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속인들은 10일부터 사망자가 예금보험공사에 남긴 금융자산을 바로 확인해 찾을 수 있게 된다. 예보는 그동안 1년에 한 번씩만 가족들에게 알려왔다. 금융감독원은 예보를 ‘상속인 금융거래 조회서비스’ 대상에 포함하기로 했다고 9일 밝혔다. 이 서비스는 상속인이 금감원, 은행을 방문해 사망자의 금융거래 조회를 신청하면 금융자산을 한꺼번에 조회해 알려주는 서비스다.
지난달 22일 일본 오사카의 한큐우메다백화점. 오사카의 대표적인 백화점인 이곳에 아침부터 일본 여성 수백명이 줄을 길게 늘어섰다. 모두 한 매장을 가기 위한 '오픈런' 인파였다. 한국에서 온 여성복 패션브랜드 '마뗑킴(Matin Kim)'의 팝업스토어가 열렸다는 소식을 듣고 달려온 일본 여성들이다.2일 무신사에 따르면 지난달 22일부터 28일까지 딱 일주일간 열린 팝업스토어에는 총 9000명이 방문했다. 하루 평균 1300명 가까운 사람들이 매장을 바글바글 채웠다. 일주일간 매출만 6억원. 해외에서 열린 한국 패션브랜드의 팝업스토어 성과로는 눈에 띄는 성과다. 2030세데 여성들에게 특히나 반응이 좋았다는 게 회사측 설명이다. 60여개 상품은 매진됐다.마뗑킴은 무신사가 일본에 유통하는 한국 토종 브랜드다. 지난해 11월 무신사와 마똉킴이 일본 시장 총판 계약을 하고 현지 시장에 진출했다. 무신사는 마뗑킴의 성공 사례를 통해 한국 디자이너 브랜드의 해외 진출 교두보가 되겠다는 계획을 내놓기도 했다.마뗑킴은 2019년 디자이너 김다인 대표가 설립했다. 'MATIN'은 프랑스어로 '아침'을 의미한다. 유니섹스 스타일과 자연스럽고 루즈한 핏이 MZ 취향에 맞았다. SNS를 통한 적극적인 브랜딩 전략은 브랜드 가치를 높이는 데 일조했다. SNS 등에서 감각적인 룩북과 스타일링 콘텐츠를 꾸준히 올리며 '패션 피플' 사이에서 입소문을 타기 시작했다. 블랙핑크 제니, 한소희, 아이브 안유진 등이 이 회사 제품을 쓰면서 인지도가 높아졌다. 고윤상 기자
동해 심해 가스전 개발사업(대왕고래 프로젝트)이 진행 중인 울릉분지에서 최대 51억7000만 배럴의 가스·석유가 추가로 매장돼 있을 가능성이 제기됐다. 보고서를 제출받은 정부와 석유공사는 전문가 정밀 검증 작업에 착수했다.2일 산업통상자원부와 한국석유공사 등에 따르면 미국의 심해 기술평가 전문기업 액트지오(ACT-GEO)는 최근 이같은 내용을 담은 ‘울릉분지 추가 유망성 평가’ 용역 보고서를 석유공사에 제출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액트지오는 울릉분지 일대에서 가스·석유가 매장될 가능성이 큰 14개의 새로운 유망구조를 발견했다.엑트지오는 지난해 6월 정부가 ‘동해 최대 140억 배럴 매장 가능성’을 발표할 때 물리 탐사 자료를 제공한 업체다. 이번 분석은 당시 발표된 7개 유망구조 외에 추가적으로 진행된 결과다. 액트지오의 분석 결과 새롭게 발견된 14개 유망구조의 예상 매장량은 최소 6억8000만 배럴에서 최대 51억7000만 배럴로 추산됐다.석유공사는 유망구조에 '마귀상어' 등의 이름을 붙인 것으로 알려졌다. 석유공사에 따르면 이는 시추없이 물리 탐사, 지질 분석 등을 통해 측정한 ‘탐사 자원량’에 해당하는 수치다.정부는 지난해 6월 동해에 최대 140억 배럴의 석유·가스가 붙여있을 가능성이 있다고 '대왕고래' 프로젝트를 공개했다. 당시 안덕근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이 밝힌 경제적 가치는 최대 2000조원으로 평가됐다. 이 계산법을 적용하면 새 유망구조에서 석유·가스가 발견될 때 경제적 가치는 최대 730조원으로 추산된다.정부는 현재 전문가 검증을 끝낸 대왕고래 프로젝트에 대해 1차 탐사정 시추를 벌이는 중으
일본 소프트뱅크그룹(SBG)과 미국 오픈AI가 일본의 인공지능(AI) 인프라 정비에 나선다. 일본 전역에 AI 개발용 데이터센터를 짓고, 전력 수요를 충당할 발전 시설도 함께 건설하는 방안이다. 500개 이상 일본 기업에 기술 협력 등을 요청할 예정이다.2일 니혼게이자이신문에 따르면 SBG와 오픈AI는 3일 도쿄에서 일본 기업 500여 곳과 회의를 연다. 운수, 제약, 금융, 제조, 물류 등 다양한 업종에 참여를 요청한다. 각 기업의 데이터를 활용해 산업용 생성 AI를 개발한다는 구상이다. AI 모델 진화에 일본 산업계가 축적한 풍부한 데이터를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손정의 SBG 회장과 샘 올트먼 오픈AI 최고경영자(CEO)는 3일 저녁 총리 관저에서 이시바 시게루 총리를 만날 예정이다. 이 자리에서 AI 구상을 밝힐 전망이다.지난달 손 회장과 올트먼 CEO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에게 4년간 5000억달러의 대미 투자를 약속했다. 자체 자금은 물론 AI 인프라를 이용하는 사업자에게도 투자를 요청할 전망이다. 일본에서도 참여 기업에 협조를 요청할 것으로 보인다.SBG는 통신 자회사 소프트뱅크를 통해 AI 데이터센터 건설을 추진하고 있다. 사카이시에서 샤프가 운영하던 액정 패널 공장의 토지와 건물을 활용, AI용 데이터센터를 2026년 중 가동할 방침이다.도쿄=김일규 특파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