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MS로 계좌 자동이체시 고객에 문자로 통보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이용업체 보증금 비중 확대
검찰 '나몰래 이체' 범인 구속
검찰 '나몰래 이체' 범인 구속
최근 예금주도 모르게 은행계좌에서 돈이 빠져나간 사건이 발생하면서 금융당국이 금융결제원의 자금관리서비스(CMS) 관리를 강화하기로 했다. CMS는 통신료 보험료 등 주기적으로 납부하는 요금에 대해 고객 동의서와 은행 계좌번호만 있으면 금융결제원이 돈을 이체해주는 제도다.
고승범 금융위원회 사무처장은 3일 “CMS가 편리하고 효율적이지만 보다 안심하고 이용할 수 있도록 제도를 개선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금융위는 우선 CMS 이용 업체에 대한 등록 기준을 엄격히 하기로 했다. 실사 등을 통해 제대로 된 회사라는 것이 확인될 때만 CMS로 이체받을 수 있도록 하겠다는 것이다.
CMS 이용업체들은 통상 출금 한도의 30% 상당을 보증금으로 맡기는데, 이 보증금 비중을 높이는 방안도 강구된다. 또 CMS 이용업체가 돈을 인출할 때 고객에게 문자메시지서비스(SMS)로 알려주도록 했다. 문자 알림시스템은 3월 중 구축할 예정이다. 현재 자금이체 신청 이후 하루 뒤에 돈을 주지만 이 기간을 늘리는 방안도 검토하고 있다.
한편 서울중앙지검 첨단범죄수사2부(부장검사 이정수)는 고객 동의 없이 100여명의 은행계좌에서 자사계좌로 각각 1만9800원을 불법 자동이체한 혐의(컴퓨터 등 사용사기 미수)로 H소프트업체 대표 김모씨(34)를 지난달 31일 붙잡아 지난 2일 구속영장을 청구했다. 범행을 공모한 사채업자 임모씨(40)와 김모씨(35) 등 2명도 2일 긴급체포해 3일 구속영장을 청구했다. H사는 대리기사용 앱을 개발하는 소프트웨어회사로 알려졌으나 수사 결과 서비스를 제공한 사실이 없는 것으로 드러났다.
박종서/정소람 기자 cosmos@hankyung.com
고승범 금융위원회 사무처장은 3일 “CMS가 편리하고 효율적이지만 보다 안심하고 이용할 수 있도록 제도를 개선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금융위는 우선 CMS 이용 업체에 대한 등록 기준을 엄격히 하기로 했다. 실사 등을 통해 제대로 된 회사라는 것이 확인될 때만 CMS로 이체받을 수 있도록 하겠다는 것이다.
CMS 이용업체들은 통상 출금 한도의 30% 상당을 보증금으로 맡기는데, 이 보증금 비중을 높이는 방안도 강구된다. 또 CMS 이용업체가 돈을 인출할 때 고객에게 문자메시지서비스(SMS)로 알려주도록 했다. 문자 알림시스템은 3월 중 구축할 예정이다. 현재 자금이체 신청 이후 하루 뒤에 돈을 주지만 이 기간을 늘리는 방안도 검토하고 있다.
한편 서울중앙지검 첨단범죄수사2부(부장검사 이정수)는 고객 동의 없이 100여명의 은행계좌에서 자사계좌로 각각 1만9800원을 불법 자동이체한 혐의(컴퓨터 등 사용사기 미수)로 H소프트업체 대표 김모씨(34)를 지난달 31일 붙잡아 지난 2일 구속영장을 청구했다. 범행을 공모한 사채업자 임모씨(40)와 김모씨(35) 등 2명도 2일 긴급체포해 3일 구속영장을 청구했다. H사는 대리기사용 앱을 개발하는 소프트웨어회사로 알려졌으나 수사 결과 서비스를 제공한 사실이 없는 것으로 드러났다.
박종서/정소람 기자 cosmos@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