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가 특정구역 중심의 뉴타운·재개발이 아닌 생활권 단위의 통합 주거관리를 골자로 한 주거개선사업 청사진을 제시했다. 시는 이를 추진할 '서울형 재생기구'를 신설하고, 4년간 1조원 규모의 재원을 투자한다.

서울시는 26일 이런 내용을 담은 '미래 도시주거재생 비전'을 발표했다.

박원순 시장은 이날 창신·숭인뉴타운 해제 지역에서 열린 현장설명회에서 직접 도시주거재생의 방향을 설명했다.

시가 공개한 도시주거재생 비전은 해당 구역의 물리적 정비에 초점이 맞췄던 뉴타운·재개발에서 벗어나 마을공동체 활성화, 일자리 창출, 지역정체성 보존 등 사회·경제적 상황을 고려한 통합적인 주거재생을 추구한다는 것으로 요약된다.

비전을 구체적으로 보면 우선 뉴타운 등 정비구역이 해당 구역단위로만 추진돼 지역발전과 연계가 미흡했다는 판단에 따라 서울시는 앞으로 생활권 단위로 주거환경 진단을 거쳐 도시주거재생 사업을 추진한다.

안전 인프라와 공원 등 각종 생활기반시설 확충 역시 생활권 단위로 주거환경진단 결과에 따라 시행한다.

주거환경진단은 주거의 안전성, 편의성, 쾌적성, 공동체 지속성 등을 바탕으로 평가된다.

서울시는 또 주민의 의견을 충분히 수렴하는 방식으로 정비구역을 지정할 계획이다.

현재 정비구역 지정은 노후도와 밀도 등 물리적 요건만 따지지만, 앞으로는 정비사업으로 인한 지역사회 갈등을 최소화 하기위해 사회·경제적 요건과 주민 동의율도 함께 고려하기로 했다.

시는 일단 정비사업 추진으로 결정이 나면 지역 여건에 따라 사업성을 고려해 용적률을 적용하는 등 밀도를 유연하게 관리해 신속한 사업 추진을 지원할 방침이다.

서울시는 도시주거재생을 전담할 기구를 신설하고 앞으로 4년간 1조원을 조달하기로 했다.

마련된 재원은 도로와 공원 등 기반시설 설치와 공동이용시설 확충, 성곽마을 등 역사적 가치가 있는 지역 보존, 전통시장 관리와 일자리 육성을 비롯한 경제활성화 등에 쓰이게 된다.

시는 주택사업·도시개발·교통사업 특별회계 및 일반회계와 국고보조금으로 재원을 확보할 계획이다.

서울시는 도시재생 목표가 일관성 있게 실현되도록 현재 시청내 개발과 정비 분야 부서를 사업의 계획·관리·시행을 총괄하는 '서울형 재생기구'로 전환한다.

박원순 시장은 "지역의 정체성을 회복하고 가치를 높이며 물리·사회·경제적 통합재생을 이루는 것이 서울의 도시주거재생 비전"이라며 "통합과 공유의 재생을 실현하겠다"고 말했다.

한경닷컴 뉴스룸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open@hankyung.com