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효진 기자 ] 이동통신사들의 보조금 혈투가 점입가경이다. 연초부터 보조금을 대거 투입하더니 급기야 마이너스 폰까지 등장했다. 지난 11일 새벽에는 최고급 스마트폰이 헐값에 팔리며 동대문 한 휴대폰 매장 앞은 사람들로 장사진을 이뤘다. '동대문 대란', '2.11 대란'이라는 말이 생길 정도다.
이통사들의 헐뜯기 경쟁도 날로 격화되고 있다. 12일 SK텔레콤과 LG유플러스는 '2.11 대란'이 발발한 원인으로 서로를 지목하며 비방전에 열을 올렸다. 이 과정에서 온갖 치부를 다 드러냈다.
이통사가 방송통신위원회 단속이 불가능한 심야시간에 온라인 커뮤니티를 이용해 '떴다방' 보조금을 풀고, 경쟁사에 가입자를 뺏기면 즉시 대응하는 '불바다' 보조금, 개통 가능시간이 지나더라도 다음날까지 밤새 예약가입을 접수받는 '뻗치기' 방식을 쓴다는 폭로도 나왔다.
최근 휴대폰 보조금 규모까지 커지고 있는 것은 이통사간 '0.1% 점유율' 싸움을 하고 있기 때문이다. 올해 SK텔레콤과 KT는 각각 점유율 50%와 30%를 사수하겠다고 선언했다. LG유플러스는 20% 돌파가 목표다. SK텔레콤은 지난해 연말 시장 점유율이 50.02%로 내려가자 다급해졌다. LG유플러스의 시장 점유율은 19.88%로 0.12%포인트가 아쉽다. KT 점유율은 30.09%다.
이러한 탓에 이통사 한 곳이 보조금을 풀기 시작하면, 나머지 경쟁사들도 가입자를 뺏기지 않으려고 보조금을 쏟아 붓는다. '보조금 대란'이 발생하면 이통사 어느 한 곳도 책임에서 자유로울 수 없다.
이통사들은 방통위가 과징금, 영업정지 등을 통해 제재하고 있음에도 아랑곳하지 않는다. 뒤늦은 방통위 제재를 기다리기보다 우선 가입자를 뺏겠다는 생각에서다. 방통위는 지난해 말 이통 3사에 사상 최대 과징금인 1064억원을 부과했다. 그러나 보조금 전쟁을 주도한 업체는 가려내지 못했다.
방통위는 이번에도 '2.11 보조금 대란'을 벌인 이통사에 대해 강력한 제재를 예고했다. 그러나 소비자 부담을 감안해 보조금 상한선(27만원)을 올려야 한다는 주장이 오히려 더 설득력을 얻고 있다.
한 이통사 관계자는 "방통위는 뒤늦게 사태가 일어난 기간을 집중 조사하는데다 사실상 주도 사업자를 가려내기도 힘든 상황"이라며 "방통위가 매달 조사기간을 정하거나 단말기 유통구조 개선법을 제정하는 게 훨씬 효과적일 것"이라고 말했다.
휴대폰을 제값 주고 산 고객이 '호갱(호구+고객)님'으로 불리는 상황에서 업계가 제시한 해법을 오히려 귀 담아 들을만 하다.
글로벌 신용평가사 피치가 6일 한국의 국가 신용등급을 'AA-'로 유지했다. 한국의 신용등급 전망도 '안정적'(Stable)으로 유지했다.계엄·탄핵 사태로 국내 정치적 불확실성이 높아진 상황에서도 국가 신용등급을 유지했다. 앞서 피치는 작년 연말 우리 정부 당국과의 면담에서 이번 사태가 한국의 신용등급을 위협할 수준은 아니라고 밝힌 바 있다.피치는 2012년 한국의 국가신용등급을 'A+'에서 'AA-'로 상향 조정한 뒤 계속 같은 등급을 유지하고 있다. 피치를 비롯해 현재 한국의 신용등급을 조정한 국제 신용평가사는 없다. S&P는 ‘AA, 안정적’으로 부여하고 있다. 무디스는 한국의 신용등급을 2015년 12월 Aa3에서 Aa2로 높인 뒤 이를 10년째 유지하고 있다.피치는 지난해 12월 9일 발간한 ‘세계 경제 전망’ 보고서를 통해 2025년 한국의 성장률 전망치를 2.3%에서 2.0%로 낮추면서 “계엄 선포에 따른 정치적 불확실성은 국가 신뢰도에 잠재적인 위험을 초래한다”고 지적하기도 했다.김익환 기자 lovepen@hankyung.com
한국과 사우디아라비아의 국세청장 회의가 처음 열렸다. 강민수 국세청장(오른쪽)과 수하일 아반미 사우디아라비아 국세청장(왼쪽)은 5일(현지시간) 사우디 수도 리야드에서 국세청장 회의를 열고 기업 이중과세 해소와 핫라인 구축, 조세 행정 디지털화 등을 논의했다고 국세청이 6일 밝혔다.두 나라 국세청장은 기업 이중과세 문제를 신속하게 해소하기 위해 양국이 체결한 ‘한·사우디 조세조약’의 상호합의 절차를 활성화하기로 했다. 또 막힘 없는 소통을 위해 핫라인을 구축하고, 세정의 디지털화 등을 위해 실무자급 교류가 필요하다는 데도 의견을 모았다.강 청장은 사우디 국세청에 우리 현지 기업의 세무상 애로사항을 전달하고, 신속한 해결을 위해 한국 기업을 위한 민원창구(가칭 ‘코리안데스크’)를 열어 달라고 요청했다. 수하일 아반미 청장은 이에 긍정적으로 답했다고 국세청은 전했다.한·사우디 국세청장 회의는 국세청이 중동 지역 과세당국과 처음 개최한 최고위급 양자 회의다. 1962년 수교한 사우디는 한국의 7위 교역국이다. 중동 유일의 주요 20개국(G20) 회원국이자 우리나라 최대 해외건설 수주 국가이기도 하다. 지난해 한국 건설회사들은 전체 건설 수주의 32%인 119억달러를 사우디에서 수주했다.정영효 기자
HD현대중공업과 HD현대1%나눔재단은 지난 5일 울산 화정동 동구종합사회복지관에서 ‘특식데이(Day) 후원금 전달식’(사진)을 열고 3375만원을 전달했다. 후원금은 올해 매주 수요일 동구종합사회복지관에서 지역 장애인과 치매 어르신, 기초생활수급가구 등 300여 명의 점심식사를 만드는 데 사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