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한창 일할 남성 6명 중 1명은 '백수'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실업률 개선 착시인가…고개드는 불안
실업률 산정 때 제외되는 구직포기자 늘어
학력따른 임금差 확대…고용의 질도 악화
실업률 산정 때 제외되는 구직포기자 늘어
학력따른 임금差 확대…고용의 질도 악화
‘25~54세 미국 남성 6명당 1명은 백수.’
미국의 낮아진 실업률이 실제 고용시장의 체감 온도를 반영하지 못하고 있다고 월스트리트저널(WSJ)이 6일(현지시간) 이같이 보도했다. 지난주 신규 실업수당 청구 건수가 3주 만에 감소세로 돌아서면서 이날 뉴욕 증시가 반등에 성공했지만 숫자 뒤에 가려진 실제 고용시장의 현실을 더 정확히 들여다볼 필요가 있다는 지적이다.
실업률은 월가의 최대 관심사다. 미국 중앙은행(Fed)이 테이퍼링(양적완화 축소)의 기준으로 삼았던 지표이기 때문이다. 에릭 로젠그렌 보스턴 연방은행 총재는 “전통적으로 실업률이 중요한 지표이긴 하지만 많은 미국인이 느끼는 노동시장의 어려움을 제대로 반영하지 못하고 있다”며 실업률 하락만으로 금리 인상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경계했다.
◆실업률 하락 ‘착시’ 논란
Fed는 그동안 금리 인상의 기준으로 실업률 6.5%를 제시해왔고 최근의 추세대로 라면 그 이하로 갈 수도 있다. 문제는 만약 현재 실업률 하락세가 고용 증가가 아닌 구직 인구 감소로 인한 ‘착시 효과’일 경우 미국 경제의 앞날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점이다.
실업률은 총 노동인구 대비 실업자 비율을 말한다. 총노동인구는 실업자와 현재 고용돼 일하고 있는 사람을 합친 인구다. 실업자는 표본조사나 실업수당 수령 수치 등으로 산정하기 때문에 구직 포기자는 총노동인력에서 누락되고 실업수당을 못받는 사람 역시 실업자 인구에서 제외된다.
미국 실업률은 2010년 10%대에서 꾸준히 하락해 현재 6.7%(지난해 12월 기준)를 기록하고 있다. 표면적인 하락세에도 불구하고 실제로 고용시장이 개선되고 있지는 않다는 분석이 많다. 전문가들은 최근 실업률 하락이 늘어난 구직 포기자들이 실업률 산정에서 제외되기 때문이라는 점에서 긍정적인 신호로만 풀이할 수 없다고 분석했다.
비상실업수당 프로그램이 끝난 것도 변수다. 비상실업수당은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가 터졌을 당시 도입된 것으로 이후 매년 연장돼 오면서 지금까지 약 2250억달러 이상을 장기 실업자에게 지급했다. 미 연방정부의 정규 실업수당은 원래 실업 청구 시점부터 26주만 지급되지만 비상실업수당 프로그램은 이를 초과한 장기 실업자에도 실업급여를 지급해왔다. 140만명에 달하는 장기 실업자가 올해부터 비상실업급여를 받지 못해 구직 자체를 포기하면 노동인력 산정에서 누락된다.
◆25~54세 남성 ‘실업 칼바람’
전체 실업률이 떨어지고 있지만 실제 가장 활발하게 일할 연령대인 25~54세 남성의 실업률은 올라가고 있다. 이 연령대 실업자 수는 현재 총 1040만명(약 20%)인 것으로 집계됐다. 1970년대 6%에 비하면 세 배 이상 급증했다. 전문가들은 기술 개발과 세계화 바람 때문인 것으로 보고 있다. WSJ는 “1970년대 이후 경기 침체 때마다 25~54세 남성들이 실업의 칼바람을 가장 먼저 맞은 그룹”이라고 분석했다.
실제 이 그룹 실업률은 1970년대 6%였다가 2007년 13%로 올랐고, 글로벌 금융위기가 터진 2009년 20%로 급등했다.
고용의 질도 문제다. 미국 내 학력에 따른 임금 격차는 갈수록 더 벌어지고 있다. 한 번 실업을 경험한 사람들은 그렇지 않은 사람들보다 수입이 줄어드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사 학위 이상 소지자들의 평균 연봉이 1975년 8만달러에서 지난해 11만달러로 오를 동안 고졸자의 평균 연봉은 4만8000달러에서 4만6500달러로 줄었다.
보스턴연방은행 보고서에 따르면 10년을 일했다고 가정했을 경우 6개월 미만의 실업을 겪은 사람과 6개월 이상 장기 실업을 겪은 사람은 실업을 겪지 않은 사람보다 각각 9%, 32% 수입이 줄었다. 로버트 모핏 존스홉킨스대 교수는 “25~54세 남성의 경제활동 위축은 예상치 못하게 더 심각한 상태로 빠져들고 있다”고 말했다.
김보라 기자 destinybr@hankyung.com
미국의 낮아진 실업률이 실제 고용시장의 체감 온도를 반영하지 못하고 있다고 월스트리트저널(WSJ)이 6일(현지시간) 이같이 보도했다. 지난주 신규 실업수당 청구 건수가 3주 만에 감소세로 돌아서면서 이날 뉴욕 증시가 반등에 성공했지만 숫자 뒤에 가려진 실제 고용시장의 현실을 더 정확히 들여다볼 필요가 있다는 지적이다.
실업률은 월가의 최대 관심사다. 미국 중앙은행(Fed)이 테이퍼링(양적완화 축소)의 기준으로 삼았던 지표이기 때문이다. 에릭 로젠그렌 보스턴 연방은행 총재는 “전통적으로 실업률이 중요한 지표이긴 하지만 많은 미국인이 느끼는 노동시장의 어려움을 제대로 반영하지 못하고 있다”며 실업률 하락만으로 금리 인상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경계했다.
◆실업률 하락 ‘착시’ 논란
Fed는 그동안 금리 인상의 기준으로 실업률 6.5%를 제시해왔고 최근의 추세대로 라면 그 이하로 갈 수도 있다. 문제는 만약 현재 실업률 하락세가 고용 증가가 아닌 구직 인구 감소로 인한 ‘착시 효과’일 경우 미국 경제의 앞날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점이다.
실업률은 총 노동인구 대비 실업자 비율을 말한다. 총노동인구는 실업자와 현재 고용돼 일하고 있는 사람을 합친 인구다. 실업자는 표본조사나 실업수당 수령 수치 등으로 산정하기 때문에 구직 포기자는 총노동인력에서 누락되고 실업수당을 못받는 사람 역시 실업자 인구에서 제외된다.
미국 실업률은 2010년 10%대에서 꾸준히 하락해 현재 6.7%(지난해 12월 기준)를 기록하고 있다. 표면적인 하락세에도 불구하고 실제로 고용시장이 개선되고 있지는 않다는 분석이 많다. 전문가들은 최근 실업률 하락이 늘어난 구직 포기자들이 실업률 산정에서 제외되기 때문이라는 점에서 긍정적인 신호로만 풀이할 수 없다고 분석했다.
비상실업수당 프로그램이 끝난 것도 변수다. 비상실업수당은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가 터졌을 당시 도입된 것으로 이후 매년 연장돼 오면서 지금까지 약 2250억달러 이상을 장기 실업자에게 지급했다. 미 연방정부의 정규 실업수당은 원래 실업 청구 시점부터 26주만 지급되지만 비상실업수당 프로그램은 이를 초과한 장기 실업자에도 실업급여를 지급해왔다. 140만명에 달하는 장기 실업자가 올해부터 비상실업급여를 받지 못해 구직 자체를 포기하면 노동인력 산정에서 누락된다.
◆25~54세 남성 ‘실업 칼바람’
전체 실업률이 떨어지고 있지만 실제 가장 활발하게 일할 연령대인 25~54세 남성의 실업률은 올라가고 있다. 이 연령대 실업자 수는 현재 총 1040만명(약 20%)인 것으로 집계됐다. 1970년대 6%에 비하면 세 배 이상 급증했다. 전문가들은 기술 개발과 세계화 바람 때문인 것으로 보고 있다. WSJ는 “1970년대 이후 경기 침체 때마다 25~54세 남성들이 실업의 칼바람을 가장 먼저 맞은 그룹”이라고 분석했다.
실제 이 그룹 실업률은 1970년대 6%였다가 2007년 13%로 올랐고, 글로벌 금융위기가 터진 2009년 20%로 급등했다.
고용의 질도 문제다. 미국 내 학력에 따른 임금 격차는 갈수록 더 벌어지고 있다. 한 번 실업을 경험한 사람들은 그렇지 않은 사람들보다 수입이 줄어드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사 학위 이상 소지자들의 평균 연봉이 1975년 8만달러에서 지난해 11만달러로 오를 동안 고졸자의 평균 연봉은 4만8000달러에서 4만6500달러로 줄었다.
보스턴연방은행 보고서에 따르면 10년을 일했다고 가정했을 경우 6개월 미만의 실업을 겪은 사람과 6개월 이상 장기 실업을 겪은 사람은 실업을 겪지 않은 사람보다 각각 9%, 32% 수입이 줄었다. 로버트 모핏 존스홉킨스대 교수는 “25~54세 남성의 경제활동 위축은 예상치 못하게 더 심각한 상태로 빠져들고 있다”고 말했다.
김보라 기자 destinybr@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