계획이다. UHD TV는 일본 소니 등에 비해 늦었지만 작년 7월 글로벌 시장에 제품을 처음 출시한 뒤 몇 달 만에 전세를 역전시켰다.
시장조사업체 디스플레이서치에 따르면 삼성 UHD TV는 북미 시장에서 작년 12월 49.8%의 점유율(매출 기준)로 1위를 탈환했다. 유럽도 마찬가지다. 출시 3개월 만인 작년 10월 48.3%를 차지해 1위에 올랐다. 김 부사장은 OLED TV에 대해서는 “아직 값이 비싸 수요가 많지 않다”며 “소비자가 살 수 있을 수준까지 값이 떨어지려면 3년 정도 걸릴 것으로 본다”고 설명했다.
김현석 기자 realist@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