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작품 1만3000여점이 모여 있는 일러스트 전문 플랫폼 ‘그라폴리오’(grafolio.net)에는 눈길을 끄는 그림이 많다. 그라폴리오를 만든 디바인인터랙티브의 노장수 대표(사진)는 “영화나 음악처럼 일러스트도 누구나 즐길 수 있는 하나의 ‘문화’로 자리 잡게 하는 것이 목표”라고 말했다.
그라폴리오는 2010년 문을 열었다. 콘텐츠에 관심이 많았던 노 대표가 일러스트 작가들의 포트폴리오 사이트로 시작해 플랫폼으로 발전시켰다.
그라폴리오에는 ‘크리에이터’라고 불리는 2000여명의 전문 일러스트레이터가 활동하고 있으며 아마추어도 작품을 올릴 수 있다.
작품은 누구나 웹사이트나 모바일 웹에 방문해 감상한 뒤 덧글을 남기거나 페이스북 등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로 공유할 수 있다. 노 대표는 “일러스트는 풍부한 감성이 담긴 양질의 콘텐츠인데도 감상하는 것에 익숙지 않은 것 같다”며 “일러스트를 서로 보여주고 나누는 감상이 자연스러운 문화가 되는 데 기여하고 싶다”고 했다. 친숙하게 일러스트를 접할 수 있도록 이야기를 입힌 작품들도 소개하고 있다.
그라폴리오는 일러스트 작가들을 세상에 알리는 창구 역할도 한다. 노 대표는 “사람들에게 사랑받을 수 있는 그림이 있는데 아무도 모른다면 안타깝지 않겠느냐”며 “작가들을 한 사람씩 섭외하며 ‘당신을 모르는 사람에게 당신의 작품을 좋아할 기회를 주라’고 말한다”고 설명했다.
이 플랫폼을 만든 디바인인터랙티브는 지난해 네이버에 인수됐다. 좋은 문구와 그림을 함께 소개하는 네이버 ‘쉼’에 등장하는 그림이 그라폴리오의 일러스트들이다. 노 대표는 “다양한 공모전을 통해 일러스트의 저변을 확대하는 아이디어를 구상 중”이라고 말했다.
김보영 기자 win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