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경+] 광고주가 모바일 광고를 꺼리는 진짜 이유
(임근호 IT과학부 기자)“모바일 광고를 좋아하는 사람은 아무도 없다."

소비자가 광고를 싫어하는 것은 새삼 말 할 필요가 없다. 가뜩이나 조그만 스마트폰 화면에 뜨는 모바일 광고는 더욱 그렇다. 그런데도 저 말이 인터넷 업계에 떠도는 이유는 광고를 집행하는 광고주마저 모바일 광고에 돈을 쓰는 것을 꺼려하기 때문이다.

김연우 닐슨코리아 온라인·모바일 측정본부 이사는 “모바일 광고는 계속해서 커지는데 광고주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해보면 모바일 광고는 별로 집행하고 싶지 않다는 응답이 높게 나타난다”고 말했다. 이유는 모바일 광고에 돈을 써도 효과가 크지 않다는 인식 때문이다.

하지만 간단히 “모바일 광고는 효과가 없다”고 말할 수도 없다. 보다 근본적인 원인이 숨겨져 있다. 김 이사는 “모바일 광고 효과를 측정할 방법이 마땅치 않은 게 제일 큰 문제”라며 “어디에 어떤식으로 광고를 낼지 결정하는 실무자들도 윗 사람들에게 모바일 광고로 인한 효과를 보여줄 방법이 없으니 광고 집행을 꺼리게 된다”고 설명했다.

TV광고는 설문이나 면접을 통해 사람들이 광고를 기억하는지, 광고가 상품 구매에 영향을 미쳤는지 물어보는 방법으로 효과를 측정한다. 매일 매일 시청률이 나오기 때문에 간접적으로 얼마나 많은 사람들이 광고를 보았을지 추정하는 방법도 있다.

온라인 광고는 주로 사람들이 광고를 클릭한 결과를 토대로 효과를 측정한다. 그래서 클릭당 얼마하는 식으로 광고 단가가 결정된다.

반면 모바일은 ‘블랙박스’와 같다. 사람들이 스마트폰을 많이 쓴다는 것은 알지만 그것으로 어떤 사이트에 들어가고, 어떤 동영상을 보는지 알 방법이 없다. 예를 들어 지금으로선 스마트폰에서 티빙이나 쿡 같은 동영상 앱을 켜 드라마나 영화를 본다고 하더라도 구체적으로 무엇을 보는지 알 길이 없다는 얘기다. 갈수록 사람들이 TV 대신 모바일로 드라마를 보는 추세이기 때문에 업계 사람들은 이 문제로 골머리를 앓고 있다.

보다 기술적으로 설명하면…

☞ 기사 전문을 보시려면 '한경+' 클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