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북은 5일 판문점에서 이산가족 상봉 행사 준비를 위한 적십자 실무접촉을 하고 이달 20∼25일 금강산에서 이산가족 상봉 행사를 개최하기로 합의했다.

이로써 이산가족 상봉 행사는 지난해 9월 말 북한의 일방적인 '연기' 발표 이후 5개월 만에 성사될 예정이다.

다음은 이산가족 상봉 및 관련 일지.

▲1985. 9. 20∼23 = 남북한 고향방문 및 예술공연단 서울·평양 교환 방문
▲2000. 8. 15∼18 = 제1차 이산가족방문단 교환(서울·평양)
▲2000. 11. 30∼12. 2 = 제2차 이산가족방문단 교환(서울·평양)
▲2001. 2. 26∼28 = 제3차 이산가족방문단 교환(서울·평양)
▲2002. 4. 28∼5. 3 = 제4차 이산가족 대면상봉(금강산)
▲2002. 9. 13∼18 = 제5차 이산가족 대면상봉(금강산)
▲2003. 2. 20∼25 = 제6차 이산가족 대면상봉(금강산)
▲2003. 6. 27∼7. 2 = 제7차 이산가족 대면상봉(금강산)
▲2003. 9. 20∼9. 25 = 제8차 이산가족 대면상봉(금강산)
▲2004. 3. 29∼4. 3 = 제9차 이산가족 대면상봉(금강산)
▲2004. 7. 11∼16 = 제10차 이산가족 대면상봉(금강산)
▲2005. 8. 15 = 제1차 이산가족 화상상봉
▲2005. 8. 26∼31 = 제11차 이산가족 대면상봉(금강산)
▲2005. 11. 5∼10 = 제12차 이산가족 대면상봉(금강산)
▲2005. 11. 24∼25 = 제2차 이산가족 화상상봉
▲2005. 12. 8∼9 = 제3차 이산가족 화상상봉
▲2006. 2. 27∼28 = 제4차 이산가족 화상상봉
▲2006. 3. 20∼25 = 제13차 이산가족 대면상봉(금강산)
▲2006. 6. 19∼30 = 제14차 이산가족 대면상봉(금강산)
▲2007. 3. 27∼29 = 제5차 이산가족 화상상봉
▲2007. 5. 9∼14 = 제15차 이산가족 대면상봉(금강산)
▲2007. 8. 13∼14 = 제6차 이산가족 화상상봉
▲2007. 10. 17∼22 = 제16차 이산가족 대면상봉
▲2007. 11. 14~15 = 제7차 이산가족 화상상봉
▲2009. 9. 26 ∼ 10. 1 = 제17차 이산가족 대면상봉(금강산)
▲2010. 10. 30 ~ 11.5 = 제18차 이산가족 대면상봉(금강산)

▲2013. 8. 15 = 박근혜 대통령, 제68주년 광복절 경축식 축사에서 추석 전후 이산가족 상봉 제안
▲2013. 8. 18 = 북, 이산가족 상봉 실무회담 수용
▲2013. 8. 23 = 남북, 9월 25∼30일 이산가족 대면상봉 및 10월 22∼23일 이산가족 화상상봉 합의
▲2013. 9. 21 = 북, 조평통 대변인 성명으로 이산가족 상봉 일방 연기 발표.

▲2014. 1. 1 = 김정은 제1위원장 신년사 "남북관계 개선 분위기 마련해야"
▲2014. 1. 6 = 박근혜 대통령 신년기자회견서 설맞이 남북 이산가족 상봉 제안
▲2014. 1. 9 = 북 조평통 서기국 통지문, 설 계기 이산가족 상봉 사실상 거부
▲2014. 1. 16 = 북 국방위 '중대제안' 발표, 상호 비방중상·군사적 적대행위 전면 중단 제의
▲2014. 1. 17 = 남, 北 중대제안 거부…"신뢰, 행동으로 보여야"
▲2014. 1. 24 = 북 국방위 공개서한 "중대제안, 위장평화공세 아니다"
북, 이산가족 상봉 제의…"설 지나 南 편리할 때"
▲2014. 1. 27 = 남 "2월 17∼22일 금강산서 이산가족 상봉" 제안
▲2014. 2. 3 = 북 "이산 상봉 적십자 실무접촉 5일이나 6일에 하자" 제의
▲2014. 2. 5 = 남북, 판문점 적십자 실무접촉서 "2월 20∼25일 금강산에서 이산가족 상봉 행사" 합의


(서울연합뉴스) 윤일건 기자 yoonik@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