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3개월간 극렬했던 우크라이나 사태가 일단 수습의 실마리를 찾아가고 있다. 지난주 경찰 발포로 100여명이 사망하는 유혈사태 끝에 친러시아 성향의 야누코비치 정권이 전격 붕괴되고, 야권 주도로 친유럽연합(EU)의 연립정부가 오늘 구성돼 5월 조기 대선을 치른다고 한다. 2004년 선거부정으로 촉발된 오렌지 혁명(시민혁명)의 데자뷔가 느껴진다. 하지만 소치올림픽에 ‘올인’하는 동안 친러 정권을 잃은 푸틴 러시아 대통령의 대응이 미지수여서 여전히 한 치 앞을 내다보기 힘든 상황이다.

우크라이나는 유럽과 러시아의 완충지대이자 흑해에 면한 지정학적 요충지다. 러시아와 인접한 동남부와 유럽에 가까운 서부는 인종과 언어가 다르고 경제 격차도 커 그동안에도 정국 불안이 끊이지 않았다. 옛 소비에트연방과 같은 영향력을 회복하려는 푸틴의 구상과, 이런 러시아를 견제하려는 EU의 이해관계가 맞부딪치면서 상황은 더욱 복잡해졌다. 최악의 경우 우크라이나는 동서 분단과 내전으로 치달아 신냉전시대의 대리 전쟁터가 될 가능성도 없지 않다. 우리도 깊은 관심을 기울여야 하는 이유다.

하지만 어떤 경우에도 우크라이나의 운명은 반드시 우크라이나 국민 스스로 결정해야 마땅하다. 여기엔 이견이 있을 수 없다. 그들은 다시금 유럽으로의 편입을 선택했다. 이는 권위주의적 국가라는 러시아적 가치를 버리고 자유민주주의라는 서구적 가치를 지향한다는 의미다. 성숙한 시민사회, 시장경제와 사유재산권의 바탕 위에 개인의 가치가 집단가치를 우선하는 것이 바로 서구적 가치요, 세계의 보편적 가치다. 우리는 우크라이나 국민의 선택을 지지한다.

문제는 경제에 달렸다. 당장 러시아가 가스를 끊을 경우 버티기 힘든 게 사실이다. 730억달러의 국가채무 중 연내 120억달러의 만기가 돌아온다. 최근 S&P가 우크라이나의 신용등급을 CCC+에서 투자부적격 직전인 CCC로 낮춰 디폴트 우려도 커지고 있다. 10년 전 애써 민주화를 이루고도 경제침체로 인해 거꾸로 독재·부패정권으로 회귀했던 만큼 서구의 지원과 부패 척결도 절실하다. 서구적 가치의 확산이란 관점에서 우크라이나를 주목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