또 낙하산 인사 논란이다. 한국전기안전공사 사장에 ‘친박계’로 분류되는 이상권 전 새누리당 의원이 내정된 것을 두고 정부의 공공기관 낙하산 근절 의지가 과연 있기나 한 것이냐는 비난이 쏟아지고 있다. 이 전 의원은 검사 출신으로 2007년 한나라당의 대통령 후보경선 당시 박근혜 후보의 경선대책위원회 인천총괄본부장으로 활동했고 2010년 인천 계양을 보궐선거에서 18대 의원으로 당선돼 새누리당 원내부대표를 지냈다. 비록 공모절차를 밟았고 의원 재직 당시 전기안전공사가 속한 지식경제위원회(현 산업통상자원위원회)에서 활동한 경력이 있지만 그것이 전부다. 작년 말 한국도로공사 사장에 친박계 김학송 전 새누리당 의원이, 한국지역난방공사 사장에 김성회 전 새누리당 의원이 각각 임명된 것과 같은 낙하산의 연이은 착지다.

낙하산 근절은 공공기관 개혁의 정당성을 확보할 수 있는 기본적인 조건이다. 대선 기여도가 높은 정치인 출신들의 ‘보은 인사’를 근절하지 않고서는 공공기관의 방만한 경영을 뿌리 뽑는 것은 힘든 일이다. 기획재정부가 어제 대통령에게 공공기관운영위원회 산하에 ‘임원 자격기준소위’를 만들겠다고 보고한 것도 낙하산 인사의 무분별한 선임을 봉쇄하겠다는 취지였다.

현오석 부총리가 그런 보고를 한 날 전기안전공사 낙하산 논란이 빚어졌으니 공공기관 개혁을 바라는 국민들조차 고개를 갸우뚱할 것이다. 공공기관은 대통령의 정책을 잘 이해하고 실행할 수 있는 사람이 끌어갈 필요가 있다. 하지만 누가 봐도 전문성이라고는 없는 권력 주변의 낙하산 소리를 듣는 인사라면 개혁의 걸림돌이 될 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