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테이퍼링'이 '양적완화 축소'란 건 알겠는데…유래는?
2013년 5월 23일, 미국 연방의회[사진=윤소라 제공]에 출석한 밴 버냉키 연방준비제도 (Fed) 의장의 입에서 매우 낯선 “Tapering [테이퍼링]”이란 단어가 불쑥 튀어나왔습니다. 쉽지 않은 이 단어를 접한 많은 사람들은 사전을 뒤집니다.

동사 Taper는 ‘점점 가늘어지다’ ‘끝이 뾰족해지다’란 뜻을 지녔습니다.이는 대번 2008년 글로벌 경제위기 이후 그가 ‘헬리곱터 밴’이란 별명을 얻은 ‘통화 공급 무제한 확대 정책, 즉 ’양적완화‘의 전환을 시사하는 것으로 해석됐고요.

수 개월이 지난 지금 ’테이퍼링‘은 ’양적완화 (점진적) 축소‘로 보통명사처럼 자리잡은 상황이지요. 테이퍼링은 버냉키의 언급 이후 돌입 시점이 ‘고양이 목에 방울을 달기’로 급부상했습니다. 결국 임기 종료를 두 달 앞둔 2013년 12월말 버냉키는 자신이 편 정책에 대해 스스로 ‘총대’를 맸고요.

1차 테이퍼링을 통해 채권매입 규모를 기존 850억달러에서 100억달러 낮춰 750억달러로 줄였습니다. 1차 테이퍼링은 전 세계 경제에 미치는 영향이 크지 않았고요. 언제 시행할 지 모르는 불확실성을 해소했다는 평가를 받으며 미국 등 글로벌 증시가 되레 오르는 효과를 냈습니다.

버냉키는 이에 자신감을 얻은 건지 어쩐 지 물러나기 직전인 2014년 1월 29일, 2차 테이퍼링을 ‘강행’했습니다. 매입하는 채권규모를 또 100억달러 축소해 650억달러로 줄였지요. 하지만 2차 테이퍼링은 보시다시피 글로벌 경제에 큰 혼란을 불러오고 있습니다.

터키 인도 남아프리카공화국 등 일부 신흥국 주식시장이 약세를 보이고 통화가치도 대폭 하락하는 형편입니다. 한국 증시도 상당폭 하락했고요. 국제 경제계는 글로벌 경제위기가 또 닥치는 게 아닌가 하는 우려가 팽배하는 상황입니다.

이 때문에 빌렘 뷔터 씨티그룹 수석 이코노미스트는 최근 파이낸셜타임스 기고를 통해 ‘Fed의 마이웨이식 테이퍼링’에 대해 “매너 없고 책임없는 행동”이라고 비판했습니다.“통화정책 변경이 해외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고려하고 배려해야 하는데 Fed는 이에 대한 언급이 전혀 없었다”는 게 그의 지적입니다.[한국경제 2월 6일자 보도]

사정이 이렇다 보니 버냉키 입에서 처음 나올 때 만큼 '어렵게' 느껴지던 테이퍼링이 세계 경제의 앞날에 대한 예측마저도 ‘어렵게' 한다는 분석이 제기되는 실정입니다.

그러나 이 말은 ‘3,4,5차 테이퍼링’ 등 앞으로도 자주 접할 운명으로 보입니다. “(통화를) 뿌린 만큼 거둬 들여야만‘ 할 상황이어서 입니다. 통화팽창으로 물가가 치솟고 인플레이션 같은 암운도 닥칠 가능성이 높다는 얘깁니다.

세계 경제계를 좌지우지한 밴 버냉키의 입에서 나와 유명한 경제용어로 자리 잡았지만 테이퍼링은 어디까지나 ‘차용한’ 단어에 불과합니다. 이는 공작기계 분야, 측정분야, 미용분야, 마라톤에서 흔하게 사용되고 있습니다.

'테이퍼링'이 '양적완화 축소'란 건 알겠는데…유래는?
공작기계에 사용하는 테이퍼론 '모스테이퍼'라는 말이 있습니다. 또 옆 이미지[온라인 쇼핑몰 캡처]와 같이 ‘테이퍼 게이지’란 이름의 측정기구도 있고요. 미용분야에서 ‘테이퍼링’은 커트를 할 때 머리끝으로 갈수록 가늘게 숱을 쳐내는 기법을 일컫습니다.

추정컨대 지난해 버냉키가 “테이퍼링”이라고 언급한 것은 마라톤에서 쓰는 단어를 응용한 게 아닌가 합니다. 마라톤에서 말하는 테이퍼링은 대회 출전을 목표로 한 선수가 강도 높은 훈련을 해오다 일정한 시기에 이르러서는 이의 수준을 크게 낮춥니다. 점차적으로 줄인 뒤 대회 당일에 최상의 컨디션으로 출발선상에 서기 위한 과학적이고 체계화한 훈련법을 의미합니다.

이 때는 뛰는 거리도 확 줄이고 음식물로는 에너지원인 탄수화물을 주로 섭취하는 식입니다. 마라톤에서 테이퍼링이란 말의 탄생 배경이 흥미로운데요. 1948년 런던올림픽에서 1만m 금메달에 이어1952년 헬싱키올림픽에서 5000m, 1만m, 마라톤을 석권해 3관왕에 오르며 ‘인간기관차’란 별명을 얻은 체코 육상 선수 에밀 자토펙의 일화에서 비롯했다는 것입니다.

자토펙은 1950년 유럽선수권대회 출전을 앞두고 강도 높은 훈련을 해오다 부상을 입어 2주 정도 쉬었다고 합니다. 부상에서 회복한 뒤 곧바로 나선 1만m에서 우승하고 이틀 뒤 열린 5000m에서도 우승자로 등극했습니다. 이같은 자토펙의 '괴이한' 현상에 대한 연구가 이어지고 이는 마라톤 등 육상 장거리 종목의 새로운 훈련법으로 승화됐다는 겁니다.

작금의 미국 Fed 테이퍼링이 순조롭게 진행돼 세계 경제로 하여금 좋은 컨디션으로 새로운 출발선상에 설 수 있도록 해야 할 터인데….

한경닷컴 뉴스국 윤진식 편집위원 jsyoo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