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B 대학생 취업 디딤돌] 구글코리아, 외국계 입사 선호도 3년째 1위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캠퍼스 잡앤조이' 조사
아우디·한국지멘스 순위 껑충
"원어민 수준 영어 필수 아냐"
아우디·한국지멘스 순위 껑충
"원어민 수준 영어 필수 아냐"
구직자들이 가장 입사하고 싶은 외국계 기업은 구글코리아로 조사됐다. 대학생 전문 매거진 ‘캠퍼스 잡앤조이’는 20~30대 구직자 1876명(취업준비생 964명, 대학생 274명, 직장인 638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2014 입사하고 싶은 외국계 기업 톱 30’ 조사 결과를 2월3일자 커버스토리로 보도했다.
이번 조사에서 구글코리아는 50.7%(3개 기업 복수응답)의 응답률을 기록해 3년째 1위 자리를 지켰다. 애플코리아(응답률 18.9%)와 스타벅스커피코리아(응답률 16.2%)가 2위와 3위를 차지했다. 애플코리아는 2012년 첫 조사에서 2위로 출발, 지난해 4위로 잠시 주춤했지만 올해 2위로 복귀했다. 스티브 잡스의 사망, 삼성과의 특허 분쟁 등 악재가 이어지는 상황에서도 구직자의 ‘애플’ 선호도는 여전했다.
스타벅스커피코리아는 첫 조사와 두 번째 조사에서 줄곧 5위를 기록했지만 올해 처음으로 톱3에 이름을 올렸다. 또 BMW코리아, 유한킴벌리가 뒤를 이었으며 나이키스포츠, 루이비통코리아, 한국3M, 로레알코리아, 구찌그룹코리아도 ‘톱10’에 랭크됐다.
이번 조사 결과 지난해와 비교해 순위 변동이 큰 기업도 많았다. 아우디폭스바겐코리아(11위, 12계단 상승), 아디다스코리아(14위, 12계단 상승), 한국지멘스(16위, 10계단 상승) 등이 큰 폭의 순위 상승을 보였다. 반면 한국P&G(14위, 8계단 하락), GE코리아(17위, 9계단 하락), IBM(20위, 11계단 하락) 등은 순위가 떨어졌다.
기업에 대한 남녀 응답률 차이도 나타났다. 응답률 50.7%로 1위를 차지한 구글코리아의 경우 여성 응답률은 53.3%였지만, 남성은 다소 낮은 46.7%를 기록했다. 여성에게 22.6%의 지지를 받은 스타벅스커피코리아는 6.4%의 낮은 남성 응답률을 보였으며, 루이비통코리아 역시 여성 13.2%, 남성 4.1%의 응답률 온도 차를 나타냈다. 이는 전반적으로 자동차·스포츠 브랜드를 선호하는 남성 응답자와 커피·패션 브랜드를 선호하는 여성 응답자의 차이가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
응답자 1876명의 41.5%가 외국계 기업의 장점으로 ‘복지제도’를 첫손에 꼽았다. 이는 지난해 41.9%와 비슷한 수준으로, 구직자들의 외국계 기업 복지 기대치가 여전히 높다는 것을 보여준다. 이어 ‘서구식 기업 문화’(17.9%), ‘해외 근무 기회’(17.5%), ‘연봉’(14.6%), ‘기업 인지도’(7.9%) 등이 외국계 기업의 장점으로 꼽혔으며 ‘적은 야근’ ‘특화된 업무 경험’ ‘미래 가치’ 등도 언급됐다.
한편 응답자들은 외국계 기업 입사를 위해 가장 필요한 능력으로 어학 능력을 들었다. 66.2%의 응답자가 선택한 ‘어학 능력’은 ‘관련 분야 직무 경험’(18.3%), ‘해외 생활 경험’(7.7%) 등을 압도적으로 제쳤다. 다만 외국계 기업의 인사 담당자들의 생각은 달랐다. 캠퍼스 잡앤조이가 톱30에 랭크된 외국계 기업을 대상으로 ‘신입사원에게 요구하는 외국어 수준’을 질문한 결과 ‘원어민 수준’이라고 답한 곳은 한 군데도 없었다. 설문에 응한 16개사 가운데 13곳은 ‘비즈니스 회화 수준’이라고 말했고, 3개사는 ‘초급 회화 수준’이라고 답했다.
박수진 한국경제매거진 기자 sjpark@hankyung.com
이번 조사에서 구글코리아는 50.7%(3개 기업 복수응답)의 응답률을 기록해 3년째 1위 자리를 지켰다. 애플코리아(응답률 18.9%)와 스타벅스커피코리아(응답률 16.2%)가 2위와 3위를 차지했다. 애플코리아는 2012년 첫 조사에서 2위로 출발, 지난해 4위로 잠시 주춤했지만 올해 2위로 복귀했다. 스티브 잡스의 사망, 삼성과의 특허 분쟁 등 악재가 이어지는 상황에서도 구직자의 ‘애플’ 선호도는 여전했다.
스타벅스커피코리아는 첫 조사와 두 번째 조사에서 줄곧 5위를 기록했지만 올해 처음으로 톱3에 이름을 올렸다. 또 BMW코리아, 유한킴벌리가 뒤를 이었으며 나이키스포츠, 루이비통코리아, 한국3M, 로레알코리아, 구찌그룹코리아도 ‘톱10’에 랭크됐다.
이번 조사 결과 지난해와 비교해 순위 변동이 큰 기업도 많았다. 아우디폭스바겐코리아(11위, 12계단 상승), 아디다스코리아(14위, 12계단 상승), 한국지멘스(16위, 10계단 상승) 등이 큰 폭의 순위 상승을 보였다. 반면 한국P&G(14위, 8계단 하락), GE코리아(17위, 9계단 하락), IBM(20위, 11계단 하락) 등은 순위가 떨어졌다.
기업에 대한 남녀 응답률 차이도 나타났다. 응답률 50.7%로 1위를 차지한 구글코리아의 경우 여성 응답률은 53.3%였지만, 남성은 다소 낮은 46.7%를 기록했다. 여성에게 22.6%의 지지를 받은 스타벅스커피코리아는 6.4%의 낮은 남성 응답률을 보였으며, 루이비통코리아 역시 여성 13.2%, 남성 4.1%의 응답률 온도 차를 나타냈다. 이는 전반적으로 자동차·스포츠 브랜드를 선호하는 남성 응답자와 커피·패션 브랜드를 선호하는 여성 응답자의 차이가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
응답자 1876명의 41.5%가 외국계 기업의 장점으로 ‘복지제도’를 첫손에 꼽았다. 이는 지난해 41.9%와 비슷한 수준으로, 구직자들의 외국계 기업 복지 기대치가 여전히 높다는 것을 보여준다. 이어 ‘서구식 기업 문화’(17.9%), ‘해외 근무 기회’(17.5%), ‘연봉’(14.6%), ‘기업 인지도’(7.9%) 등이 외국계 기업의 장점으로 꼽혔으며 ‘적은 야근’ ‘특화된 업무 경험’ ‘미래 가치’ 등도 언급됐다.
한편 응답자들은 외국계 기업 입사를 위해 가장 필요한 능력으로 어학 능력을 들었다. 66.2%의 응답자가 선택한 ‘어학 능력’은 ‘관련 분야 직무 경험’(18.3%), ‘해외 생활 경험’(7.7%) 등을 압도적으로 제쳤다. 다만 외국계 기업의 인사 담당자들의 생각은 달랐다. 캠퍼스 잡앤조이가 톱30에 랭크된 외국계 기업을 대상으로 ‘신입사원에게 요구하는 외국어 수준’을 질문한 결과 ‘원어민 수준’이라고 답한 곳은 한 군데도 없었다. 설문에 응한 16개사 가운데 13곳은 ‘비즈니스 회화 수준’이라고 말했고, 3개사는 ‘초급 회화 수준’이라고 답했다.
박수진 한국경제매거진 기자 sjpark@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