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는 4월부터 외국인 배우자가 장기체류 가능한 결혼비자를 발급받기 위해서는



한국어 자격증을 취득하는 등 기본적인 의사소통이 가능하다는 점을 입증해야 한다.



한국인 배우자 역시 최저생계비의 120% 이상 연간 소득이 있어야만 외국인 배우자를 초청할 수 있다.







법무부는 건전한 국제결혼을 유도하고 결혼이민자가 입국 후 안정적으로 정착할 수 있도록



결혼이민(F-6) 비자발급 심사기준 개선안을 마련해 고시했다고 5일 밝혔다.



정부는 그동안 기본적 의사소통이 불가능하거나 가족부양능력이 부족한 사람들이



외국인과 결혼하면서 가정폭력과 배우자 가출 등 여러 사회문제를 노출해 온 현실 등을 감안,



이를 예방하기 위한 차원에서 심사기준 개선안을 마련했다.



개선안은 우선 비자발급 시 결혼 이민자와 한국인 배우자가



기초적인 의사소통이 가능한지를 심사하도록 했다.



교육부 국립국제교육원이 주관하는 한국어능력시험(TOPIK) 초급 1급을 취득하거나



법무부 장관이 승인한 교육기관에서 초급수준의 한국의 교육과정을 이수해야만 결혼비자가 발급된다.



다만 결혼이민자가 한국어 관련 학위가 있거나 과거 1년 이상 한국에서 거주한 적이 있는 경우,



부부가 외국어로 의사소통이 가능한 경우, 부부 사이에 이미 출생한 자녀가 있는 경우에는



한국어 구사요건 적용을 면제해주기로 했다.



개선안은 또 한국인 배우자가 일정 소득요건을 충족할 때만 외국인 배우자를 초청할 수 있도록 했다.



구체적으로 초청자는 비자 신청일 기준 과거 1년 간의 소득(세전)이



가구수별 최저생계비의 120%(차상위계층)에 해당하는 1,479만원(2인 가구 기준)을 넘어야 한다.



초청인이 함께 살고 있는 가족이 있는 경우 구성원수에 따라 금액은 상향되며



최저생계비 변동에 맞춰 매년 조정된다.



다만 충분한 재산이 있는 경우나 가족의 소득 및 재산이 기준 금액을 충족하는 경우,



이미 출생한 자녀가 있는 경우 등은 소득요건 적용이 면제된다.


양승현기자 yanghasa@wowtv.co.kr
한국경제TV 핫뉴스
ㆍ이상화 네일아트, 일상모습 찾아봤더니... `오색빛깔 예쁘네`
ㆍ윤진숙 사진논란 해명 "여수기름유출 현장서 코막은 것, 냄새아닌 독감 때문"
ㆍ아무리먹어도 날씬한여성! 알고보니
ㆍ송혜교 강동원, 꾸미지 않아도 자체발광 `한 눈에 쏙`
ㆍ"시장상황 일희일비 않겠다‥모니터링 강화"
ⓒ 한국경제TV,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