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착 늘린다지만 예산 한계
환경부 산하 국립생물자원관은 조류생태 연구를 위해, 농림축산식품부의 농림축산검역본부와 국립환경과학원은 AI에 대한 예찰과 연구를 위해 각각 위치추적장치를 사용하고 있다. 1993년부터 금속가락지를 부착했고 2010년부터는 정보기술(IT)을 활용한 장치를 활용했다. 대표적인 것이 위성(PTT 방식·사진)과 이동통신기지국(CDMA 방식)을 이용한 위치추적장치다.
하지만 PTT 방식 장치는 너무 비싼 게 흠이다. 대당 가격은 1000만원. 전지 수명도 1~2년에 불과하다. 무게(9g)가 가볍고 위치추적이 쉽지만 고가이기 때문에 많이 사용할 수 없다. CDMA 방식은 무게가 50g이 넘어 청둥오리 이상 크기의 조류에만 부착할 수 있다. 가격은 180만원 정도로 상대적으로 저렴하지만 전지 수명이 짧아 6개월밖에 사용하지 못한다. 현재 PTT 방식은 11개, CDMA 방식은 70개가량 부착돼 있다.
국립생물자원관 관계자는 “관련 예산이 많지 않아 위치추적장치를 늘리는 데 한계가 있다”고 토로했다.
위치추적장치를 다는 과정도 쉽지 않다. 위치추적장치 무게는 부착하는 조류 무게의 5% 이내여야 한다. 예를 들어 이번에 처음으로 위치추적장치를 단 가창오리에게는 9g 정도의 초소형 장치가 부착됐다.
국립생물자원관 공무원들이 1주일 동안 몰래 지켜보다가 먹이를 찾아 육지로 내려오는 밤에 겨우 잡아 추적장치를 다는 데 성공했다.
김주완 기자 kjwa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